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911B1 - 터치펜 - Google Patents
터치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7911B1 KR101297911B1 KR1020120053338A KR20120053338A KR101297911B1 KR 101297911 B1 KR101297911 B1 KR 101297911B1 KR 1020120053338 A KR1020120053338 A KR 1020120053338A KR 20120053338 A KR20120053338 A KR 20120053338A KR 101297911 B1 KR101297911 B1 KR 101297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unit
- touch pen
- support
- p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탄력이 강화되어 용이하게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펜이 제공된다. 터치펜은, 몸체 및 탄성을 갖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일단부가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복수의 지주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탄성이 강화되어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전기 전자기기에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의 개발은 비교적 오래 전에 시작되었으나, 실제로 실용화되어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최근의 일이다. 터치스크린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각적 표시장치이자, 스크린 상에 표시된 영상을 터치하여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기기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장치/단말기(Terminal)이기도 하다. 터치스크린은 영상을 터치함으로써 기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별도의 입력장치/단말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기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서, 터치스크린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전자기기에 거의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있다. 근래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휴대용 기기의 대표적인 예이다. 터치스크린은 작동 원리에 따라 감압 방식 또는 저항 방식(Resistive type)으로 불리는 터치스크린과, 정전 방식(Capacitive type)의 터치스크린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나, 근래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은 대부분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서, 정전 방식 터치스크린은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를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부드럽고 민감한 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스크린이 모바일 기기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장착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면적은 감소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이 더욱 세밀하게 조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즉,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입력 아이콘이나 스크린 상에 나타난 입력 자판의 크기가 감소되어, 세밀하게 터치되지 않는 경우 엉뚱한 조작을 하게 되거나, 오타가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터치펜(Touch pen)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이라 불리는 필기구 형상의 입력 보조기구가 사용되었다. 종래 사용되던 터치펜은 특히 정전 방식으로 작동되는 터치스크린에 사용되기 위해 캡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성의 터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이러한 연성의 터치부가 터치스크린에 밀착되어 변형되면서 터치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되었다. 이러한 터치펜의 일 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38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단순히 연성의 터치부 만을 구비하고 있는 종래 터치펜의 경우, 탄력이 부족하여 필요이상으로 터치스크린에 밀착되어 세밀한 조작이 어렵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성의 터치부 내측에 탄성을 가진 지지체가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터치펜의 구성부가 증가하여 제작 단가가 상승하고, 터치펜의 제작 과정이 복잡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잡하지 않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탄성이 강화되어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펜은, 몸체; 및 탄성을 갖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부; 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도전성을 갖는 탄성부재를 접어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홈을 따라 접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홈이 개방된 방향, 또는 상기 홈이 개방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주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잇는 선의 수직방향으로 만입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된 굴절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펜은 상기 복수의 지주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주부는 상기 공간부의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상기 타단부를 감싸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터치부가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일 측에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펜은, 터치스크린에 밀착되어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부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져 제작이 용이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종래에 비해 탄성이 강화되어 세밀한 터치가 가능하여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에게 향상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펜을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터치펜의 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b의 터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터치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의 터치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펜을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터치펜의 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b의 터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터치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1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의 터치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치펜을 종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1)은 펜 형상의 몸체(200)와 몸체(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터치부(100)를 포함하며, 터치부(100)는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각각의 일단부가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주부(110) 및 복수의 지주부(110)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지주부(110)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導電性)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부(120) 역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1)은 터치부(100)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으며, 특히,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인식하는 정전방식(Capacitive type)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터치부(100)를 이루는 지주부(110)는 복수개가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터치부(100)의 탄성을 강화시킨다. 