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44Y1 - 차량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44Y1
KR200260644Y1 KR2020010025746U KR20010025746U KR200260644Y1 KR 200260644 Y1 KR200260644 Y1 KR 200260644Y1 KR 2020010025746 U KR2020010025746 U KR 2020010025746U KR 20010025746 U KR20010025746 U KR 20010025746U KR 200260644 Y1 KR200260644 Y1 KR 200260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bs
sunshade
vehicl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수
박영규
Original Assignee
권혁수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수, 박영규 filed Critical 권혁수
Priority to KR2020010025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44Y1/ko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차량의 소정 글래스 넓이에 상응하는 면적내에서의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윈드쉴드글래스와 백글라스와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 등에 각각 적용되도록 하여 적용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요하지 않아 그 만큼 연장된 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한 본 고안에서는, 차실내의 소정 패널 상측으로 구비되는 길이가 긴 함체 형태의 몸체(102); 상기 몸체(102) 내부로의 접철 및 몸체(102)로부터 인출되면서 부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2) 내부 일측단 부위에 힌지 결합되는 차양수단(112); 접혀져 상기 몸체(102)내로 인입되는 상기 차양수단 (112)의 상측에서 상기한 몸체(102)의 상측 개구부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102) 일측단 부위에 상기 차양수단(112)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커버(134); 상기 차양수단(112)으로 하여금 상기 몸체(102)로부터 인출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작동력을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102)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차양작동수단(132); 상기 커버(134)의 몸체(102) 개구부 여닫음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2) 타측단 부위에 구비되는 록킹수단(122)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차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차광장치{sunvisor}
본 고안은 차량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드수리드글래스 및 백글래스,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 등을 통하여 차실내로 입사되는 태양광선을 필요에 따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광을 위한 차광장치, 특히 차량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선바이져(sunvisor)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의 차단판(2) 상단 일측을, 지지대(4)에 의해 루프(6)의 고정구(8)에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8)는 악력이 작용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지지대(4)와 볼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단판(2)을 자유로이 절곡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임의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체시킬 수 있고, 따라서 태양광의 입사각에 대응하여 적절한 차광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선바이져는, 그 볼결합된 부위가 차량의 윈드쉴드글래스와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의 경계 부위에 있게 되므로 차단판(2)의 회동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윈드쉴드글래스(W) 및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D)를 부분적으로 가려서 이들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일부 차단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선바이져는, 차단판의 넓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윈드쉴드글래스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의 차광범위는 그만큼 좁고, 또 윈드쉴드글래스에만 적용되므로 적용범위 또한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른 선바이져가 고안되어 있는데, 상기 다른 선바이져는 상기한 차단판(2)의 안쪽면에 주름판(10)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확대된 넓이에서의 차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다른 선바이져 역시 적용범위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조작하여 그 정체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사용상 불편이 초래되며, 아울러 그 연결부위가 볼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높은 내구성을 요하게 됨과 동시에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소정 글래스 넓이에 상응하는 면적내에서의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윈드쉴드글래스와 백글라스와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 등에 각각 적용되도록 하여 적용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요하지 않아 그 만큼 연장된 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된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차광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광장치에 대한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장치에 적용된 록킹수단의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사시도,
도 6은 차량에 적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취 및 부분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적인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몸체
112 : 차양수단
122 : 록킹수단
132 : 차양작동수단
