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757B1 -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 Google Patents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757B1
KR102291757B1 KR1020170039265A KR20170039265A KR102291757B1 KR 102291757 B1 KR102291757 B1 KR 102291757B1 KR 1020170039265 A KR1020170039265 A KR 1020170039265A KR 20170039265 A KR20170039265 A KR 20170039265A KR 102291757 B1 KR102291757 B1 KR 10229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pad
digital
roll
type electronic
penci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481A (ko
Inventor
곽민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7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은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루마리형 전자필통{Rollable Electronic Pencilcase}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터치스크린으로도 이용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휘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로드 등을 중심축으로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권취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은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한다.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는 디지털 패드부와 연동되는 디지털 펜이고, 디지털 패드부는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은, 일단부는 자기유도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2mm이하의 뾰족한 침 형상으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정전용량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3mm이상의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디지털 펜을 구동할 수 있는 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은 일단부가 중심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중심부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타단부는 디지털 지우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를 구동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동부; 및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패드부는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센서층의 제1면에 형성된 종이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헤이즈를 가지는 유기필름층 및 센서층의 제2면에 형성된 가죽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시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층은 두께가 100㎛이하이고, 유기필름층 및 시트층은 각각 두께가 1 내지 3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있어서, 디지털 패드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을 포함하고, 디지털 패드부는 중심부에 감긴 후에 연결부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있어서, 디지털 패드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중심부에 감긴 후에 연결부로 묶이고, 연결부는 핸드폰, 컴퓨터 및 태블릿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센서층의 제1면에 형성된 종이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헤이즈를 가지는 유기필름층 및 센서층의 제2면에 형성된 가죽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시트층을 포함하는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고, 유기필름층은 표면에 가로축 눈금 및 세로축 눈금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은 멀티터치가 가능하고, 디지타이저 펜 라이팅이 가능한 터치패널로 전자노트를 구현가능하며, 전자노트를 통해 펜의 컬러를 제어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노트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을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연결부에 커넥터가 추가되어 핸드폰이나 컴퓨터와 쉽게 연결될 수 있어 전자노트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이 용이한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입력부가 중심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의 디지털 패드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입력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전원공급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은 입력부(111)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110); 및 중심부(110)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120);를 포함한다.
중심부(110)는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김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심부(110)는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김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중심부(110)는 일방향으로 긴 원통형상, 삼각기둥형상, 사각기둥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일 수 있다. 중심부(110)가 삼각기둥형상 또는 사각기둥형상인 경우,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김상태인 경우에도 삼각기둥의 각 면 또는 사각기둥의 각 면에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여 초소형 전자노트를 구현할 수 있다.
중심부(110)는 입력부(111), 구동부(112) 및 전원공급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디지털 패드부(120)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디지털 패드부(120)와 연동되는 디지털 펜일 수 있다. 입력부(111)는 중심부(110)의 어느 한 측면에 노출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력부(111)는 디지털 패드부(120)에 필기를 하기 위하여 중심부(11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입력부(111)가 중심부(110)로부터 탈착가능한 경우, 입력부(111)는 전체가 중심부(1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11)가 디지털 펜 및 디지털 펜을 안착시키기 위한 케이스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케이스를 남기고 디지털 펜만 중심부(1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입력부(111)의 기능제어,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는 메인장치(미도시)와의 통신시스템의 통신기능제어 및 디지털 패드부(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제어한다.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은 구동부(112)에 유선통신장치 및 메인장치(미도시)와 별도로 휴대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13)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중심부(110)의 형상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중심부(110)는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중심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패드부(120)의 면적이나 두께를 고려하여 중심부(110)에 감길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특히 정전용량형 센서 및 자기유도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용량형 센서는 전도성물질이 터치패널의 표면에 접촉될 때, 감지전극이 주변의 다른 감지전극과 또는 접지전극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의 터치센서이다.
자기유도형 센서는 감지전극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갖는 디지털 펜에 전자기 유도 현상이 발생하여 디지털 펜의 공진회로가 전류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전류에 의해 다시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감지전극은 자기장에 의한 전류를 발생시켜 발생된 전류에 의해 접촉위치가 감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은 터치가 입력되는 디지털 패드부(120)가 정전용량형 센서 및 자기유도형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두가지 방식의 장점을 취할 수 있다. 즉,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단순 명령입력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정전용량형 센서에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리거나 필기를 하는 등 정교한 입력이 필요한 경우 자기유도형 센서에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정전용량형 센서용 입력장치 및 자기유도형 센서용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유도형 센서의 경우 디지털 펜이 필요하므로 입력부(111)는 디지털 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전용량형 센서의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등으로 디지털 펜의 대체가 가능하므로 입력부(111)는 반드시 정전용량형 센서의 입력장치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부(111)는 일단부(111b)가 자기유도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2mm이하의 뾰족한 침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부(111b)는 정전용량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3mm이상의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1)는 내부에 디지털 펜을 구동할 수 있는 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입력부가 중심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부(111b)의 경우, 뾰족한 침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손상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뾰족한 일단부(111b)가 중심부(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도 4에서는 입력부(111)의 일단부(111b)가 구동부(112)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타단부(111b)는 중심부(1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정전용량형 센서 입력을 위한 타단부(111b)는 디지털 지우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특성상 중심부(110)에 감길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디지털 패드부(120)는 플렉서블 터치센서로서, 기판이나 전극 등이 중심부(110)에 감기고 펼쳐지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명령에 입력되는 제1면(121); 및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제2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21)은 앞면이고, 제2면(122)은 배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패드부(120)는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123), 센서층(123)의 제1면(121)에 형성된 종이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헤이즈를 가지는 유기필름층(121) 및 센서층(123)의 제2면(122)에 형성된 가죽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시트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층(123)은 두께가 100㎛이하이고, 유기필름층(121) 및 시트층(122)은 각각 두께가 1 내지 3 mm일 수 있다.
