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927B1 -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927B1
KR101071927B1 KR1020100139883A KR20100139883A KR101071927B1 KR 101071927 B1 KR101071927 B1 KR 101071927B1 KR 1020100139883 A KR1020100139883 A KR 1020100139883A KR 20100139883 A KR20100139883 A KR 20100139883A KR 101071927 B1 KR101071927 B1 KR 101071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ap
stylus pen
main body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식
김용태
Original Assignee
문인식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인식, 김용태 filed Critical 문인식
Priority to KR1020100139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펜에 유연성을 가진 캡을 설치하는 한편 펜의 내 외부간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캡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감과 조작감을 향상시킨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스타일러스 펜은 본체의 일단부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여 본체를 통하여 외부와 통기되는 제1 통기구가 형성된 코어와 내부에 코어를 수용하고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면이 코어의 끝단부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터치스크린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키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탄성을 지닌 터치캡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 펜에 유연성을 가진 캡을 설치하는 한편 펜의 내 외부간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캡의 유연성을 향상시켜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감과 조작감을 향상시킨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전자기기 또는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 등 휴대성을 강조한 전자기기들의 시장 진출이 붐을 이루면서 이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사용이 대중화 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기본적으로 빛을 투사하여 시각적 영상을 만들어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면서도 아이콘 등의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직접 터치하여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굉장히 편리하며 따로 자판 등의 입력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기기를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이 강조되는 모바일 기기에서 그 사용이 거의 필수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터치 스크린은 크기가 작고 따라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도 그 크기가 작아 손가락으로는 세밀한 조작이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터치 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으로 불리는 펜 형상의 기구를 사용하여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조작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종래 스크린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감압 방식 터치 스크린(resistive touch screen)보다 인식률이 높고 섬세한 조작이 가능한 정전 방식 터치 스크린(capacitive touch screen)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스타일러스 펜 역시 기존에는 특별한 내부구조가 필요 없이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만 있으면 되었으나,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스타일러스 펜 내부에 도전체를 포함하여 형성한다거나 스크린과의 접촉면이 일정정도 확보되어야 하는 등의 새로운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타일러스 펜에 유연성과 도전성을 가진 캡을 형성하고 통기성이 확보된 구조를 적용하여 정전식 터치 스크린의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하고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감과 조작감을 향상시킨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본체의 일단부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를 통하여 외부와 통기되는 제1 통기구가 형성된 코어와 내부에 상기 코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면이 상기 코어의 끝단부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터치스크린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키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탄성을 지닌 터치캡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정전 방식의 터치 스크린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며, 스크린과 접촉하는 부분을 유연성을 가진 탄성 캡으로 형성하여 스크린과의 접촉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캡의 내외부로 통기가 가능하여 캡의 변형이 부드럽게 일어나 스크린과의 접촉면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더욱 안정적인 스크린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스타일러스 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스타일러스 펜의 전단부를 분해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a의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터치 캡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5c는 도 4의 터치 캡을 A-A'방향으로 절단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타일러스 펜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술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전단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도 3b, 도 3c는 도 1의 스타일러스 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터치 캡의 사시도이고, 도 5a, 도5b, 도5c는 도 4의 터치 캡을 A-A?방향으로 절개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팁(120)과 플랜지(110)로 구성되는 터치캡(100), 터치캡(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 통기구(311)를 가지는 코어(310), 코어(310)가 일 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코어바디(300), 터치캡(100)의 플랜지(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코어바디(300)에 결합함으로써 터치캡(100)을 고정시키는 캡 고정부(200), 코어바디(300)가 결합되는 본체(400), 본체(4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2 통기구(501)를 가지는 후단 커버(50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캡(100)은 스타일러스 펜(1)의 전단부 말단에서 직접 터치 스크린에 터치되어 터치 스크린에 신호를 발생시킨다.
정전식 터치 스크린은 내부에 도전체가 코팅되어 있으며, 스크린 외부 즉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다른 도전체가 접촉하면 스크린의 전기용량 또는 정전용량이 변화하는데 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에 직접 접촉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캡(100)은 도전체로 형성되거나 도전체를 포함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터치캡(100)은 내부에 카본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캡(100)은 유연성과 탄성을 가져 스크린에 터치됨에 따라 팁(120)의 일정부분이 스크린과 밀착하여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터치면을 형성하게 된다.
