KR840002101B1 - 필 기 구 - Google Patents

필 기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101B1
KR840002101B1 KR8203959A KR820003959A KR840002101B1 KR 840002101 B1 KR840002101 B1 KR 840002101B1 KR 8203959 A KR8203959 A KR 8203959A KR 820003959 A KR820003959 A KR 820003959A KR 840002101 B1 KR840002101 B1 KR 84000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hole
sealing member
reciproca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휘정 filed Critical 윤휘정
Priority to KR820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 기 구
제1도,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 종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및 Ⅲ-Ⅲ선 단면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 제 3실시예, 제 4실시예, 제 5실시예, 및 제 6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 단면도.
제15도, 제17도 및 제18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 7실시예, 제 9실시예 및 제10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8실시예의 요부전개도.
제19도, 제20도, 제21도 및 제22도는 각각 제10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 요부 종단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의 요부 부분단면 사시도.
제24도 및 제25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2실시예 및 제13실시예의 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왕복동체 2 : 관통공
3 : 수납실 4 : 밀봉부재
5 : 스토퍼(Stopper) 6 : 구멍
7, 7' : 홈 8 : 필기 부재
9 : 필기부 10 : 요홈
11 : 필기구본체 12, 12' : 걸림 부재
13 : 원판 14 : 제1돌기
15 : 제2돌기 16 : 녹크부재
17 : 링 18 : 수납공
19 : 지지체 20 : 지지체구멍
21 : 연결핀 22 : 원통체
23 : 턱 24 : 걸림돌기
25 : 걸림홈 26 : 본체 결합부
27 : 외통 28 : 본체 돌기
29 : 돌기접촉부 30 : 걸림턱
31 : 본체전반부 32 : 본체후반부
33, 33' : 걸림부재홈 34 : 후단링
35 : 원판돌기 36 : 안내홈
본 발명은 필기부재의 필기부를 수납상태로 하였을 때 선단부를 완전히 밀봉되어지도록 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만년필, 싸인펜, 볼펜등과 같은 필기구에 적용되어질 수 있으나, 특히 싸인펜과 같은 필기구에 적용하는 경우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필기부재의 필기부를 수납상태로 하였을 때 밀봉이 유지되도록 한 필기구로서는, 예컨대 필기구의 선단내부에다 수납부를 설치해 놓고, 필기부재를 수납상태로 하였을 때 필기부재의 필기부가 수납부에 수납되어지게한 것으로는 이미 본 출원인이 일본국에서 일본특허출원 소화 50-122952호(특허 52-49125호), 일본국실용신안등록출원55-11902호 및 55-64915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것들은 어느 것이나 모두 캠기구를 사용하였으며 캠기구를 사용하게되면 구조가 복잡해져서 생산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결점이 있고 또한 필기구의 선단부모양이 좋지 않게 되어버려 필기부재의 형상을 특수한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필기부재의 필기부가 수납상태로 하였을 때 완전한 밀봉상태가 되도록한 필기구를 염가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을 싸인펜의 선단부에 뚫어 놓은 공기구멍에 적용시킨 도면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왕복동체(1)의 전단 중앙에는 필기부재의 필기부가 출입할 수 있도록 관통공(2)을 형성시키고 관통공(2)의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거의 타원형상으로 된 수납실(3)이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인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실(3) 내에는 뚜껑모양을 한 밀봉부재(4)가 오목하게 파인 개구를 뒷쪽으로 끼우고 밀봉부재(4)는 그 외경이 관통공(2)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수납실(3)내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였고, 또한 밀봉부재(4)에는 필기부재(8)의 필기부(9) 선단에 형성시킨 통기공을 통하여 필기부재 내부의 공기가 환류될 수 있는 정도의 공기실을 형성시켰는데 이것은 제10도, 