이에 따라 터치부(100)는 종래 사용되던 연성의 캡 형상 터치부에 비해 빠르게, 탄력적으로 복원되어 세밀한 터치면(터치부 표면이 터치스크린에 밀착되어 형성된 평면-도 4b의 A 참조)을 형성하게 됨과 동시에, 터치펜(1)의 사용자에게 무르지 않은 탄력적인 필기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1)은 별도로 결합되는 탄성 지지체 등을 따로 형성할 필요 없이 지주부(110) 및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컴팩트한 구조의 터치부(100)를 이용하여, 종래에 비해 더욱 세밀하고, 효과적인 터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더욱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터치면(A) 및 이러한 터치펜(1)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조작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터치펜(1)의 몸체(200) 양 단부에는 터치부(10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커버(210) 및 후단커버(230)가 각각 결합되며, 결합커버(210)와 후단커버(2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200)의 외곽에는 그립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립부(220)를 파지하여 터치펜(1)을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립부(220)는 원활하게 파지되도록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하여 형성되며, 이를 위해 마찰계수가 큰 고무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몸체(200)에 결합되거나, 이를 테면, 격자 패턴과 같은 미끄럼 방지 무늬를 몸체(200) 외곽에 형성하여 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터치펜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몸체(200)는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커버(210)가 결합되는 단부는 결합커버(210)와 함께 고정되는 터치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막힌 형태로 형성되고, 후단커버(230)가 결합되는 단부는 후단커버(230)를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되었으나, 몸체(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각형 기둥과 같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몸체(200) 양 단부의 형상 역시 이와 같이 한정될 것은 아니며, 결합커버(210) 및 후단커버(230)의 형태에 따라 또 다른 형상으로 변형 형성될 수 있다.
터치부(100)는 복수의 지주부(110) 및 지주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지주부(110)는 일단부가 지주부(110)의 외곽에 밀착되어 몸체(200)에 결합되는 결합커버(210)를 통해 몸체(200)와 결합되며, 타단부는 결합커버(2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연결부(120)는 지주부(110)의 노출된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터치부(100)는 몸체(200)의 단부에 형성된 펜 촉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터치펜(1)이 사용될 때 터치스크린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연결부(120)는 지주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주부(110)와 별도로 형성된 후, 지주부(1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지주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20)가 도시되었다.
지주부(110)는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됨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물질은 천연고무, 실리콘 또는 고무나 실리콘 성부을 포함하는 그 밖의 합성물질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가 지주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120) 역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펜(1) 사용시 지주부(110)와 함께 적절히 변형되어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주부(110) 및 연결부(120)는 도전성을 갖는다. 정전 방식(Capacitive type) 터치 스크린은 얇은 유리 패널의 일측 면에 도전성 물질이 코팅되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도전성 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타측 면에 다른 도전성 물질이 터치되면 스크린의 정전기장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인식한다. 따라서, 도전성을 갖는 지주부(110)와 연결부(120)로 이루어진 터치부(100)는 정전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주부(110) 및 연결부(120)는 카본 등 도전성 물질이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물질과 서로 합성되는 방식으로 탄성과 도전성을 함께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110)는 복수개가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터치부(100) 전체의 탄성을 강화시킨다. 이 때, 지주부(110)의 두께 변화에 따라 터치부(100)의 탄성력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으며, 지주부(110)의 길이 역시 결합커버(210)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부(100)의 노출 정도를 결정하여 터치부(100)의 지지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주부(110)의 두께 및 길이 변화는 지주부(11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지주부(11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된 경우 지주부(110)의 폭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지주부(110)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경우 지주부(110)의 폭은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지주부(110)의 길이는 결합커버(21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결합커버(210)는 터치부(100)를 몸체(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커버(210)는 내부가 관통되고, 관통된 부분이 터치부(100) 특히, 지주부(110)의 외곽부분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커버(210)의 내측면은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주부(110)의 일 측, 특히 외곽부분에는 결합커버(210)의 내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역시 단차진 형태의 단차부(111)가 형성되어, 이에 따라 결합커버(210)와 터치부(100)의 결합상태가 더욱 공고히 될 수 있다.
