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985B1 - 터치펜 - Google Patents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985B1
KR101267985B1 KR1020120129367A KR20120129367A KR101267985B1 KR 101267985 B1 KR101267985 B1 KR 101267985B1 KR 1020120129367 A KR1020120129367 A KR 1020120129367A KR 20120129367 A KR20120129367 A KR 20120129367A KR 101267985 B1 KR101267985 B1 KR 10126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pen
coupled
cli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임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원 filed Critical 임경원
Priority to KR102012012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activated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은 사용자의 사용 중에 팁(60)이 손상되거나 다른 필기감을 원하는 경우, 상기 팁모듈(20)에서 상기 팁(60)을 다른 재질의 팁(6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팁모듈(20) 자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펜{Touch pen}
본 발명은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위한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감압 방식 혹은 터치된 부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그 위치를 파악하는 정전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터치펜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원하는 부분을 정확하게 터치하는 용도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문자나 그림 등을 입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정전 방식을 채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에 사용되는 터치펜의 경우에는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도록 터치스크린 패널에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터치펜의 펜 끝을 구성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펜의 펜 끝에는 카본이 함유된 팁이 배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펜은 사용과정에서 상기 팁이 파손되는 경우 터치펜 전체를 교체해야할 뿐만 아니라 팁이 터치펜과 일체로 조립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필기감의 팁으로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57285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7952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202009000514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0007013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75451
본 발명은 팁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위한 터치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터치패널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전달하는 터치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펜바디(10); 상기 펜바디(10)의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팁어셈블리(20); 상기 펜바디(10)의 타측에 결합된 클립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상기 팁어셈블리(20)는 상기 펜바디(10)에 결합되는 팁바디(40); 상기 팁바디(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팁바디(40)에 고정되는 팁홀더(50); 상기 팁홀더(50)의 단측에 결합되고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마찰됨으로서 필기감을 형성시키는 팁(60)을 포함하는 터치펜을 제공한다.
상기 팁(60)은 내측에 걸림홈(63)이 형성되고, 상기 팁홀더(50)는 상기 걸림홈(63)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53)가 형성되며, 상기 팁(60)은 상기 걸림부(53)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63) 및 상기 걸림부(53)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60)은 외측으로 돌출된 팁돌출부(66)가 형성되고, 상기 팁바디(40)는 내부에 팁걸림턱(46)이 형성되며, 상기 팁(60)이 상기 팁홀더(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팁바디(40)에 삽입될 때 상기 팁돌출부(66)는 상기 팁걸림턱(46)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팁(60)이 상기 팁바디(4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60)은 내측에 걸림홈(63)이 형성되고, 상기 팁홀더(50)는 상기 걸림홈(63)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걸림부(53)가 형성되며, 상기 팁(60)은 상기 걸림부(53)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걸림홈(63) 및 상기 걸림부(53)가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팁(60)은 외측으로 돌출된 팁돌출부(66)가 형성되고, 상기 팁바디(40)는 내부에 팁걸림턱(46)이 형성되며, 상기 팁(60)이 상기 팁홀더(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팁바디(40)에 삽입될 때 상기 팁돌출부(66)는 상기 팁걸림턱(46)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팁(60)이 상기 팁바디(4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은 사용자의 사용 중에 팁(60)이 손상되거나 다른 필기감을 원하는 경우, 상기 팁모듈(20)에서 상기 팁(60)을 다른 재질의 팁(6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팁모듈(20) 자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팁모듈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정면도
도 8은 도 5의 클립모듈 정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클립바디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클립 사시도
도 12는 도 2에서 팁모듈의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팁모듈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클립모듈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클립바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클립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에서 팁모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펜은 터치패널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펜바디(10)와, 상기 펜바디(10)의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팁모듈(20)과, 상기 펜바디(10)의 타측에 결합된 클립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펜바디(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펜바디(10)의 일측 내측면에는 상기 팁모듈(20)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바디나사산(11)이 형성된다.
