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323Y1 -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323Y1
KR200260323Y1 KR2020010032203U KR20010032203U KR200260323Y1 KR 200260323 Y1 KR200260323 Y1 KR 200260323Y1 KR 2020010032203 U KR2020010032203 U KR 2020010032203U KR 20010032203 U KR20010032203 U KR 20010032203U KR 200260323 Y1 KR200260323 Y1 KR 200260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upport bracket
holder
cover shee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2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323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과 후방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와, 상기 화물탑재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커버시이트의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의 일부영역에 마련되는 스톱퍼부; 및 상기 권취부를 수용하는 권취부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시이트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상기 스톱퍼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의 처짐을 제한하는 지지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철회상태에서 홀더부의 처짐 및 이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는 래틀 노이즈(Rattle Noise)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CARGO SCREEN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뒷좌석과 후방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와, 상기 화물탑재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커버시이트의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왜건은 사용자가 차량에 많은 물건을 탑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으로, 차량의 후방이 일반승용차에 비해 길고 그 내부가 넓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왜건에는 일반적으로 뒷좌석의 권취부로부터 후방도어의 내측면까지 커버시이트가 회전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된 카고 스크린이 설치되어, 화물이 탑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물탑재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화물을 탑재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시이트가 화물탑재부의 후방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철회되어 권취부에 감긴 상태에 있도록 한다.
도 5는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종래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스크린(101)은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110)와, 화물탑재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어 커버시이트(110)를 권취하는 권취부(120)와, 권취부(120)를 수용하는 권취부수용부(130)와, 권취부수용부(130)로부터 인출되는 커버시이트(110)의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화물탑재부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홀더부(150)와, 홀더부(150)에 커버시이트(110)와 함께 결합되어 권취부(1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보드(170)와, 보드(170)에 결합되어 커버시이트(1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파지되는 손잡이(180)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보드(170)는 레진펠트(resin felt) 또는 두꺼운 종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보드(17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시이트(110)를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18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왜건에 화물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후방도어(미도시)를 열고 손잡이(180)를 잡아당기면 권취부수용부(130)에 설치된 권취부(120)의 회전롤러(121)가 회전되면서 커버시이트(110)가 펼치지게 되고 사용자가 홀더부(150)를 화물탑재부의 후방 내측에 고정시키면 커버시이트(1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화물탑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차량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물탑재부에 화물을 싣기 위해서 커버시이트(110)를 철회시키고자 할 때에는 홀더부(150)를 화물탑재부의 후방 내측으로부터 해제시키면 권취부수용부(130)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120)의 회전롤러(121)가 스프링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므로 회전롤러(121)가 커버시이트(110)를 감게 되어 커버시이트(110)가 화물탑재부의 후방측으로부터 철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고 스크린은, 화물이 탑재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커버시이트(110)를 철회시킨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는데, 이 때에 홀더부(150)를 지지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홀더부(15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여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이로 인하여 주행 중에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커버시이트의 철회상태에서 홀더부의 처짐 및 이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는 래틀 노이즈(Rattle Noise)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커버시이트가 인출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
도 2는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종래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고 스크린 10 : 커버시이트
20 : 권취부 30 : 권취부수용부
40 : 지지브래킷부 41 : 지지브래킷
43 : 지지브래킷 결합부재 45 : 지지브래킷 방음재
50 : 홀더부 60 : 스톱퍼부
61 : 스톱퍼 63 : 스톱퍼 결합부재
65 : 스톱퍼 방음재 70 : 보드
80 : 손잡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의 뒷좌석과 후방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와, 상기 화물탑재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커버시이트의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일부영역에 마련되는 스톱퍼부; 및 상기 권취부를 수용하는 권취부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시이트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상기 스톱퍼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의 처짐을 제한하는 지지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부와 상기 지지브래킷부 중 어느 하나에는 물림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물림부와 맞물리는 물림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물림부는 상기 스톱퍼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림수용부는 상기 지지브래킷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홀더부에 결합하는 스톱퍼 결합부재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톱퍼는 관상체로, 상기 스톱퍼 결합부재는 상기 스톱퍼와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으로 구성하는 것이 제작에 유리하며, 상기 스톱퍼는 하향으로 확경된 걸림플랜지를 더 갖도록 하는 것이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래킷부는, 상기 권취부수용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래킷; 및상기 지지브래킷을 상기 권취부수용부에 결합하는 지지브래킷 결합부재로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권취부수용부의 판면을 따라 계단형상으로 이중 절곡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의 나란하게 마련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의 상기 홀더부 측 단부에 상기 물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래킷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권취부수용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톱퍼와 상기 지지브래킷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방음재가 마련되는 것이 래틀 노이즈(Rattle Noise)를 방지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커버시이트가 인출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이고, 도 2는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고 스크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 스크린(1)은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10)와, 화물탑재부의 전방 측에 마련되어 커버시이트(10)를 권취하는 권취부(20)와, 권취부(20)를 수용하는 권취부수용부(30)와, 양단이 화물탑재부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홀더부(50)와, 홀더부(50)에 결합되어 권취부(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보드(70)와, 보드(70)에 결합되어 커버시이트(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파지되는 손잡이(8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홀더부(50)에는 스톱퍼부(60)가 마련되어 있으며, 권취부수용부(30)에는, 커버시이트(10)가 철회된 상태에서 홀더부(50)의 처짐을 제한하는 지지브래킷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시이트(10)는, 화물을 탑재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화물탑재부를 가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권취부(2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화물탑재부의 후방 측에 고정되어 화물탑재부를 가리게 되며, 화물을 탑재하는 경우와 같이 커버시이트(10)를 권취부(20)에 감긴 상태로 있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화물탑재부의 후방 측으로부터 철회되어 화물탑재부가 외부로부터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권취부(20)는, 회전롤러(21)와, 회전롤러(2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롤러(21)의 양단에 권취되는 스프링부재(미도시)를 가지며, 스프링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시이트(10)가 스프링부재(미도시)가 권취되는 영역을 제외한회전롤러(21)의 외주면에 권취되게 된다.