제11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밀봉부재(4)가 최상방위치에 있게 될때 관통공(2) 바로 뒷쪽에 접촉하게 되어 관통공(2)을 막고 최하방위치에 있게 될때는 관통공(2)의 뒷쪽 위치를 벗어나서 관통공(2)이 완전히 열려지게 하도록 하였으며 수납실(3)내에는 밀봉부재(4)를 끼워 넣은 후 왕복동체(1)내의 뒷쪽으로는 스토퍼(5)를 왕복동체(1)에 끼워 수납실(3)을 막고 스토퍼(5) 구멍(6)의 선단부 내경은 밀봉부재(4)외경보다 작게 형성시켜 밀봉부재(4)가 뒷쪽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스토퍼(5)의 중앙의 구멍(6)은 필기부재(8)의 필기부(9)가 용이하게 출입하도록 열려져 있고 왕복동체(1)의 후단부분에는 뒷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2개의 홈(7)(7')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도록 하며 왕복동체(1)내에는 필기부(9)를 갖춘 필기부재(8)를 끼우되 필기부재(8) 뒷쪽의 후단부에 요홈(10)을 형성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왕복동체(1)의 외주면에는 필기구본체(11)를 끼우고 필기구본체(11)의 약간 뒷쪽 내부에는 원판(13)에 2개의 걸림부재(12)(12')를 형성시켜 왕복동체(1)의 홈(7)(7')에 끼워지도록 하였으며, 원판(13)의 앞면중앙에는 제1돌기(14)를 형성시켜 이 제1돌기(14)가 필기부재(8) 후단에 형성시킨 요홈(1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왕복동체(1) 내부에 필기부재(8)가 들어가 있도록 하고 원판(13)의 뒷면 중앙에는 뒷쪽으로 별도의 제 2돌기(15)를 형성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왕복동체(1)의 최후단에는 녹크부재(16)를 나사결합시키고 원판(13)에 설치시킨 스프링(s1)은 필기구본체(11)에 대해 왕복동체(1)가 원판(13)의 제 2돌기(15)에서 녹크부재(16)내부까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스프링(s1), 필기구본체(11)에 대하여 등이 뒷쪽으로 밀려나게하며 필기구본체(11)의 최후단 내주면에는 링(17)을 끼워 녹크부재(16)가 링(17)속을 전후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제1도에서는 밀봉부재(4)를 왕복동체(1)에 형성시킨 관통공(2) 후방에 위치시키므로써 관통공(2)을 막게하고 필기부재(8)의 필기부(9)를 수납공(18)에 수납되게 하는데 이때가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를 나타내며 필기부(9)의 밀봉상태는 스프링(s1)의 힘으로 밀봉부재(4)가 필기부(9)에 눌러져 있게되므로서 밀봉상태가 유지되어진다.
또한 밀봉상태에서 필기상태로 되게 하려면 제4도에서와 같이, 녹크부재(16)를 누르면 스프링(s1)이 압축되어지므로 녹크부재(16)와 왕복동체(1)가 앞쪽으로 전진하여 밀봉부재(4)가 수납실(3)내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녹크부재(6)의 누름상태를 다시 원위치로 하면 스프링(s1)의 복원력으로 녹크부재(16)와 왕복동체(1)는 후퇴하고 필기부재(8)의 필기부(9)는 왕복통체(1)의 관통공(2)밖으로 돌출하여 제 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상태에서 수납상태로 되게하려면 필기구본체(11)의 상, 하 위치를 서로 바꾸게 하므로서 제 6도에 표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되게 하고 여기에 녹크부재(16)를 누르면 왕복등체(1)가 전진하여 밀봉부재(4)가 필기부(9)보다 앞쪽에 오게 되므로 수납실(3) 위쪽에 있던 밀봉부재(4)가 수납실(3)내의 중간위치로 낙하하여 제 7도의 상태와 같이 완통공(2)을 막게 되고, 녹크부재(16)의 누름을 해제하여 다시 원위치로 하면 스프링(s1)의 복원력으로 왕복동체(1)가 후퇴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된 원판(13)에 삽입된 필기부재(8)가 상대적으로 앞으로 전진하여 필기부(9)가 수납공(18)에 들어가게 되므로 제 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봉상태로 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납실(3)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인데 반하여 제 9도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실(3)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시켜 수납실(3)위치가 정확하게 되지 않아도 밀봉부재(4)가 관통공(2)의 뒷쪽까지 낙하되어 지게 된다.
제10도의 제3실시예릍 설명하면 수납실(3)은 전후방에서 보아 돌연확대관처럼 형성되게 하여 밀봉부재(4)가 관통공(2)의 뒷쪽으로 쉽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4실시예에는 제11도 및 제12도에서 수납실(3)을 상, 하 방향으로 모두 연장되게 하고 밀봉부재(4)는 타원형의 마개형상으로 한 지지체(19)의 상단층에 가깝게 부착되도록 하되 지지치(19)의 하단층에는 관통공(2)과 일치하는 크기의 지지체구멍(20)을 형성시켜 밀봉부재(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였다.