후단커버(230)는 몸체(200)에 결합되어 몸체(200) 내부를 밀폐한다. 후단커버(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부분을 가져 몸체(200)의 개방된 단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끼움 결합을 통해 역시 몸체(200)와 공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터치부의 형상 및 이러한 터치부를 이용한 터치펜의 사용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터치펜의 터치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b의 터치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터치부(100)는 복수의 지주부(110)와 연결부(12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터치부(100)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부재를 접어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0)는 한 쌍의 지주부(110)가 연결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주부(110) 및 연결부(120) 전체가 도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터치부(100)의 탄성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터치부(100)를 이루는 탄성부재는 홈부(130)를 따라서 접힐 수 있다.
홈부(130)는 접어서 터치부(100)를 형성하기 적절한 지점에 특별한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130)는 지주부(110)와 연결부(120)의 사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 위, 또는 필요한 경우 지주부(110) 위에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홈부(130)가 형성되면, 홈부(130)가 형성된 지점의 탄성부재의 두께가 감소하므로, 펼쳐진 상태의 지주부(110)가 서로 밀착되어 나란히 놓이도록 탄성부재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는 홈부(130)의 개방된 방향(도면상의 상방)으로 접힐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개방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홈부(130)는 탄성부재의 두께를 감소시켜 탄성부재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주부(11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의 수직방향(도면상에서는 홈부의 연장방향이 된다)으로 만입되거나 돌출 형성된 굴절보조부가 포함될 수 있다. 만입 또는 돌출 형성된 굴절보조부는 지주부(110)의 두께에 변화를 주어, 터치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지주부(110)의 특정 지점에 집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주부(110)는 굴절보조부 주위로 더 쉽게 굴절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가 홈부(130)를 따라 접히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의 터치부(100)가 형성된다. 접힌상태의 터치부(100)는 연결부(120)를 끝단부로 하여 원통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홈부(130)는 터치부(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탄성부재가 홈부(130)의 개방된 방향으로 접힌 경우이며, 개방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홈부(130)는 터치부(100)의 외곽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단차부(111) 역시 서로 밀착되어 입체적인 형상을 이룬다. 단차부(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10)의 바깥쪽을 따라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단차부(111)에 의해 지주부(110)의 두께가 증가되어 터치부(100)의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터치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터치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을 이루되, 지주부(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된다. 이 때 지주부(110)가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된다는 것은, 각각이 서로 평행하되, 서로 동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며, 탄성을 강화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중첩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말한다. 터치부(100)는 결합커버(210)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터치영역(P1)을 형성하게 되며, 결합커버(210)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은 결합커버(210) 및 몸체(200)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영역(P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영역(P2)은 터치펜(1) 사용시 상대적으로 적게 변형되어 터치부(100)의 지지력을 강화하게 되며, 터치영역(P1)은 적어도 일부가 터치스크린(T)에 밀착되고, 터치펜(1)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터치영역(P1)은 터치부(100)의 결합커버(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 전체가 될 수 있다.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T)에 밀착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0)의 표면에 일정한 영역의 터치면(A)이 형성되고, 터치면(A)은 터치스크린의 정전용량을 일정한 기준 이상으로 변화시켜 터치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터치면(A)이 너무 크게 형성되면, 원치 않는 영역에까지 터치가 이루어져 터치스크린(T)을 원활히 조작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반대로 터치면(A)이 너무 작게 형성되면, 터치스크린(T)의 정전용량 변화가 충분치 않아 터치스크린(T)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며, 따라서 역시 터치스크린(T)을 원활하게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때, 서로 나란히, 병렬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지주부(110)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적절한 크기의 터치면(A)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T)에 터치되는 때, 지주부(110) 각각은 몸체(200)와 터치스크린(T) 사이에 개재되며, 몸체(200)를 통해 터치스크린(T)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을 각각 분산하여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이 강화되어 종전과 같이 터치스크린(T)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크기의 터치면(A)을 