134 : 커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실내의 소정 패널 상측으로 구비되는 길이가 긴 함체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의 접철 및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부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부 일측단 부위에 힌지 결합되는 차양수단; 접혀져 상기 몸체내로 인입되는 상기 차양수단의 상측에서 상기한 몸체의 상측 개구부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일측단 부위에 상기 차양수단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커버; 상기 차양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작동력을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차양작동수단; 상기 커버의 몸체 개구부 여닫음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타측단 부위에 구비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차양수단이, 부채 형태로 펴져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소정 글래스 외곽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고, 그 각각의 일측단부가 상기한 다수 몸체의 일측단부에 중첩상태로 힌지 결합되되, 최외곽의 어느 하나의 것만이 상기한 몸체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고 최외곽의 다른 하나의 것만이 상기한 커버에 위치 고정되는 다수의 리브; 상기 다수 리브들이 몸체로 인입될 때 자체적으로 접혀져 몸체 내부로 다수 리브들과 함께 내재될 수 있고, 부채 형태로 펼쳐진 상태의 상기 다수 리브들이 매립되도록 다수 리브들의 양측에서 리브들과 부착 결합되도록 구비된 차양면체로 구성되는 차량용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이, 상기 차양수단을 이루는 상기 차양면체에, 펼쳐졌을 때 몸체로부터 최외곽에 위치되는 단부로 그 내측면이 연장되고, 그 일측단이 상기 몸체 일측단의 리브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며, 차양면체 및 다수 리브들이 접철 상태로 몸체 내부로 각각 인입되었을 때 몸체 상측의 개구부를 닫게되는 형태로 몸체와 일시적으로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한 커버부재 전체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보상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단부에 탄력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재; 상기한 록킹수단을 통한 록킹 해제조작에 따라 다수의 리브들이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탄력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다수 리브들의 힌지부위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록킹수단이, 상기 차양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신축부재의 자유단측에 형성되는 랫치부; 상기 랫치부를 선택적으로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몸체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로 하여금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록킹부재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다른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몸체가, 그 상측이 개구된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다수의 구멍이 뚫린 격벽이 그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차양수단이,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었을 때차량의 소정 글래스 양측단부 외곽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중첩 상태하에서 상기 몸체로 내재될 수 있는 길이 및 그 각각의 장변부가 부분적으로 연속하여 중첩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다수의 평판리브; 상기 다수의 평판리브들 각각이 몸체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졌을 때 등간격의 위치로 배치되도록 다수의 평판리브를 엮어 구속하게 되며, 그 하측단들은 상기 몸체 저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상측단들이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각기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는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커버가, 그 상측이 개구되는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의 상측단부 구간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다른 격벽이 그 내부에 분할 및 직립되는 형태로 고정 형성된 커버함체부와, 이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개폐판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이, 상기 커버내의 복수개 격벽의 분할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들과 그 외측 단부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구조로 커버에 내장되며, 그 중첩 부위로 장공이 뚫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힌지단: 상기한 한 쌍의 힌지단 각 장공으로 끼워지는 핀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커버에 장착되는 노브; 상기한 몸체의 저면에 그 하측단들이 고정되는 탄성체로서의 고무줄로 형성되고, 상기 차양수단을 관통하여 그 상측단들이 상기한 커버에 고정되는 복수의 리턴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2), 커버(134), 차양수단(112), 차양작동수단(132), 록킹수단(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2)는, 그 양단부가 막히고 상측만이 개구된 좁고 긴 수로의 형태로 형성되어 전,후의 좌,우측 사이드 도어글래스(D) 및 윈드쉴드글래스(도시생략)와 백글래스(도 5 및 도 8 참조) 등에 위치 상응되도록 차실내의 소정 패널 상측으로 각각 함몰, 또는 노출 상태로 장착된다.
또 상기 차양수단(112)은, 다수의 리브(114)와, 적어도 일면 이상의 차양면체(116)(118)로 구성되되, 상기 다수의 리브(114)들이,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소정 글래스 외곽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어 있고, 또 그 각각의 일측단부가 상기한 다수 몸체(102)의 일측단부에 중첩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일측의 것 타측단부가 상기한 몸체(102) 내부에서 위치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측의 것 타단부 역시 상기한 차양작동수단(132)을 이루는 하나의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차양작동수단 (132)의 움직임에 따라 다수의 리브(114) 및 이의 양측으로 부착된 차양면체(116) (118)가 부채꼴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차양작동수단(132)은, 상기 커버(134)로부터 신축되는 신축부재(136)와, 토션스프링(13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34)는 그 일측단이 상기 몸체(102) 일측단의 리브(114) 힌지부에 다수 리브(114)들과 함께 핀 결합되는 힌지단으로 형성되고, 그 타측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차양면체(116)(118) 