정전식 터치 스크린이 터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일정정도 이상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주어야 하는데 기존의 감압시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전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고 유연성이나 탄성이 없으면 도체로 형성되었어도 적절한 접촉면적을 확보가 불가능하고 따라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너무 작아 터치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내부에 도전체를 포함하여 형성되면서도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터치캡(100)을 형성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은 스크린상에 적당한 크기의 접촉면 즉, 터치면을 형성하게 되어 터치 스크린이 인식 가능한 만큼의 정전용량 변화를 만들어 내게 된다. 이를 위해 터치캡(100)의 폴리우레탄계의 합성수지나 실리콘, 천연 고무등의 탄성력과 복원력이 우수한 소재에 카본등의 도전성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코어(310)는 스타일러스 펜(1)의 본체(400)와 결합되는 코어바디(300)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 측에 제1 통기구(311)를 가진다
터치캡(100)이 캡 고정부(200)와 함께 코어바디(300)에 결합되면 코어(310)는 터치캡(100)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가 되고 터치캡(100)의 내부는 코어(310)와 함께 밀폐된다.
이 때, 터치캡(100)이 터치 스크린의 표면에 접촉하여 터치면을 형성하게 되면 내부의 공간이 축소되는데 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터치캡(100)의 내부 공기는 코어(310)의 일 측에 형성된 제1 통기구(311)를 통해 코어(310)의 내부로 이동하고 코어바디(300)와 본체(400)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스타일러스 펜(1) 후단부의 후단 커버(500)에 형성된 제2 통기구(501)를 통해 배출된다.
즉, 코어(310)와 터치캡(100)의 내부가 형성하는 공간은 제1 통기구(311)와 제2 통기구(501)를 통해 외기와 연통되어 공기가 입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스타일러스 펜(1) 사용시 터치캡(100)의 변형이 좀 더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터치면의 형성이 원활하게 되고 터치면을 원활하게 형성함에 따라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는 터치감이 향상되고 다양한 각도에서 안정된 터치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터치캡(100)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공기의 순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외부로의 반발력만이 크게 작용하여 터치면을 원활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 안정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제1 통기구(311) 또는 제2 통기구(501)의 크기나 개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순환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터치면생성시 내부압의 정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통기구의 개수나 크기가 적어 외부로의 공기 배출 속도를 상대적으로 늦추면 터치면에 밖으로 미쳐 빠져나가지 못한 공기가 터치면에 압력을 가해 너무 무르지 않은 적당한 터치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통기구의 개수를 늘리거나 크기를 크게하여 외부로의 공기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면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변형되는 터치캡(100)을 통해 적은 압력으로도 안정된 터치면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터치 스크린에 그림을 그리거나 직접 손글씨를 쓰는 등의 세밀한 터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설계가 적합할 것이다.
캡 고정부(200)는 터치캡(100)을 바깥에서 감싸되 터치캡(100)의 전단부는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터치캡(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0)를 이용하여 터치캡(100)을 캡 고정부(200)에서 이탈할 수 없도록 하여 코어바디(300) 또는 본체(400)에 결합된다.