제13도의 제 5실시예에 있어서의 수납실(3)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켜 필기부(9)의 전단층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녹크부재(16)를 누르면 밀봉부재(4)가 관통공(2)의 뒷쪽위치로 낙하하고 반대로 필기부(9)의 전단층을 아래로 향하게한 상태에서 녹크부재(16)를 누르면 관통공(2)의 뒷쪽위치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즉 필기부(9)의 전단층을 상, 하 위치에 따라 밀봉부재(4)를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제14도의 본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는 수납실(3)을 제5실시예의 수납실(3)과는 경사가 반대로 되도록한 것으로 제 5실시예에서의 작동과 반대로 작동되어진다.
제15도에 의해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실시예는 녹크식이었으나 여기서는 양손을 사용하여 필기부재(8)를 잡아당겼다 놓았다하는 조작으로, 필기상태나 수납상태가 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필기부재(8)의 후단에 연결편(21)을 결합시키고 연결편(21)의 후단의 주면에는 원통체(22)의 전단이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원통체(22)는 그렇게 길지 않은 것으로 그 전단에 턱(23)을 형성시키게 턱(23)과 필기구본체(11)의 후단부근의 내주면에 형성시킨 단부사이에다 스프링(s2)을 끼워 필기구본체(11)에 대하여 원통체(22)등이 앞쪽으로 밀려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결편(21)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4)를 형성시키고 필기구본체(11) 후단부근의 내주면에는 걸림홈(25)을 형성시켜 필기부재(8)등이 전진된 필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걸림돌기(24)가 걸림홈(25)에 맞아끼어지게 되어 필압에 지탱되도록 하였고(그다지 필압이 걸리지 않는 경, 에는 스프링(s2)만으로 하고 걸림돌기(24)나 걸림홈(25)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필기구본체(11)의 앞쪽에는 타원형으로 된 본 체결합부(26)를 결합시키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왕복동체(1) 전단부분에 형성시킨 구조대신 제15도의 제 7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결합부(26)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연결편(21)의 후단에는 뚜껑모양으로된 외통(27)을 결합시켜 한쪽 손으로 필기구본체(11)를 잡고 다른쪽 손으로는 외통(27)을 잡고서 외통(27)을 잡아당기면 필기부재(8)가 상대적으로 후퇴하여 밀봉부재(4)가 이동되어지는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필기구본체(11)와 필기부재(8)가 일체로 되어있어 이들에 대해 왕복동체(1)가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나 제 7실시예에 있어서는 필기구본체(11)에 대해 필기부재(8)가 이동되도록 하였다.
제16도의 제 8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7실시예를 회동식으로 바꾼 것으로 즉, 제 7실시예에 있어서 필기구본체(11)의 외주면에다 본체돌기(28)를 형성시켜 외통(27)의 내주면에 크고 작은 파형(波型) 굴곡의 돌기접촉부(29)를 형성시킨 것에 접촉하도록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필기구본체(11)에 대하여 외통(27)을 회동시킬때 스프링(s2)의 힘으로 본체돌기(28)가 돌기접촉부(29)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본체돌기(27)가 돌기접촉부(29)의 작은 파형굴곡부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밀봉상태가 되며 큰 파형굴곡부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필기상태로 된다.
제17도의 본 발명에 따른 제 9실시예는 필기부재(8)의 뒷쪽에 연결편(21)을 결합시키며 필기구본체(11)선단부근에는 원통체(22)를 필기구본체(11)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끼우고 원통체(22)의 후단 외주면에는 걸림턱(30)을 형성시키며, 필기구본체(11)의 선단내주면에 형성시킨 단부와 원통체(22)의 걸림턱(30) 사이에는 스프링(s3)을 끼우되 원통체(22)가 후방으로 밀려지도록 하였고 원통체(22)의 선단에는 스로퍼(5)와 본체결합부(26)를 결합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결합부(29)로는 관통공(2)과 수납실(3)을 형성시키고 수납실(3)내에는 밀봉부재(4)를 끼워넣게되어 있으며 본체결합부(26)와 원통체(22)들이 스프링(s3) 힘으로 뒷쪽으로 밀려지게하므로서 밀봉부재(4)는 필기부재(8)의 필기부(9)를 완전하게 밀봉한다.