및 다수 리브(114)들이 접철 상태로 몸체(102) 내부로 각각 인입되었을 때 몸체(102) 상측의 개구부를 닫게되는 형태로 몸체(102)와 일시적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신축부재(136)는, 상기 커버(134) 전체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보상되도록, 상기 커버(134)의 타측단부에 탄력적인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토션스프링(138)은 상기 록킹수단(122)을 통한 록킹 해제조작에 따라 다수의 리브(114)들이 몸체(102)로부터 인출되면서 탄력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다수 리브(114)들의 힌지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122)은, 상기 차양작동수단(132)을 구성하는 신축부재 (136)의 자유단측을 부분적인 랫치부(124)로 하고, 이러한 랫치부(124)를 선택적으로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몸체(102)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록킹부재(126) 및 상기 록킹부재(126)로 하여금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록킹부재(126)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다른 토션스프링(128)을 구비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은 상기한 몸체(102)가 격벽(170)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한 차양수단(112)이 다수의 평판리브(140) 및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 (142)(144)로 구성되고, 상기한 커버(154)가 커버함체부(150)와 커버개폐판부(152)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이 한 쌍의 힌지단(158)과 노브(160) 및 복수의 리턴부재(162)(164)(166)(168)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한 몸체(102)가, 그 상측이 개구된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다수의 구멍이 뚫린 격벽(170)이 그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차양수단(112)을 이루는 다수의 평판리브(140)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소정 글래스 양측단부 외곽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중첩 상태하에서 상기 몸체(102)로 내재될 수 있는 길이 및 그 각각의 장변부가 부분적으로 연속하여 중첩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142)(144)는 상기한 다수의 평판리브(140)들 각각이 몸체(102)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졌을 때 등간격의 위치로 배치되도록 다수의 평판리브(140)를 엮어 구속하게 되며, 그 하측단들은 상기 몸체(102) 저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상측단들은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각기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버(154)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커버(154)는, 그 상측이 개구되는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142)(144)의 상측단부 구간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다른 격벽(156)이 그 내부에 분할 및 직립되는 형태로 고정 형성된 커버함체부(150)와, 이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개폐판부 (152)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힌지단(158)이, 상기 커버(154)내의 복수개 격벽(156)의 분할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142)(144)들과 그 외측 단부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구조로 커버(154)에 내장되며, 그 중첩 부위로 장공(H)이 뚫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노브(160)는 상기 한 쌍의 힌지단(158) 각 장공으로 끼워지는 핀(P)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132)의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커버(15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리턴부재(162)(164)(166)(168)는, 상기한 몸체(102)의 저면에 그 하측단들이 고정되는 탄성체로서의 고무줄로 형성되고, 상기 차양수단 (112)을 관통하여 그 상측단들이 상기한 커버(15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광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량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에 적용되거나, 도 8에서와 같이 백글래스에 적용되어 차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광장치는, 차량의 소정 글래스 넓이에 상응하는 면적내에서의 차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윈드쉴드글래스와 백글라스와 사이드도어의 도어글래스 등에 각각 적용되도록 하여 적용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게 되며, 간편한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높은 내구성을 요하지 않아 그 만큼 연장된 수명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차실내의 소정 패널 상측으로 구비되는 길이가 긴 함체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내부로의 접철 및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부채 형태로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부 일측단 부위에 힌지 결합되는 차양수단;
    접혀져 상기 몸체내로 인입되는 상기 차양수단의 상측에서 상기한 몸체의 상측 개구부를 닫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일측단 부위에 상기 차양수단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커버;
    상기 차양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펼쳐지도록 하는 작동력을 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차양작동수단;
    상기 커버의 몸체 개구부 여닫음 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타측단 부위에 구비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차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양수단이,
    부채 형태로 펴져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소정 글래스 외곽면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고, 그 각각의 일측단부가 상기한 다수 몸체의 일측단부에 중첩상태로 힌지 결합되되, 최외곽의 어느 하나의 것만이 상기한 몸체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고 최외곽의 다른 하나의 것만이 상기한 커버에 위치 고정되는 다수의 리브;