한편, 캡 고정부(200)는 터치캡(100)을 교환할 수 있도록 코어바디(300) 또는 본체(4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터치캡(10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마모 또는 파손이 가능하여,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해야 하며 터치캡(1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캡 고정부(200)는 코어바디(300) 또는 본체(100)에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교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바디(300)는 원통형상으로 코어(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전단부는 터치캡(100)과 이를 고정하는 캡 고정부(200)와 결합되고, 후단부는 본체(400)와 결합되어 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코어(310)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본체(4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순환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본체(400)는 전단부가 코어바디(300)의 일 측과 결합되고 후단부가 후단 커버(500)와 결합되어 스타일러스 펜(1)의 외형을 만들며 역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코어바디(3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후단 커버(500)에 형성된 제2 통기구(50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공기 순환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터치캡(100)은 탄성과 유연성을 가져 스크린에 접촉시 스크린에 밀착되어 터치면을 형성하지만, 터치캡(100)의 내부에 수용된 코어(310)가 터치캡(100)이 일정 정도 이상 스크린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스타일러스 펜(1)을 터치 스크린에 압력을 가하여 접촉시켜도 터치캡(100)의 내부와 코어(310)가 만날 때 까지만 터치캡(100)이 스크린에 밀착되고 더 이상 밀착되지 않아 터치면의 영역(A1)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 스타일러스 펜(1)과 터치 스크린이 서로 수직하게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터치캡(100)의 유연성과 탄성에 의해 코어(310)와 터치캡(100)의 내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터치면은 일정한 영역(A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을 손에 쥐고 사용할 때 손목과 손가락등의 다양한 위치 변화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표면과 스타일러스 펜(1)이 이루는 각도가 불규칙 적으로 변하여도 계속하여 일정한 크기의 터치면을 유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안정적인 터치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터치캡(100)은 지지영역(P2)과 터치영역(P1)으로 구분되는데 지지영역(P2)은 내부에 수용되는 코어(310)와 맞닿아 코어(310)와 지지영역(P2)이 서로 힘을 교환하여 지지되며, 터치영역(P1)은 코어(310) 주변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코어(310)를 둘러싸 형성되며 스크린의 표면에 맞닿아 접촉하여 터치면을 생성한다. 이를위해 지지영역(P2)은 터치영역(P1)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터치영역(P1)은 지지영역(P2)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 터치면의 생성을 원할하게 한다.
지지영역(P2)은 코어(310)에 맞닿아 코어(310)와 서로 힘을 교환하여 지지되는 한편상대적으로 얇아 복원력이 부족한 터치영역(P1)으로도 일정 크기의 복원력을 제공하여 터치면을 생성하면서 변형되었던 터치영역(P1)이 스크린에서 분리 되면서 다시 원래의 형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도4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영역(P1)은 그 내부에 일정한 패턴의 무늬로패턴부(130a, 130b, 130c)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터치영역(P1)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반대로 터치영역(P1)이 스크린과의 접촉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터치면의 생성을 부드럽게 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 때, 패턴부(130a, 130b, 130c)는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나 동심원 형태 또는 다수의 점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패턴부(130a, 130b, 130c)는 밖으로 돌출된 돌출 패턴이거나 또는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형태로 오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스타일러스 펜의 전단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터치캡(100-1)의 플랜지(110)를 제거하여 슬림한 스타일러스 펜(1')이 가능한 구조이다. 즉, 터치캡(100-1)을 코어(310)에 직접 고정하고 슬림한 캡 고정부(200')를 본체(400)에 결합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캡(100-1)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제거하여 플랜지 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이 제거되어 터치캡(100-1)의 전체적인 외경이 감소하게 된다. 터치캡(100-1)의 내측에는 돌출부(110-1)가 형성되어 있고, 코어(31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10-1)가 삽입되는 오목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0-1)는 터치캡(100-1)의 내측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점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캡(100-1)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110-1)와 코어(310)의 외주면의 오목홈(320)이 서로 결합하면, 터치캡(100-1)의 탄성에 의해 터치캡(100-1)이 코어(3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터치캡(10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림한 형상의 캡 고정부(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스타일러스 펜(1')의 직경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캡 고정부(200')는 터치캡(100-1)의 돌출부(110-1) 및 코어(310)의 오목홈(320)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며, 본체(4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터치캡(100-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1')은 본체(4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터치캡(100-1)을 수용하는 커버(600)를 포함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버(600)의 일측에는 핸드 스트랩(610)이 연결되어 있어, 휴대폰 등의 악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은 레이저 포인트 기능과 조명 기능을 부가한 구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스타일러스 펜(1'')은 터치스크린용이라는 점에서 프리젠테이션에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1'')에 레이저 조사부(700)와 조명부(800)를 포함한다.