그리고 본체결합부(26)를 전진시켰다 후퇴시켰다하는 조작으로 필기상태나 밀봉상태로 되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본체결합부(26)의 외주면에다 뚜껑을 설치하여 그 뚜껑후단이 필기구본체(11)의 앞쪽부분에 씌워서 왕복운동을 하도록하면 밀봉시 원통체(22)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하게 되나, 상기의 경우 뚜껑을 잡고 필기를 하면, 필압은 스프링(s3)으로 지탱되어져야 하므로 제15도의 제 7실시예에서와 같이 필기구본체(11)에 각각 걸림돌기(24)와 걸림홈(25)을 형성시키면 더욱 좋다.
제18도-제22도의 본 발명에 따른 제10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체전반부(31)와 본체후반부(32)로 이루어진 필기구본체 내부에는 필기부재(8)를 갖춘 왕복동체(1)를 끼우고 왕복동체(1)의 뒷쪽에는 원통형상의 녹크부재(16)를 결합하며 녹크부재(16)의 앞부분에는 서로 마주보게 2개의 걸림부재홈(33)(33')을 형성시켜 축방향으로 열려져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판(13)의 앞쪽에 형성시킨 제1돌기(14)를 필기부재(8)의 후단에 결합시키고 원판(13)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2개의 걸림수재(12)(12')를 각각 녹크부재(16)의 걸림부재홈(33)(33')에 삽입시키며, 본체후반부(32)의 후단내주면에는 후단링(34)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녹크부재(16)등이 뒷쪽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고 원판(13)의 후면에 형성시킨 원판돌기(35)에는 스프링(s4)을 끼워 스프링(s4)의 힘으로 녹크부재(16)가 뒷쪽으려 밀려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왕복동체(1)의 선단부분은 원추형상으로 하고 그 선단부분내에는 뒷쪽으로부터 앞쪽을 원추형으로만 스토퍼(5)를 끼우고 수납실(3)내에는 같은 원추꼴형상의 밀폐부재(4)가 끼워지도록 한 것이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밀봉부재(4)내에는 후단링(34)을 끼워 밀봉상태가 완전히 되도록 하고 필기부선단의 수납공(18)을 통해서 공기가 환류하는 공기실을 밀봉부재(4)내에 설치시키며 밀봉부재(4)의 선단부분은 왕복동체(1)의 선단개구보다 돌출되어져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밀봉상태에서 필기상태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필기구를 수평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로해서 먼저 녹크부재(16)를 누르면 왕복동체(1)가 전진하지만, 밀봉부재(4)는 필기부재(8)의 필기부(9)에 끼워진 채로 정지해 있어 밀봉부재(4)의 후단이 스토퍼(5)에 닿은 상태로 되는 것이 제19도에 나타나 있다.
또한 왕복동체(1)가 전진하면 밀봉부재(4)는 필기부(9)로부터 빠져나가 수납실(3) 아래쪽에 끼워져서 제20도의 상태로 되는데 이때 밀봉부재(4)는 필기부재(8)의 앞쪽으로 완전히 벗어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녹크부재(16)의 누름을 중지하면 녹크부재(16)와 왕복동체(1)는 스프링(s4) 임으로 뒤로 물러나게 되고 필기부(9)가 왕복동체(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제21도에 도시된 필기상태로 된다. 필기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기구의 선단 아래쪽에서 녹크부재(16)를 누르면 왕복동체(1)가 전진하여 필기부(9)가 밀봉부재(4)의 전진이 방해받지 않는 위치로 되어지므로 밀봉부재(4)는 수납실(3)내에서 미끄러내려져, 그 선단이 왕복동체(1)의 선단부 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제22도와 같은 상태로 된다. 여기서 녹크부재(16)의 누름을 놓으면 왕복동체(1)와 밀봉부재(4)는 뒤로 물러나서 밀봉부재(4)가 필기부재(8)의 필기부(9)에 끼워져 제18도와 같은 상태로 돌아간다.
제10실시예의 장점으로는 밀봉상태로부터 필기상태로 되어지게 하려면 대체로 필기구본체를 수평이나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하여 녹크부재(16)를 눌러주는 것만으로 족하며 필기구 본체의 상하부분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필기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되게하려면 필기구본체, 선단을 아래쪽으로 향하게하면서 녹크부재(16)를 눌러주는 것만으로 족하기 때문에, 이상에서 도시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지극히 편리하게 된다.