    상기 다수 리브들이 몸체로 인입될 때 자체적으로 접혀져 몸체 내부로 다수리브들과 함께 내재될 수 있고, 부채 형태로 펼쳐진 상태의 상기 다수 리브들이 매립되도록 다수 리브들의 양측에서 리브들과 부착 결합되도록 구비된 차양면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이,
    펼쳐졌을 때 몸체로부터 최외곽에 위치되는 단부로 그 내측면이 연장되고, 그 일측단이 상기 몸체 일측단의 리브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며, 차양면체 및 다수 리브들이 접철 상태로 몸체 내부로 각각 인입되었을 때 몸체 상측의 개구부를 닫게되는 형태로 몸체와 일시적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차양수단을 이루는 상기 차양면체에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한 커버부재 전체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보상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단부에 탄력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재;
    상기한 록킹수단을 통한 록킹 해제조작에 따라 다수의 리브들이 몸체로부터 인출되면서 탄력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다수 리브들의 힌지부위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
  4.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수단이,
    상기 차양작동수단을 구성하는 신축부재의 자유단측에 형성되는 랫치부; 상기 랫치부를 선택적으로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몸체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록킹부재;
    상기 록킹부재로 하여금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록킹부재의 힌지부에 구비되는 다른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가,
    그 상측이 개구된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다수의 구멍이 뚫린 격벽이 그 저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양수단이,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었을 때 차량의 소정 글래스 양측단부 외곽에 그 단부들이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중첩 상태하에서 상기 몸체로 내재될 수 있는 길이 및 그 각각의 장변부가 부분적으로 연속하여 중첩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 및 구비되는 다수의 평판리브;
    상기 다수의 평판리브들 각각이 몸체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졌을 때 등간격의 위치로 배치되도록 다수의 평판리브를 엮어 구속하게 되며, 그 하측단들은 상기 몸체 저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상측단들이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각기 연장된 형태로 상기 커버에 부분적으로 내재되는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커버가,
    그 상측이 개구되는 긴 함체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의 상측단부 구간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다른 격벽이 그 내부에 분할 및 직립되는 형태로 고정 형성된 커버함체부;
    이의 상측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버개폐판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양작동수단이,
    상기 커버내의 복수개 격벽의 분할 부위에서 상기 한 쌍의 평판리브구속부재들과 그 외측 단부들이 각각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구조로 커버에 내장되며, 그 중첩 부위로 장공이 뚫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힌지단:
    상기한 한 쌍의 힌지단 각 장공으로 끼워지는 핀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외부로 부분 노출되도록 커버에 장착되는 노브;
    상기한 몸체의 저면에 그 하측단들이 고정되는 탄성체로서의 고무줄로 형성되고, 상기 차양수단을 관통하여 그 상측단들이 상기한 커버에 고정되는 복수의 리턴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광장치.
KR2020010025746U 2001-08-24 2001-08-24 차량용 차광장치 KR200260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46U KR200260644Y1 (ko) 2001-08-24 2001-08-24 차량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46U KR200260644Y1 (ko) 2001-08-24 2001-08-24 차량용 차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933A Division KR20030013754A (ko) 2001-08-09 2001-08-09 차량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44Y1 true KR200260644Y1 (ko) 2002-01-15

Family

ID=7310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746U KR200260644Y1 (ko) 2001-08-24 2001-08-24 차량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6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3787A1 (en) Sun screen for vehicle
JPH0257425A (ja) 運搬具用日よけ具
ES2348475T3 (es) Parasol con conjunto de espejo.
KR200260644Y1 (ko) 차량용 차광장치
KR20030013754A (ko) 차량용 차광장치
US6315356B1 (en) Sunshade/sunscreen combo
US20050095903A1 (en) Take-up cassette for holding a cable of a sliding guide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take-up cassette
KR100646422B1 (ko) 크기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차광기
JPH068730A (ja) 自動車の後部窓用日除け
KR200414708Y1 (ko) 차량용 차광기구
KR19980016168U (ko) 차양막을 겸한 자동차의 어시스트그립
JP4397231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426153B2 (ja)
KR100931062B1 (ko) 차량의 천장 부착형 햇빛가리개
JPH0825973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
KR20000017138U (ko) 차량 창문 가리개
KR200333371Y1 (ko) 인출식 햇빛가리개가 내장된 자동차용 썬바이저
KR200255938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0690972B1 (ko) 통풍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차양부재
KR19990019143A (ko) 도어 내장용 블라인드
KR960001516Y1 (ko) 절첩식 조립구조물용 절첩조절구
KR20000006743U (ko) 차광막이 내장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90015498U (ko) 차량용 차광장치
KR920005973Y1 (ko) 차량용 햇빛 가리개
JP3101953U (ja) 自動車用遮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