레이저 조사부(700)와 조명부(800)는 터치캡(100)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40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400)의 측부에 레이저 조사부(700)와 조명부(80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9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스타일러스 펜 100: 터치캡
110: 플랜지 110-1: 돌출부
120: 팁 130a, 130b, 130c: 패턴부
200: 캡 고정부 300: 코어바디
310: 코어 320: 오목홈
311: 제1 통기구 400: 본체
500: 후단 커버 501: 제2 통기구
600: 커버 610: 핸드 스트랩
700: 레이저 조사부 800: 조명부
900: 스위치

Claims (11)

  1. 본체의 일단부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를 통하여 외부와 통기되는 제1 통기구가 형성된 코어; 및
    내부에 상기 코어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면이 상기 코어의 끝단부로부터 이격형성되며, 터치스크린의 정전 용량을 변화시키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탄성을 지닌 터치캡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캡은 상기 코어의 중간부분과 밀착되며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코어의 끝단부와 인접한 터치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터치 영역은 내측면에 돌출 패턴 및 오목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는 스타일러스 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 및 상기 오목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동심원 형상,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중 어느 하나인 스타일러스 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외주면이 원통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터치 영역은 외면이 구의 일단부 형상으로 형성된 스타일러스 펜.
  6. 제 1항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터치캡의 끝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터치캡의 상기 지지 영역의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터치캡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캡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내측에 형성된 스타일러스 펜.
  8. 제 7항에 있어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터치캡의 끝단부가 돌출되며, 상기 터치캡의 돌출부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며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캡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후단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단 커버는 상기 제1 통기구와 연통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통기되는 제2 통기구가 형성된 스타일러스 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캡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핸드 스트랩이 연결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 및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KR1020100139883A 2010-12-31 2010-12-31 스타일러스 펜 KR10107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83A KR101071927B1 (ko) 2010-12-31 2010-12-31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883A KR101071927B1 (ko) 2010-12-31 2010-12-31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927B1 true KR101071927B1 (ko) 2011-10-12

Family

ID=4503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883A KR101071927B1 (ko) 2010-12-31 2010-12-31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9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85B1 (ko) 2012-11-15 2013-05-27 임경원 터치펜
KR101278936B1 (ko) * 2013-01-07 2013-06-28 주식회사 수미테크 은이 도금 코팅된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402B1 (ko) * 2013-06-11 2014-01-07 라윤상 다용도 터치펜
WO2016117787A1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트레이스 디지타이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28Y1 (ko) * 2001-10-17 2002-01-17 김성림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KR100930816B1 (ko) 2008-07-10 2009-12-09 배종현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슬림 스타일러스 펜
KR101003070B1 (ko) * 2010-05-03 2010-12-21 주식회사 제이아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828Y1 (ko) * 2001-10-17 2002-01-17 김성림 다용도 레이저 포인터
KR100930816B1 (ko) 2008-07-10 2009-12-09 배종현 휴대 단말기용 외장형 슬림 스타일러스 펜
KR101003070B1 (ko) * 2010-05-03 2010-12-21 주식회사 제이아이테크 스타일러스 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85B1 (ko) 2012-11-15 2013-05-27 임경원 터치펜
KR101278936B1 (ko) * 2013-01-07 2013-06-28 주식회사 수미테크 은이 도금 코팅된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402B1 (ko) * 2013-06-11 2014-01-07 라윤상 다용도 터치펜
WO2016117787A1 (ko) * 2015-01-20 2016-07-28 주식회사 트레이스 디지타이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32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6677580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7381542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KR10099255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RU2530306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I470312B (zh) 手持電子裝置
KR100904887B1 (ko) 휴대 단말기
KR200462321Y1 (ko) 볼펜 겸용 터치펜
JP2012050054A (ja) タッチスクリーン用キーボードパッド
KR101071927B1 (ko) 스타일러스 펜
JP6782567B2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TWI569184B (zh) Improved loop wearable touch display device
KR101015711B1 (ko)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JP2017217414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4374049B2 (ja) 電子機器
KR101071935B1 (ko) 터치펜
KR20150068883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120027602A (ko) 터치 스크린 조작용 입력 펜
TWI760581B (zh) 翻譯機
US20160132136A1 (en) Digital pen
CN215341002U (zh) 可穿戴电脑装置
CN101201710A (zh) 内置鼠标垫的光学鼠标
TWI755103B (zh) 外接式鍵盤與可攜式電子裝置
KR101371587B1 (ko)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CN113504827A (zh) 可穿戴电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