상기 팁모듈(20)은 상기 펜바디(10)의 바디나사산(11)에 나사결합되는 팁바디(40)와, 상기 팁바디(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팁바디(40)에 고정되는 팁홀더(50)와, 상기 팁홀더(50)의 단측에 결합되고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마찰됨으로서 필기감을 형성시키는 팁(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팁모듈(20)과 상기 펜바디(10)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끼움결합과 같이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다른 결합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팁바디(40)는 외주면 타측에 상기 펜바디(10)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팁바디외주면나사산(42)과, 상기 팁홀더(50)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형성된 팁바디내주면나사산(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팁바디(40)는 상기 팁홀더(50)에 의해 관통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팁홀더(50)는 팁홀더바디(52)와, 상기 팁홀더바디(5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팁(60)과 걸림고정을 형성시키는 팁고정부(55)와, 상기 팁홀더바디(52)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팁바디내주면나사산(44)과 나사결합되는 팁홀더나사산(54)과, 상기 팁홀더(50) 및 상기 팁바디(40)의 나사결합 시 상기 팁바디(40)에 걸림을 형성시키는 스토퍼(56)를 포함한다.
상기 팁홀더바디(52)는 상기 팁바디(4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팁고정부(55)는 상기 팁바디(40)를 관통하여 상기 팁바디(40) 일측으로 일부가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팁고정부(55)는 상기 팁(60)에 의해 감싸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팁(60)에 형성된 팁홈(62)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팁(60)은 상기 팁고정부(55)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걸림부(53)에 상호 걸림되어 상기 팁고정부(55)에서 분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팁바디내주면나사산(44)과 상기 팁홀더나사산(54)의 체결 시 상기 팁바디(40)에 걸림되어 상기 팁홀더(50)가 소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팁(60)은 팁러버(61)와, 상기 팁러버(61)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팁고정부(55)가 삽입되는 팁홈(62)과, 상기 팁홈(6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53)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홈(63)과, 상기 팁러버(6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팁바디(40)의 내측에 형성된 팁걸림턱(46)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는 팁돌출부(66)를 포함한다.
상기 팁(60)은 정전식 터치패널에 대응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도전성 물질을 함유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팁고정부(55)는 상기 팁홈(62)에 삽입되고, 상기 팁(60)은 재질은 탄성에 의해 상기 팁고정부(55)를 감싸면서 밀착된다.
상기 팁고정부(55)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53)는 상기 팁(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63)에 삽입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팁(60)이 상기 팁홀더(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팁(60)의 팁돌출부(66)는 상기 팁바디(40)에 삽입될 때, 상기 팁바디(40) 내부에 형성된 팁걸림턱(46)에 걸려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팁(60)이 상기 팁바디(40)의 일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팁(60)은 상기 팁바디(40) 및 상기 팁홀더(50)와 각각 상호 걸림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팁모듈(20)의 결합구조를 통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팁모듈(20)은 상기와 같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팁모듈(20)을 상기 펜바디(10)와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은 사용자의 사용 중에 상기 팁(60)이 손상되거나 다른 필기감을 원하는 경우, 상기 팁모듈(20)에서 상기 팁(60)을 다른 재질의 팁(6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팁모듈(20) 자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립모듈(30)은 터치펜을 다이어리 또는 옷 등이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펜바디(10)에 결합된다.
상기 클립모듈(30)은 상기 펜바디(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클립바디(70)와, 상기 클립바디(70)에 결합되고 상기 클립바디(70)를 기준으로 상대회전되는 클립(90)과, 상기 클립(90) 및 상기 클립바디(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9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90)은 상기 클립바디(7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핀부(92)와, 상기 핀부(92)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부(94)와, 상기 회전부(94)에 형성되고 상기 클립바디(70)와 결합되며 가압 시 회전 중심을 형성시키는 클립축(9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94)는 상기 회전축(95)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가압 시 용이하게 회전되기 위해 상기 클립바디(70)에 접하는 면이 경사면(9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94)는 상기 펜바디(10)에 결합될 때, 일측이 상기 펜바디(10)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펜바디(10) 내주면에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클립(90)은 상기 회전부(94)가 상기 펜바디(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펜바디(10)에 상측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클립바디(70) 측으로의 소정각도 회전만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클립바디(70)는 상기 펜바디(10)에 끼움고정된 후 체결부재(32)를 통해 상기 펜바디(1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클립바디(70)는 상기 클립(90)의 회전중심을 형성시키는 회전홈(72)과, 상기 탄성부재(80)가 삽입되는 탄성홈(74)과, 상기 탄성홈(74)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80)가 걸림고정되는 탄성부재걸림부(76)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90)의 클립축(95)은 상기 회전홈(72)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94)은 상기 탄성홈(94)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탄성홈(94)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90)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클립바디(70)의 탄성홈(94)에 지지되는 클립바디지지부(82)와, 상기 클립바디지지부(8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클립(90)을 