제1면(121)에는 입력부(111)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명령입력이 가능하다. 그림을 그리거나 필기를 하는 경우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1면(121)에는 가로축 눈금 및 세로축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눈금의 스케일은 디지털 패드부(120)의 크기나 입력장치의 성능 및 센서의 해상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제1면(121)은 명령이 입력되는 이외에도 그림을 그리거나 필기를 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조도를 나타내게 하여 종이 등과 같은 질감을 나타내어 사용자의 필기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입력이 수행되므로 그림그리기나 필기에 의한 표면손상에 저항성이 있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면(121)의 소정 위치에는 디지털 패드부(12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30)에는 다양한 기능키가 포함되어 입력장치의 컬러를 제어하거나, 메인장치(미도시)와의 통신시스템 연결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배면도이다. 도 2에는 도 1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뒷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1면(121)의 뒷면인 제2면(122)은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게 되면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내구성있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면(122)은 섬유재질, 플라스틱 필름재질, 천연가죽재질 및 인조가죽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입력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전원공급부가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중심부(110)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입력부(111)가 이탈할 수도 있고(도 6), 하부의 전원공급부(113)가 이탈할 수도 있다(도 7).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부(111) 및 전원공급부(113)가 모두 이탈할 수도 있다.
입력부(111)는 디지털 패드부(120)에 필기를 하는 경우, 중심부(110)에서 이탈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13)는 중심부(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중심부(110)로부터 이탈되어 외부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에서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중심부(110)를 둘러싸며 감기게 되고, 도 2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중심부(110)에 감겨있는 상태의 형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디지털 패드부(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 패드부(120)를 중심부(110)에 감기게 하면 전체 크기가 감소하게 되어 보관이나 휴대가 간편하고, 디지털 패드부(120)의 제1면(121)이 안쪽으로 감기게 되어 제1면(121)의 보호가 가능하다.
도 9는 도 6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서 디지털 패드부가 중심부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와 달리, 도 9 및 도 10의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은 중심부(110)에 입력부(111)가 이탈되었거나, 전원공급부(113)가 이탈된 상태이다. 중심부(110)에 입력부(111) 또는 전원공급부(113)가 없어도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는 것은 가능하다.
도 9에서는 입력부(111)가 이탈된 경우의 중심부(110)에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기게 되는데, 이에 따라 디지털 패드부(120)의 내부로 구동부(112) 및 전원공급부(113)의 일부(점선으로 표시)가 들어가게 되고, 전원공급부(11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전원공급부(113)가 이탈된 경우의 중심부(110)에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기게 되는데, 이에 따라 디지털 패드부(120)의 내부로 구동부(112) 및 입력부(111)의 일부(점선으로 표시)가 들어가게 되고, 입력부(11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중심부(110)의 입력부(111), 구동부(112) 및 전원공급부(113)는 각각 디지털 패드부(120)와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입력부(111)가 이탈된 경우 디지털 패드부(120)는 구동부(112) 및 전원공급부(113)과 체결된 상태로 감기게 되므로 형태 유지가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전원공급부(113)가 이탈된 경우에도 구동부(112) 및 입력부(111)와 체결된 상태로 중심부(110)에 감기게 되므로 형태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디지털 패드부(120)에 필기를 위하여 입력부를 이탈시키거나 전원공급부(113)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탈시키는 경우에도 디지털 패드부(120)를 중심부(110)에 감기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입력부(111)나 전원공급부(113)는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긴 상태에서 중심부(110)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의 배면도이다. 디지털 패드부(12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150);을 포함하고, 디지털 패드부(120)는 중심부(110)에 감긴 후에 연결부(150)으로 묶일 수 있다.