형성하면서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터치면(A)의 크기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부(110)의 두께 및 길이를 적절하게 형성하여 터치부(100)의 탄력을 강화하거나, 필요한 경우 약화시켜 사용자의 사용자의 사용습관에 알맞은 적당한 크기의 탄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터치부(100)는 탄성력을 강화하기 위해 내측에 별도의 탄성 지지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터치부(100) 및 터치펜(1)은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세밀한 터치가 가능하고 이와 함께 사용자에게 향상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T)에 터치되면, 지주부(110)는 터치부(1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절되면서 터치부(100) 안쪽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주부(110)에 굴절보조부(미도시)가 형성된 경우, 지주부(110)는 굴절보조가 형성된 지점을 따라 더 쉽게 굴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의 제1 변형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1a)은 서로 나란히 병렬 배열된 복수의 지주부(110)를 포함하되, 지주부(110)의 사이에 지주부(110)와 지주부(110)가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공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간부(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에 결합된 지주부(110)의 일단부와 연결부(1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지주부(110)의 타단부를 잇는 방향 즉, 지주부(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T)에 밀착되는 때, 지주부(110)는 공간부(140)의 바깥쪽 즉, 공간부(1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이에 따라 지주부(110)가 더욱 유연하게 굴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시 적절한 크기의 터치면(A)이 형성되고, 이러한 터치펜(1a)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T)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공간부(140)가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공간부()는 지주부(110)의 사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의 제2 변형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의 터치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2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부(100)는 복수의 지주부(110)가 연결부(120)를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되, 연결부(120)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변형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지주부(110) 및 연결부(120)는 도전성을 갖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부(100)는 이러한 탄성부재가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20)와 지주부(110)의 사이에는 지주부(110)로부터 연결부(120)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120)와 지주부(110)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주부(110)는 경사부(131)가 형성된 연결부위를 따라 용이하게 접히며, 각각의 지주부(110)는 서로 접힌 상태에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부(100)를 구비한 터치펜(1b)에 있어서, 서로 나란히 병렬 배열된 복수의 지주부(110)는 서로 밀착되어 터치부(100)를 형성한다. 이 때 역시 결합커버(210) 내측에 위치한 터치부(100)의 일부는 지지영역(P2)을 형성하게 되고, 결합커버(210) 외측으로 노출된 터치부(100)의 나머지 일부는 터치영역(P1)을 형성하게 된다. 경사부(131)는 터치부(100)의 내측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터치부(100)가 변형되면서 역시 터치면(A)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각각의 지주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를 통해 전달된 외력을 분산시켜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이를 통해 적절한 크기의 터치면(A)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복수의 지주부(110)는 서로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부(100)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펜의 제3 변형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터치펜의 제3 변형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터치펜(1c)의 터치부(10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 아닌,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지주부(110)와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주부(110)는 서로 밀착된 채 각각의 일단부가 몸체(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부(120)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주부(110)의 타단부들을 감싸 지주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120)는 지주부(110)의 타단부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만입부(12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지주부(110)의 타단부는 두께가 감소되어 만입부(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지주부(110)의 타단부와 만입부(121)는 서로 결합된 뒤 접착되는 등의 고정방법을 이용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주부(110)와 연결부(120)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120) 및 지주부(110) 각각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지주부(110)와 연결부(120)는 모두 도전성을 갖되 각각의 탄성의 크기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지주부(110)는 탄성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탄력이 큰 물질로 형성되고, 연결부(120)는 연성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형성되어 터치면(A)의 크기가 더욱 유연하게 변화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연결부(120)의 탄력을 강화하여 외력의 크기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일정한 크기의 터치면(A)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터치부(100)가 터치스크린(T)에 밀착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110)는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절되어 터치부(10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을 분산시켜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지주부(110)의 탄력적인 변형에 따라 연결부(120)에 적절한 크기의 터치면(A)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터치부(100)를 갖는 터치펜(1c)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터치스크린(T)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1b, 1c: 터치펜 100: 터치부