스톱퍼부(60)는 홀더부(50)의 대략 중앙영역에서 리벳 또는 스크류와 같은 스톱퍼 결합부재(63)에 의하여 결합되는 스톱퍼(61)에 의해 마련된다. 스톱퍼(61)는 하향으로 확경된 걸림플랜지(61b)를 갖는 관상체이며, 중앙에는 리벳(63)이 관통하여 홀더부(50)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61)의 물림부(61a)에는 후술할 지지브래킷(41)과의 접촉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비닐 캡이나 부직포 등의 스톱퍼 방음재(65)가 부착되어 있다.
권취부(20)는 권취부수용부(30)에 수용되는데, 권취부수용부(30)는 사각통상의 형상을 가지며, 일 측면에는 커버시이트(10)가 출입하는 개구부(32)를, 저면과 측면에는 후술할 지지브래킷(41)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34)을 갖는다.
지지브래킷부(40)는 권취부수용부(30)에 리벳 또는 스크류 등과 같은 지지브래킷 결합부재(43)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브래킷(41)에 의해 마련된다. 지지브래킷(41)은 권취부수용부(30)의 판면을 따라 계단형상으로 이중 절곡된 형상으로서, 홀더부(50)측 절곡부(41a)는 홀더부(50)에 거의 나란하게 배치된다. 절곡부(41a)에는 커버시이트(10)의 슬라이딩 측으로 물림수용부(41b)가 마련되어 스톱퍼(6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지지브래킷(41)의 저면과 측면에는 각각 체결공(42)이 형성되어 권취부수용부(30)의 저면과 측면에서 리벳(43)에 의하여 결합된다. 지지브래킷(41)의 물림수용부(41b)에도 스톱퍼(61)와 마찬가지로 스톱퍼(61)와의 접촉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캡이나 부직포 등의 지지브래킷 방음재(45)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시이트(10) 단부와 초음파 가열에 의해 융착되어 연결되는 홀더부(50)는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홀더부(50)의 대략 중앙영역에는 스톱퍼(61)가 결합되는 체결공(52)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50)의 양단은 커버시이트(10)를 인출된 상태에서 유지하고자 할 때에 화물탑재부의 후방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 지지된다.
보드(70)는 커버시이트(10)를 이용하여 초음파 가열에 의해 융착되어 홀더부(50)에 결합되며 권취부(20)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드(70)는 레진펠트(resin felt) 또는 두꺼운 종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되며, 보드(7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시이트(10)를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8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지지브래킷과 스톱퍼가 결합하는 과정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왜건에 화물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가 후방도어(미도시)를 열고 손잡이(80)를 잡아당겨서 홀더부(50)를 화물탑재부의 후방 내측에 고정시키면 커버시이트(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화물탑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차량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화물탑재부에 화물을 싣기 위해서 커버시이트(10)를 철회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홀더부(50)를 화물탑재부의 후방 내측으로부터 해제시키면 권취부수용부(30)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20)의 회전롤러(21)가 스프링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므로 회전롤러(21)가 커버시이트(10)를 감게 되어 커버시이트(10)가 화물탑재부의 후방 측으로부터 철회된다. 이 때에 홀더부(50)에 결합된 스톱퍼(61)의 물림부(61a)는 권취부수용부(30)에 결합된 지지브래킷(41)의 물림수용부(41b)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스톱퍼(61)의 걸림플랜지부(61b)와 홀더부(50) 사이에 지지브래킷(41)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홀더부(50)는 스톱퍼(61)와 지지브래킷(41)에 의해 상하 및 좌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커버시이트(10)가 철회된 상태에서는 홀더부(50)의 처짐이나 홀더부(50)의 움직임이 제한되게 되어 차량이 주행하더라도 홀더부(50) 및 보드(70)의 덜거덕거림을 효과적으로 줄이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커버시이트(10)의 철회상태에서 홀더부(50)의 처짐 및 이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는 래틀 노이즈(Rattle Noise)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부(60)와 지지브래킷부(40)는 스톱퍼 결합부재(63) 및 지지브래킷 결합부재(43)에 의해 각각 홀더부(50) 및 권취부수용부(30)에 결합되는 스톱퍼(61)와 지지브래킷(41)에 의해 마련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상기 스톱퍼부(60)와 지지브래킷부(40)는 각각 홀더부(50)와 권취부수용부(3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스톱퍼부(60)에 물림부(61a)가 형성되고 지지브래킷부(40)에 물림수용부(4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스톱퍼부(60)에 물림수용부(41b)가 형성되고 지지브래킷부(40)에 물림부(61a)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61)의 물림부(61a)는 원통 형상이고 지지브래킷(41)의 물림수용부(41b)는 물림부(61a)를 수용하여 물림 결합하는 대략 반원 상의 수용부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스톱퍼(61)의 물림부(61a)와 지지브래킷(41)의 물림수용부(41b)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형상을 변경하여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61)가 홀더부(50)에 차량의 하향방향으로 결합되고 지지브래킷(41)이 권취부수용부(30)의 하부와 측부에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스톱퍼(61)가 홀더부(50)에 차량의 상향방향으로 결합되고 지지브래킷(41)이 권취부수용부(30)의 상부와 측부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61)는 관상체로서 홀더부(50)에 리벳 결합되고 지지브래킷(41)은 권취부수용부(30)의 판면을 따라 계단형상으로 이중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권취부수용부(30)에 리벳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스톱퍼(61)와 지지브래킷(41)의 형상은 물림부(61a)와 물림수용부(41b)를 가지고 홀더부(50)와 권취부수용부(30)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스톱퍼(61)와 지지브래킷(41)을 홀더부(50)와 권취부수용부(30)에 결합하는 것도 리벳 결합이 아닌 홀더부(50)와 권취부수용부(30)에 물리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음도 또한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홀더부와 권취부수용부에 각각 스톱퍼와 지지브래킷을 마련하여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홀더부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철회상태에서 홀더부의 처짐 및 이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발생하게 되는 래틀 노이즈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이 제공된다.