디지털 패드부(120)의 제2면(122)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연결부(150)가 인출되는 인출부(140)가 위치하여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을 메인장치(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150)가 인출된다. 연결부(150)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과 메인장치(미도시)간의 신호전달을 위한 신호케이블이다. 연결부(150)는 제2면(122)의 어느 측면에서 인출되는데,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게 되는 경우 인출부(140)가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면 연결부(15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없게 되므로 도 11에서와 같이 인출부(140)는 제2면(122)의 최외곽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50)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 및 메인장치(미도시)와의 신호연결기능 이외에도,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게 되면 디지털 패드부(120)의 감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노출된 제2면(122)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묶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부(150)는 신호케이블을 포함하며, 연결부(150)는 신호케이블이 가죽재질이나 섬유재질 등의 외부보호층으로 둘러싸인 구조로 구현되어 외부충격 등에 내구성있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50)는 핸드폰, 컴퓨터 및 태블릿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가능한 커넥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루마리형 전자필통(100)에서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겨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감기게 되면, 제2면(122)이 외부로 노출된다. 제2면(122)의 일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150)는 감겨있는 디지털 패드부(1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묶게 되고, 커넥터(160)도 디지털 패드부(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연결부(150)에 의해 디지털 패드부(120)가 감겨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3)에 외부전원과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도 디지털 패드부(120)가 중심부(11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있는 상태로 충전이 가능하여 어느 곳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110 중심부
111 입력부
112 구동부
113 전원공급부
120 디지털 패드부
121 제1면
122 제2면
130 조작부
140 인출부
150 연결부
160 커넥터

Claims (12)

  1.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으로서,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한 다각기둥형상이고,
    디지털 패드부는 감김 상태인 경우에 다각기둥의 면에 필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상기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디지털 패드부와 연동되는 디지털 펜이고,
    상기 디지털 패드부는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펜은,
    일단부는 자기유도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2mm이하의 뾰족한 침 형상으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정전용량형 디지털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는, 3mm이상의 폭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디지털 펜을 구동할 수 있는 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펜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중심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는 디지털 지우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를 구동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동부; 및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패드부는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상기 센서층의 제1면에 형성된 종이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헤이즈를 가지는 유기필름층 및
    상기 센서층의 제2면에 형성된 가죽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서층은 두께가 100㎛이하이고,
    상기 유기필름층 및 상기 시트층은 각각 두께가 1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10.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있어서,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한 다각기둥형상이고,
    디지털 패드부는 감김 상태인 경우에 다각기둥의 면에 필기가 가능하고,
    상기 디지털 패드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패드부는 상기 중심부에 감긴 후에 상기 연결부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11.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된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에 있어서,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한 다각기둥형상이고,
    디지털 패드부는 감김 상태인 경우에 다각기둥의 면에 필기가 가능하고,
    상기 디지털 패드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인출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중심부에 감긴 후에 상기 연결부로 묶이고,
    상기 연결부는 핸드폰, 컴퓨터 및 태블릿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12. 입력부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 감김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자기유도형 센서 및 정전용량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층, 상기 센서층의 제1면에 형성된 종이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헤이즈를 가지는 유기필름층 및 상기 센서층의 제2면에 형성된 가죽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시트층을 포함하는 디지털 패드부;를 포함하고,
    중심부는 디지털 패드부가 감김 가능한 다각기둥형상이고,
    디지털 패드부는 감김 상태인 경우에 다각기둥의 면에 필기가 가능하고,
    상기 유기필름층은 표면에 가로축 눈금 및 세로축 눈금을 포함하는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KR1020170039265A 2017-03-28 2017-03-28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KR10229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65A KR102291757B1 (ko) 2017-03-28 2017-03-28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65A KR102291757B1 (ko) 2017-03-28 2017-03-28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81A KR20180109481A (ko) 2018-10-08
KR102291757B1 true KR102291757B1 (ko) 2021-08-24

Family

ID=6386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265A KR102291757B1 (ko) 2017-03-28 2017-03-28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178B1 (ko) * 2022-06-10 2022-09-05 (주) 아하 두루마리 타입의 멀티 터치 센서형 디지털 노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8B1 (ko) * 2005-03-23 2013-09-23 에포스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디지털 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897A (ja) * 2004-02-06 2005-08-1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FI20120340A (fi) * 2012-10-08 2014-04-09 Canatu Oy Kosketusrajapintalaite ja rakenne
KR20140046327A (ko) *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72173B1 (ko) * 2015-07-07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78B1 (ko) * 2005-03-23 2013-09-23 에포스 디벨롭먼트 리미티드 디지털 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81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6919E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mage
US1130112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input error in input apparatus
KR102090964B1 (ko)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3040828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164977A1 (en) Benda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817464B2 (en)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ic pe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US9195351B1 (en) Capacitive stylus
US10234963B2 (en) Touch p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20000751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98510B2 (en)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11460933B2 (en) Shield electrode for input device
CN103838507A (zh) 触摸感应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0002588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KR102291757B1 (ko) 두루마리형 전자필통
JP2005018492A (ja) フレキシブルマット型情報入力表示装置およびフレキシブルマット型情報処理装置
KR102179005B1 (ko) 개량형 두루마리 타입 전자 터치 노트
KR102017773B1 (ko) 두루마리 타입의 전자 터치 노트
KR1021794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86297B1 (ko) 휴대 단말기 커버, 휴대 단말기 보호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지타이저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229296B1 (ko) 필기인식용 터치스크린
CN208477503U (zh) 一种穿戴设备电容式触摸屏
KR20170112821A (ko) 터치 화면과 터치 키보드의 터치 기능 공통 제어 장치, 이를 이용한 터치 키보드 및 터치 화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