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242Y1 -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 Google Patents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242Y1
KR200259242Y1 KR2020010027639U KR20010027639U KR200259242Y1 KR 200259242 Y1 KR200259242 Y1 KR 200259242Y1 KR 2020010027639 U KR2020010027639 U KR 2020010027639U KR 20010027639 U KR20010027639 U KR 20010027639U KR 200259242 Y1 KR200259242 Y1 KR 200259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hole
filter
road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7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242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제 유공관을 제작하여 도로의 지하수 노출이 심한 지역에 설치하고 혼합 골재를 포설다짐하며, 또한 집수 맨홀 및 배수관을 설치한 후 토사쌓기 다짐을 하여 도로를 형성하고 보조기층 포설 및 아스팔트 포장을 하도록 하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가 건설되는 하부 바닥에 혼합 골재가 필터층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혼합 골재에는 그 직상부에 필터제 유공관이 직사각형 구조로 매설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일측 말단을 각각 집수 맨홀에 결합되고 상기의 집수 맨홀중 중앙에 설치된 집수 맨홀에는 그 양측의 집수 맨홀과 배수 연결관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내측 중앙에 유공관이 설치되고 상기의 유공관의 외주에 자갈이 설치되며, 상기의 유공관과 자갈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으로 감싸 보강 로프로 그 외부가 고정되고,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의 내측에 체결판, 재킷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유공관을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내측의 유공관이 지하수의 흐름이 있는 부분에 오픈되고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의 유공관이 서로 결합되어 각각의 집수 맨홀로 지하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UNDERWATER HANDING STRUCTURE OF SWAMPY LAND}
본 고안은,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제 유공관을 제작하여 도로의 지하수 노출이 심한 지역에 설치하고 혼합 골재를 포설다짐하며, 또한 집수 맨홀 및 배수관을 설치한 후 토사쌓기 다짐을 하여 도로를 형성하고 보조기층 포설 및 아스팔트 포장을 하도록 하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지가 형성된 부분에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에는, 도수로를 설치하거나 사이드 측면에 맹암거를 설치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습지도로의 도로 침하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경사면(10)에는 하단에 도수로(14)가 설치되고, 상기의 도수로(14)에는 그 측면에 도로(12)를 설치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와 같은 도로(12)가 습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도로(12)의 일측면에 도수로(14)가 설치되어 경사면(10)과 도로(12)에 발생되는 우수를 집수하게 된다.
이때, 습지 지역에는 도로(12)의 하부로 지하수가 흐르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12)를 건설하는 때에 지반을 다짐 작업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도로 구조는, 산악 지역의 지하수 유출이 많거나 습지 지역에 도로를 건설하는 경우에 토사층으로 지하수가 침투되어 장마철만 되면 전국적으로 하자 보수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고 문제점을 가졌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의 지하수 유출이나 습지 지역의 연약지반에 대한 배수처리를 원활하게 진행하여 도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하자 보수비를 최대한도로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가 건설되는 하부 바닥에 혼합 골재가 필터층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혼합 골재에는 그 직상부에 필터제 유공관이 직사각형 구조로 매설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일측 말단을 각각 집수 맨홀에 결합되고 상기의 집수 맨홀중 중앙에 설치된 집수 맨홀에는 그 양측의 집수 맨홀과 배수 연결관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 통로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내측 중앙에 유공관이 설치되고 상기의 유공관의 외주에 자갈이 설치되며, 상기의 유공관과 자갈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으로 감싸 보강 로프로 그 외부가 고정되고,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의 내측에 체결판, 재킷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유공관을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은 내측의 유공관이 지하수의 흐름이 있는 부분에 오픈되고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의 유공관이 서로 결합되어 각각의 집수 맨홀로 지하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습지도로의 도로 침하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습지도로에 대한 지하수 처리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사용되는 필터제 유공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필터제 유공관과 집수 맨홀이 설치되는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대한 지하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도로 52 : 경사면
54 : 도수로 56 : 토사층
58 : 보조기층 60 : 아스팔트층
62 : 필터제 유공관 64 : 유공관
66 : 자갈 67 :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
68 : 보강 로프 70 : 재킷 볼트
72 : 체결판 74 : 너트
76 : 집수 맨홀 78 : 배수 연결관
80 : 배수 통로 82 : 혼합 골재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습지도로에 대한 지하수 처리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로가 건설되는 하부 바닥에는 혼합 골재(82)가 필터층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혼합 골재(82)에는 그 직상부에 필터제 유공관(62)이 직사각형 구조로 매설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일측 말단을 각각 집수 맨홀(76)에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의 집수 맨홀(76)은 3개가 설치되는데, 상기의 집수 맨홀(76)중 중앙에 설치된 집수 맨홀에는 그 양측의 집수 맨홀과 배수 연결관(78)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76)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 통로(80)가 일측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사용되는 필터제 유공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내측 중앙에 유공관(64)이 설치되고 상기의 유공관(64)의 외주에 자갈(66)이 설치되며, 상기의 유공관(64)과 자갈(66)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67)으로 감싸 보강 로프(68)로 그 외부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67)의 