Claims (9)

  1. 자동차의 뒷좌석과 후방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화물탑재부를 가리는 커버시이트와, 상기 화물탑재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를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커버시이트의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되는 홀더부를 갖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의 일부영역에 마련되는 스톱퍼부; 및
    상기 권취부를 수용하는 권취부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시이트가 철회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시이트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상기 스톱퍼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의 처짐을 제한하는 지지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와 상기 지지브래킷부 중 어느 하나에는 물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물림부와 맞물리는 물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는 상기 스톱퍼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림수용부는 상기 지지브래킷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홀더부에 결합되는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를 상기 홀더부에 결합하는 스톱퍼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관상체이며, 상기 스톱퍼 결합부재는 상기 스톱퍼와 상기 홀더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하향으로 확경된 걸림플랜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부는,
    상기 권취부수용부에 결합되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을 상기 권취부수용부에 결합하는 지지브래킷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권취부수용부의 판면을 따라 계단형상으로 이중 절곡되어 상기 홀더부에 거의 나란하게 마련되는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의 상기 홀더부 측 단부에 상기 물림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래킷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권취부수용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9. 제4항 내지 제8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와 상기 지지브래킷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방음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2020010032203U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200260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03U KR200260323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03U KR200260323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323Y1 true KR200260323Y1 (ko) 2002-01-10

Family

ID=7307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03U KR200260323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32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0949784B1 (ko) 2008-11-11 2010-03-3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KR101037893B1 (ko) 2010-12-10 2011-05-30 광성기업 주식회사 처짐방지기능이 강화된 차량용 러기지 스크린
KR101372802B1 (ko) 2012-05-04 2014-03-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1592775B1 (ko) * 2014-10-21 2016-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0949784B1 (ko) 2008-11-11 2010-03-3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KR101037893B1 (ko) 2010-12-10 2011-05-30 광성기업 주식회사 처짐방지기능이 강화된 차량용 러기지 스크린
KR101372802B1 (ko) 2012-05-04 2014-03-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1592775B1 (ko) * 2014-10-21 2016-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고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0323Y1 (ko)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JP5046724B2 (ja) トノカバー装置
JP4563860B2 (ja) トノカバー装置
JP2005335655A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KR101372802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0568745B1 (ko)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
JP3801924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JPH0449007Y2 (ko)
KR100338463B1 (ko) 자동차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수납박스
JP3973255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の補助取手装置および自動車のバックドア
KR0132242Y1 (ko) 컵받이가 내장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JP200201202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KR100560608B1 (ko)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100526985B1 (ko) 차량용 파티션 네트
JPH0722357Y2 (ja) 自動車の荷室カバー装置
JP2586166Y2 (ja) 車両内コートハンガー部構造
KR100872441B1 (ko)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JPH05428Y2 (ko)
JP4217099B2 (ja)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の端末構造
JP2585115Y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
KR101382285B1 (ko) 범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920003930Y1 (ko) 자동차의 옷걸이 장치
KR100820420B1 (ko)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