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04Y1 -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04Y1
KR200259804Y1 KR2020010030376U KR20010030376U KR200259804Y1 KR 200259804 Y1 KR200259804 Y1 KR 200259804Y1 KR 2020010030376 U KR2020010030376 U KR 2020010030376U KR 20010030376 U KR20010030376 U KR 20010030376U KR 200259804 Y1 KR200259804 Y1 KR 200259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eldment
rail plate
welding
wel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우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기계 filed Critical (주)우진기계
Priority to KR2020010030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0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는 H자 형상의 빔의 상부에 레일판을 용접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용접물을 동력 운반하는 용접물운반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에 있어서, 다수의 볼트설치구멍이 상기 레일판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레일판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나사공이 상기 빔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부에 이격 형성하며, 상기 레일판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의 선단부가 상기 빔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빔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과 더불어 빔과 레일판을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레일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OF RAIL FOR WELDING SYSTEM}
본 고안은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된 상태에 있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에 부가적으로적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레일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차축이나 현가장치 등과 같이 한 번의 용접으로 용접작업을 완료하기 힘든 용접물은 다수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용접을 완료하게 되며, 이러한 용접물을 반자동이나 자동으로 용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용접기를 배열한 뒤에 상기 용접물을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용접물의 각 용접부위를 차례로 용접하게 된다.
물론 인력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용접물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레일상에 설치된 용접물운반장치에 의하여 동력 운반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물운반장치(101)는 레일(102)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물운반장치(101)에 구비된 모터(101a)와 다수의 피스톤실린더부재(101b,101c)에 의하여 용접물(100)을 잡아서 레일(10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레일(102)은 H자 형상의 빔(102a)의 상부에 레일판(102b)이 올려져서 상기 빔(102a)과 레일판(102b)이 용접 결합하게 되어 이 부분에 용접부(102c)가 형성된다.
물론 레일(102)의 빔(102a)을 H자 형상의 빔을 사용하는 것은 직진도와 휨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에는 용접물운반장치(101)의 이동을 위한 다수의 롤러(101d)가 상기 레일(102)의 레일판(102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102)의레일판(102b)의 상부면에 래크(103)가 길이 방향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용접물운반장치(101)의 모터(101a)의 모터축과 연결된 피니언(101e)이 상기 래크(103)와 치합되는 것이며, 용접물운반장치(101)가 상기 레일(102)의 한쪽으로 치우침으로써 용접물운반장치(101)의 무게 중심이 레일(102)의 연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 용접물운반장치(101)는 모터(101a)의 동력에 의하여 레일(102)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피스톤실린더부재(101b,101c)에 의하여 용접물을 잡아서 용접하는 위치에 배치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용접물을 다수의 용접기로 각각의 용접부위를 용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레일을 구성하는 빔이 탄소강이고 레일판이 스테인레스강이어서 빔과 레일판의 재질이 다를 뿐만 아니라 용접물운반장치의 무게로 인하여 용접부에 굽힘력과 전단력이 크게 발생되기 때문에, 빔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이 원활하지 않아 용접부가 용접물운반장치의 무게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하게 되며, 빔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부의 크랙으로 인하여 용접물의 위치를 제어하기 어려워 용접물의 정확한 운반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레일을 구성하는 빔과 레일판 사이를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용접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게 되면 열변형으로 인하여 레일판의 직선 상태를 유지하기 어럽게 되며, 이에 따라 빅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부를 간헐적으로 형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용접부의 강도가 더욱 미약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빔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과 더불어 빔과 레일판을 부가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레일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H자 형상의 빔의 상부에 레일판을 용접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용접물을 동력 운반하는 용접물운반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에 다수의 볼트설치구멍을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하고, 상기 빔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부에 상기 볼트설치구멍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다수의 나사공을 이격 형성하며, 상기 볼트설치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의 선단부가 상기 나사공에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레일보강구조가 적용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관련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1a : 빔
1b : 레일판 2 : 용접물운반장치
11 : 볼트설치구멍 12 : 나사공
13 : 볼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레일보강구조가 적용되는 레일(1)은 H자 형상의 빔(1a)의 상부에 레일판(1b)을 용접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1)은 용접물을 동력 운반하는 용접물운반장치(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용접물운반장치(2)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레일(1)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쪽에 설치된 모터(2a)와 다수의 피스톤실린더부재(2b,2c)에 의하여 용접물(10)을 레일(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레일(1)의 구성요소인 빔(1a)과 레일판(1b) 사이를 부가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바, 상기 레일판(1b)에 다수의 볼트설치구멍(11)을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하고, 상기 빔(1a)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부(1aa)에 상기 레일판(1b)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11)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다수의 나사공(12)을 이격 형성하여 상기 빔(1a)과 레일판(1b)을 볼트(13)로 부가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레일판(1b)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11)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13)의 선단부가 상기 빔(1a)에 형성된 나사공(12)에 체결되어 상기 빔(1a)에 레일판(1b)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3)의 머리부분이 상기 레일판(1b)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11)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함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와 마찬가지로 용접물운반장치(2)의 이동을 위한 다수의 롤러(2d)가 상기 레일(1)의 레일판(1b)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1)의 레일판(1b)의 상부면에 래크(3)가 길이 방향으로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용접물운반장치(2)의 모터(2a)의 모터축과 연결된 피니언(2e)이 상기 래크(3)와 치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은 무게 중심이 레일(1)의 연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용접물이송장치의 무게에 의하여 하중이 작용하여 레일(1)의 레일판(1b)과 빔(1a) 사이의 용접부분에 굽힘력과 전단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빔(1a)과 레일판(1b)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는 볼트(13)에 의하여 레일(1)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빔(1a)과 레일판(1b) 사이의 용접부분의 융착력과 더불어 볼트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레일(1)의 빔(1a)과 레일판(1b)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레일(1)의 휨이나 변형을 쉽게 줄일 수 있다.