지지하는 클립지지부(84)와, 상기 클립바디지지부(82)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걸림부(76)가 삽입되는 클립고정홀(8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80) 판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코일스프링 등의 다른 형태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클립고정홀(86)에 상기 탄성부재걸림부(76)가 삽입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80)가 상기 탄성홈(74)에서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클립(90)의 타측을 누를 경우, 상기 클립축(95)을 기준으로 상기 클립(90)이 회전되면서 상기 클립(90)의 일측이 상기 펜바디(10)와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클립(90)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클립(9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클립(9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펜바디 20 : 팁모듈
30 : 클립모듈 40 : 팁바디
50 : 팁홀더 60 : 팁
70 : 클립바디 80 : 탄성부재
90 : 클립

Claims (4)

  1.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터치패널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전달하는 터치펜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펜바디(10); 상기 펜바디(10)의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팁어셈블리(20); 상기 펜바디(10)의 타측에 결합된 클립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상기 팁어셈블리(20)는
    상기 펜바디(10)에 결합되는 팁바디(40);
    상기 팁바디(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팁바디(40)에 고정되는 팁홀더(50);
    상기 팁홀더(50)의 단측에 결합되고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마찰됨으로서 필기감을 형성시키는 팁(60)을 포함하며,
    상기 팁홀더(50)의 일측에 형성된 팁고정부(55)는 상기 팁(60)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팁홈(62)에 삽입되고, 상기 팁(60)은 탄성에 의해 상기 팁고정부(55)를 감싸면서 밀착되며, 상기 팁고정부(55)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53)는 상기 팁홈(62)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63)과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면서 결합되고,
    상기 팁(60)은 외측으로 돌출된 팁돌출부(66)가 형성되고, 상기 팁바디(40)는 내부에 팁걸림턱(46)이 형성되며, 상기 팁(60)이 상기 팁홀더(5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팁바디(40)에 삽입될 때 상기 팁돌출부(66)는 상기 팁걸림턱(46)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팁(60)이 상기 팁바디(4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치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29367A 2012-11-15 2012-11-15 터치펜 KR10126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67A KR101267985B1 (ko) 2012-11-15 2012-11-15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67A KR101267985B1 (ko) 2012-11-15 2012-11-15 터치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985B1 true KR101267985B1 (ko) 2013-05-27

Family

ID=4866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367A KR101267985B1 (ko) 2012-11-15 2012-11-15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9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02B1 (ko) * 2013-06-11 2014-01-07 라윤상 다용도 터치펜
US10228774B2 (en) 2014-04-03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359869B2 (en) 2016-03-28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ylus p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61B1 (ko) * 2010-11-08 2011-08-05 주식회사 엠씨엘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KR101071927B1 (ko) 2010-12-31 2011-10-12 문인식 스타일러스 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61B1 (ko) * 2010-11-08 2011-08-05 주식회사 엠씨엘 휴대단말기용 스타일러스 펜
KR101071927B1 (ko) 2010-12-31 2011-10-12 문인식 스타일러스 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02B1 (ko) * 2013-06-11 2014-01-07 라윤상 다용도 터치펜
US10228774B2 (en) 2014-04-03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452165B2 (en) 2014-04-03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642380B2 (en) 2014-04-03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0359869B2 (en) 2016-03-28 201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ylus pen, electronic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 from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1943B2 (en) Micro touch pen structure including pen core with stop portion that moves together with magnetic unit when pressure is applied to movable portion of pen core
KR101267985B1 (ko) 터치펜
TWI536208B (zh) 主動式電容觸控筆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CN102938338B (zh) 键帽易拆卸机械键盘
JP2010048583A (ja) 回転センサ
JP6648134B2 (ja) 容量性スクリーン用のリバーシブルの先端部を備える手動装置
JP6107448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ダンパースプリング
CN106662937A (zh) 位置指示器及其制造方法
KR101418554B1 (ko) 스타일러스 펜
KR101290860B1 (ko) 스타일러스 팁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JP6061733B2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ペン
KR101614575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KR20200096819A (ko) 터치 펜
KR101180973B1 (ko) 터치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CN203689248U (zh) 平板电脑保护套
KR20120004850U (ko) 터치패널용 터치 펜
KR20120054362A (ko) 정전용량용 펜 접촉유닛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용 스타일러스 펜
WO2020125322A1 (zh)
TWI596513B (zh) 兼具電性導通與替換功能的筆蓋組件以及電容式觸控筆
KR200465800Y1 (ko) 터치패널용 터치 펜
CN215769684U (zh) 一种组合式触控笔
US8773402B2 (en) Stylus having lens member
KR101297911B1 (ko) 터치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