더구나, 필기구의 선단부를 샤프한 형상으로 만들기 쉬우며, 그 때문에 필기부재(8)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가는 부분을 특별히 길게할 필요도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를 제23도에 따라 설명하면 제11실시예는 제10실시예에 수납실(3) 부분을 약간 변형시킨 것이다. 제23도는 왕복동해(1)의 선단부분을 일부절결한 사시도인데, 수납실(3)을 원추꼴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왕복동체(1) 선단부분의 내면에다 원호상(圓弧狀)으로 짜낸 아내홈(36)을 몇개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안내홈(36)은 뒷쪽을 깊게하고 앞쪽으로 갈수록 점점 얕아지게한 것으로, 필기상태에서는 밀봉부재(4)가 어떤 하나의 아내홈(36)에 알맞게 끼워져 밀봉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필기구선단을 아래쪽으로 해서 왕복동체(1)를 전진시키면 밀봉부재(4)가 그 아내홈(36)에 안내되어 왕복동체(1) 선단의 개구로부터 돌출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 및 제13실시예를 제24도 및 제25도에 따라 설명하면, 밀봉부재(4)의 형성이나 왕복동체(1)의 선단부 구조를 제24도와 제2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으로 하였다.
한편, 이상에서 도시한 실시예예 있어서 밀봉부재(4)를 설치한 부분을 투명하게 해놓는다면, 밀봉부재(4)의 움직임이나 필기부(9)가 확실히 밀봉부재(4)에 끼워져있는지 여부를 밖에서 보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밀봉상태애 있어서 밀봉부재(4)의 선단을 관통공(2)밖으로 돌출되도록한 것에 있어서는, 밀봉부재(4)에다 착색을 하여 두면 밀봉되어 있을 때의 상태가 눈에 잘 띄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의 필기구는 수납실(3)내에 수납된 밀봉부재(4)가 자중에 의해 관통공(2) 위치로 와서 필기부재(8)의 필기부(9)를 밀봉하고, 자중으로 관통공(2) 위치를 벗어나서 필기부(9)가 전진할 수 있도록해서 관통공(2)으로부터 돌출시켜 필기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고, 필기구가 향하는 방향의 선택에 따라 필기구선단부와 필기부재(8)를 상대적으로 전진 후퇴시키는 조작만으로 밀봉상태나 필기상태가 되게할 수있으므로 극히 편리하며 구조도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Claims (1)

  1. 필기구선단부에 형성시킨 관통공(2) 뒤쪽에 수납실(3)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납실(3)내에 수납공(18)을 갖춘 밀봉부재(4)를 삽입설치하여, 밀봉부재(4)를 관통공(2)의 위치에서 벗어나게한 후 필기부재(8)를 필기구본체(11) 선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시킴에 따라 필기부재(8)의 필기부(9)가 필기상태로 전진되며, 밀봉부재(4)를 관통공(2) 위치로 오게한 후 필기부재(8)를 필기구본체(11) 선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진시키면 필기부재(8)의 필기부(9)가 밀봉부재(4)에 의해 전진이 방해되면서 밀봉부재(4)의 수납공(18)에 꼭 끼워져 밀봉되도록 한 필기구.
KR8203959A 1982-09-02 1982-09-02 필 기 구 KR84000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59A KR840002101B1 (ko) 1982-09-02 1982-09-02 필 기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59A KR840002101B1 (ko) 1982-09-02 1982-09-02 필 기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01B1 true KR840002101B1 (ko) 1984-11-15

Family

ID=1922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959A KR840002101B1 (ko) 1982-09-02 1982-09-02 필 기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135B1 (ko) * 2018-02-27 2019-05-31 강성황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135B1 (ko) * 2018-02-27 2019-05-31 강성황 골프공의 라인 마킹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4269A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US447973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retained in tip
KR840002101B1 (ko) 필 기 구
JP3262754B2 (ja) ノック式筆記具
US3344484A (en) Writing instrument
GB2104848A (en) Writing instrument
JPH08108676A (ja) キャップレス式の液体筆記具
CN211994850U (zh) 一种白板笔
US5632564A (en) Writing implement
JPS597111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JPS6227426Y2 (ko)
JPS6023185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JPS6334952Y2 (ko)
CN218446624U (zh) 旋转伸缩式电子笔
JPH0259078B2 (ko)
JPS6227425Y2 (ko)
JPH0219273Y2 (ko)
KR200184055Y1 (ko) 거꾸로도 잘 써지는 필기구
JPS6234791Y2 (ko)
JPH0311186Y2 (ko)
KR940006417Y1 (ko) 샤프펜의 심 압출장치
JPH1134575A (ja) 複式筆記具
JP3198418B2 (ja) 押出し式筆記具及び押出し式両頭筆記具
JPS6213833Y2 (ko)
WO1995018719A1 (en) A writing imp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