내측에 체결판(70), 재킷 볼트(72) 및 너트(74)를 이용하여 유공관(64)을 견고하게 고정하게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필터제 유공관과 집수 맨홀이 설치되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지하수 처리구조에 대한 지하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혼합 골재(82)의 필터층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에는 그 직상부에 토사층(56), 보조 기층(58) 및 아스팔트층(6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경사면(52)에서 발생되는 우수는 도로(50)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도수로(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내측의 유공관(64)이 지하수의 흐름이 있는 부분에 오픈되고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의 유공관(64)이 서로 결합되어 각각의 집수 맨홀(76)로 지하수를 집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76)은 중앙에 설치된 집수 맨홀로 모든 집수를 유도한 후 그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술한 구조로 형성된 지하수 처리구조는, 토사층(56)의 하부에 지하수가 이동되는 통로에 혼합 골재(82)와 필터제 유공관(62)이 설치되는 관계로 산 비탈등과 같은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집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는, 혼합 골재와 필터제 유공관이 토사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에서 발생되는 지하수를 원활하게 집수할 수 있어 장마철과 같은 우기에 다량으로 발생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부등침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도로에서 발생되는 하자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지하수 처리구조는, 그 구조상 도로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대형 참사로 빚어지는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산 비탈 등과 같은 경사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로에 있어서,
    도로(50)가 건설되는 하부 바닥에 혼합 골재(82)가 필터층으로 설치되고 상기의 혼합 골재(82)에는 그 직상부에 필터제 유공관(62)이 직사각형 구조로 매설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일측 말단을 각각 집수 맨홀(76)에 결합되고 상기의 집수 맨홀(76)중 중앙에 설치된 집수 맨홀에는 그 양측의 집수 맨홀과 배수 연결관(78)으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집수 맨홀(76)에는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 통로(80)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내측 중앙에 유공관(64)이 설치되고 상기의 유공관(64)의 외주에 자갈(66)이 설치되며, 상기의 유공관(64)과 자갈(66)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67)으로 감싸 보강 로프(68)로 그 외부가 고정되고,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그물망(67)의 내측에 체결판(70), 재킷 볼트(72) 및 너트(74)를 이용하여 유공관(64)을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의 필터제 유공관(62)은 내측의 유공관(64)이 지하수의 흐름이 있는 부분에 오픈되고 십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의 유공관(64)이 서로 결합되어 각각의 집수 맨홀(76)로 지하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KR2020010027639U 2001-09-10 2001-09-10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KR200259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9U KR200259242Y1 (ko) 2001-09-10 2001-09-10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639U KR200259242Y1 (ko) 2001-09-10 2001-09-10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242Y1 true KR200259242Y1 (ko) 2002-01-09

Family

ID=7306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39U KR200259242Y1 (ko) 2001-09-10 2001-09-10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24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491A (ko) * 2002-01-14 2002-04-10 주식회사 엔엠시스템즈 컴퓨터를 이용한 가동보 수문의 원격 감시 제어방법과이를 위한 제어장치
KR100592665B1 (ko) 2005-10-17 2006-06-26 (주)미래기술단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투수 처리장치
KR100667248B1 (ko) 2006-09-27 2007-01-12 (주) 일신하이텍 도로의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0775854B1 (ko) 2007-01-03 2007-11-12 이종원 절개지 법면의 보강 공법
KR100814380B1 (ko) 2007-01-25 2008-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형 측구 배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491A (ko) * 2002-01-14 2002-04-10 주식회사 엔엠시스템즈 컴퓨터를 이용한 가동보 수문의 원격 감시 제어방법과이를 위한 제어장치
KR100592665B1 (ko) 2005-10-17 2006-06-26 (주)미래기술단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투수 처리장치
KR100667248B1 (ko) 2006-09-27 2007-01-12 (주) 일신하이텍 도로의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0775854B1 (ko) 2007-01-03 2007-11-12 이종원 절개지 법면의 보강 공법
KR100814380B1 (ko) 2007-01-25 2008-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형 측구 배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40B2 (en) Transport corridor infiltration system
WO2008138218A1 (fr) Procédé de drainage d&#39;eau et tuyau de drainage associé
CN113818534B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JP2009133110A (ja) 排水設備構造
KR200259242Y1 (ko) 지하수 노출이 심한 습지도로 지하수 처리구조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JP2886528B1 (ja) 多目的街渠構造
CN211498333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JPS6022153Y2 (ja) 道路側溝からの雨水を貯留・潅水・浸透させる装置
JPH10114993A (ja) 集水用ブロックとこのブロックを用いた排水構造
JP2662823B2 (ja) 雨水浸透構造
JP3186992B2 (ja) 道路橋の排水施設、伸縮装置、伸縮継手及び排水装置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CN218478984U (zh) 一种道路
CN215105840U (zh) 一种道路雨污分离连续排水系统
CN220746480U (zh) 一种路面排水结构
CN219080543U (zh) 一种城市排水管网雨污分流系统
CN218893916U (zh) 一种园林道路雨水回渗结构
RU228898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CN220665964U (zh) 一种沥青混凝土桥面铺装边缘带排水系统
CN213682032U (zh) 排水结构以及海绵城市储水排水系统
JP4142949B2 (ja) ドレンブロック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CN107905263B (zh) 一种检查井自排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