110: 지주부 111: 단차부
120, 120c: 연결부 121: 만입부
130: 홈부 131: 경사부
140: 공간부 200: 몸체
210: 결합커버 220: 그립부
230: 후단커버
지지영역: P2 터치면: A
터치영역: P1 터치스크린: T
110: 지주부 111: 단차부
120, 120c: 연결부 121: 만입부
130: 홈부 131: 경사부
140: 공간부 200: 몸체
210: 결합커버 220: 그립부
230: 후단커버
지지영역: P2 터치면: A
터치영역: P1 터치스크린: T
Claims (9)
- 몸체; 및
탄성을 갖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며,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열되어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부; 를 포함하는 터치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도전성을 갖는 탄성부재를 접어서 형성한 것인 터치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홈을 따라 접히는 것인 터치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홈이 개방된 방향, 또는
상기 홈이 개방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것인 터치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잇는 선의 수직방향으로 만입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된 굴절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부는 상기 공간부의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터치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상기 타단부를 감싸는 것인 터치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가 상기 복수의 지주부의 일 측에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338A KR101297911B1 (ko) | 2012-05-18 | 2012-05-18 | 터치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3338A KR101297911B1 (ko) | 2012-05-18 | 2012-05-18 | 터치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7911B1 true KR101297911B1 (ko) | 2013-08-22 |
Family
ID=4922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338A KR101297911B1 (ko) | 2012-05-18 | 2012-05-18 | 터치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791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1795A (ja) * | 1996-12-03 | 1998-06-19 | Mitsubishi Pencil Co Ltd |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
JP2002149326A (ja) | 2000-11-06 | 2002-05-24 | Hironori Aizawa | スタイラスペン |
JP2011248774A (ja) | 2010-05-28 | 2011-12-08 | Fujitsu Component Ltd | タッチパネル用入力ペン |
WO2012060150A1 (ja) | 2010-11-02 | 2012-05-10 | 昭和電工株式会社 | 入力デバイス、入力方法および集合体 |
-
2012
- 2012-05-18 KR KR1020120053338A patent/KR1012979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1795A (ja) * | 1996-12-03 | 1998-06-19 | Mitsubishi Pencil Co Ltd |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
JP2002149326A (ja) | 2000-11-06 | 2002-05-24 | Hironori Aizawa | スタイラスペン |
JP2011248774A (ja) | 2010-05-28 | 2011-12-08 | Fujitsu Component Ltd | タッチパネル用入力ペン |
WO2012060150A1 (ja) | 2010-11-02 | 2012-05-10 | 昭和電工株式会社 | 入力デバイス、入力方法および集合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40828B1 (en) |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1066736B1 (ko) | 휴대용 단말기 | |
TWI585618B (zh) | 同時形成實體及電子筆跡的方法、套件、觸控筆及擦拭裝置 | |
US8508510B2 (en) | Stylus pen for capacitive type touch panel | |
US20100253485A1 (en) | Touch screen device | |
US20120146960A1 (en) | Touch pen | |
KR20150073959A (ko) | 터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디자인 | |
US20100214252A1 (en) | Touch panel component for capacitive panel | |
US20130234999A1 (en) | Input pen | |
KR20120004978A (ko) | 곡선형 표면 위의 터치 감지 방법 | |
KR102589844B1 (ko) | 터치 스크린 장치 | |
CN109144303A (zh) | 压力感测触控装置 | |
CN110347208A (zh) | 可携式电子装置与折叠式电子输入装置 | |
CN109791454A (zh) | 手写板 | |
KR101297911B1 (ko) | 터치펜 | |
CN106354289A (zh) | 触控显示装置 | |
KR101614575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 |
KR101180973B1 (ko) | 터치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 |
KR101165172B1 (ko) |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 | |
KR102291757B1 (ko) |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 |
KR101260904B1 (ko) | 터치 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갖는 필기구 | |
CN105045431A (zh) | 用于触摸屏终端的智能传感器及其触摸检测方法 | |
KR20210051360A (ko)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용 보조입력장치 | |
KR102154169B1 (ko) | 3축 포스센서 | |
US9465245B2 (en) | Touch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