그러면 레일(1) 상에서 모터(2a)에 의하여 동력 이동되는 공작물이송장치(2)의 직진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레일(1)의 빔(1a)과 레일판(1b) 사이를 용접하는 용접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용접으로 인한 열변형을 쉽게 감소할 수 있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레일보강구조는 볼트의 체결력과 용접부분의 융착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레일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는 종래의 빔과 레일판 사이의 용접과 더불어 빔과 레일판을 부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설치된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레일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레일의 빔과 레일판 사이의 간헐적인 용접의 간격을 벌리거나 용접비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용접에 따른 열변형을 줄어서 레일의 직진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H자 형상의 빔의 상부에 레일판을 용접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용접물을 동력 운반하는 용접물운반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에 있어서,
    다수의 볼트설치구멍(11)이 상기 레일판(1b)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레일판(1b)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1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나사공(12)이 상기 빔(1a)의 중앙부에 형성된 연결부(1aa)에 이격 형성하며,
    상기 레일판(1b)에 형성된 볼트설치구멍(11)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13)의 선단부가 상기 빔(1a)에 형성된 나사공(12)에 체결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KR2020010030376U 2001-10-05 2001-10-05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KR200259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76U KR200259804Y1 (ko) 2001-10-05 2001-10-05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376U KR200259804Y1 (ko) 2001-10-05 2001-10-05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04Y1 true KR200259804Y1 (ko) 2002-01-09

Family

ID=7306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376U KR200259804Y1 (ko) 2001-10-05 2001-10-05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90B1 (ko) 2022-01-26 2022-07-15 현명산업주식회사 피가공물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390B1 (ko) 2022-01-26 2022-07-15 현명산업주식회사 피가공물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8513B (zh) 用于组装车辆车身部件的方法和设备
US8240255B2 (en) Body frame structure of railway vehicle
US20150314811A1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for automobile
CN107790948B (zh) 一种单轨车底架总成组焊工装
WO2017134899A1 (ja) 航空機パネル製造方法及び航空機パネル製造システム
JPH034445B2 (ko)
JP4445130B2 (ja) ツールホルダ
US5957057A (en) Rail system for carrier equipment
ES2187821T3 (es) Aparato para soldadura por friccion con agitacion.
KR200259804Y1 (ko) 용접시스템용 용접물이송장치의 레일보강구조
FI112191B (fi) Ajoneuvon runko ja kiinnityskappale runkopalkkien yhteenliittämistä varten
JP3427689B2 (ja) 自動車のボディサイド組立方法および同組立装置
CN210680921U (zh) 一种起重运输车底盘副梁
JP3847102B2 (ja) 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107966B2 (ja) 鉄骨構造物
JP4859745B2 (ja) 片面溶接装置
JPH106981A (ja) 台車装置
CN218638941U (zh) 车架焊接工装
CN214991945U (zh) 乘用车白车身用前处理电泳柔性滑撬
JP4401258B2 (ja) 裏当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
JP7255724B1 (ja) マンコンベヤの構造体、マンコンベヤ、支持具、及びマンコンベヤの構造体の製造方法
CN218153545U (zh) 悬臂支架
CN211361179U (zh) 一种密封梁焊接用模具
CN216730200U (zh) 一种适用于扇形板纵缝焊接的专用设备
JP5107967B2 (ja) 鉄骨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