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37Y1 -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37Y1
KR200258337Y1 KR2020010028889U KR20010028889U KR200258337Y1 KR 200258337 Y1 KR200258337 Y1 KR 200258337Y1 KR 2020010028889 U KR2020010028889 U KR 2020010028889U KR 20010028889 U KR20010028889 U KR 20010028889U KR 200258337 Y1 KR200258337 Y1 KR 200258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edestal
present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도
Original Assignee
안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도 filed Critical 안상도
Priority to KR2020010028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37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배열 위치를 규격화하여 모든 책상다리의 프레임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용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2개의 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대와 받침대가 체결된 공지의 책상다리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1개 이상의 돌기를 형성한 프레임과, 지지대와 받침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되는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의 돌기를 지지대와 받침대의 결합공에 삽입시키면 프레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용접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지지대와 받침대 내부에 있게 되어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므로 미관이 향상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Frame Setting Structure of Desk Leg}
본 고안은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용 다리에 있어서 프레임과 지지대 및 프레임과 받침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용 다리는 상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판의 저면에 체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의 하단에 체결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러한 프레임을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하였다.
즉, 지지대(101)와 받침대(102)의 사이에 2개의 프레임(103)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상기 프레임(103)과 지지대(101) 및 프레임(103)과 받침대(102)를 용접하여 체결되도록 하여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책상은 상판의 좌, 우측 하단에 각각 다리(10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2개의 프레임(103)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용접할 때 작업자의 눈대중으로 배열하고, 프레임(103)의 상단과 지지대(101)의 하단 및 프레임(103)의 하단과 받침대(102)의 상단을 용접하므로, 좌, 우측 다리의 프레임(103) 간격이 서로 불일치되며 용접부위(104)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고, 작업공정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의 배열 위치를 규격화하여 모든 책상다리의 프레임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용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다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상용 다리 11 : 프레임 12 : 돌기
13 : 지지대 14,16 : 결합공 15 : 받침대
17 : 용접부위 18 : 상판 19 : 구멍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2개의 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대와 받침대가 체결된 공지의 책상다리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1개 이상의 돌기를 형성한 프레임과, 지지대와 받침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되는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를 제안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고 책상다리마다 프레임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며 용접부위가 은폐되어 미관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다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1개 이상의 돌기(12)를 형성하고, 지지대(13)의 하측면과 받침대(15)의 상측면에 프레임(11)의 돌기(12)가 삽입되는 결합공(14,16)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14,16)은 프레임(11)에 형성된 돌기(12)의 개수와 일치되는 개수로 하며, 전방과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본 고안은 먼저, 프레임(11) 2개를 구비하고, 이어서 받침대(15)와 지지대(13)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6,14)에 상기 프레임(11)에 형성된 돌기(12)를 삽입시키면 상기 돌기(12)가 결합공(16,14)을 삽입 관통하여 받침대(15)와 지지대(13)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이어서 받침대(15)와 지지대(13)의 내측에서 돌출된 돌기(12)를 용접하여 책상용 다리(10)를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책상용 다리(10)는 조립하는 과정에서 프레임(11)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 없이 상기 프레임(11)의 돌기(12)를 받침대(15)와 지지대(13)의 결합공(16,14)에 삽입시키고 용접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용접부위(17)가 지지대(13)와 받침대(15)의 내부에 있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서 된 책상용 다리(10)를 상판(18)의 저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체결시키면 책상이 완성된다.
한편,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13)의 하측면과 받침대(15)의 상측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프레임(1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19)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지지대(13)와 받침대(15)의 구멍(19)으로 삽입 관통시키고, 이어서 지지대(13)와 받침대(15)의 내측으로 돌출된 프레임(11)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용접하면, 프레임(1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지지대(13)와 받침대(15)가 결합되어 책상다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이 용이하고, 용접부위(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러한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지지대의 하측면과 받침대의 상측면 전방과 후방에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의 돌기를 지지대와 받침대의 결합공에 삽입시키면 프레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용접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지지대와 받침대 내부에 있게 되어 외관이 깔끔하게 처리되므로 미관이 향상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2개의 프레임(11)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11)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대(13)와 받침대(15)가 체결된 공지의 책상다리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에 1개 이상의 돌기(12)를 형성한 프레임(11)과, 지지대(13)와 받침대(15)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의 돌기(12)가 삽입되는 결합공(14,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대(13)와 받침대(15)에 프레임(1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구멍(19)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20010028889U 2001-09-19 2001-09-19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KR200258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889U KR200258337Y1 (ko) 2001-09-19 2001-09-19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889U KR200258337Y1 (ko) 2001-09-19 2001-09-19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37Y1 true KR200258337Y1 (ko) 2001-12-31

Family

ID=7310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889U KR200258337Y1 (ko) 2001-09-19 2001-09-19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14B1 (ko) * 2009-07-02 2011-08-03 박문해 테이블용 결합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14B1 (ko) * 2009-07-02 2011-08-03 박문해 테이블용 결합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8337Y1 (ko) 책상다리의 프레임 체결구조
JP4414743B2 (ja) テーブル
JP2019063254A (ja) 脚体と天板ブラケットの連結構造
KR20040074318A (ko) 드럼세탁기의 캐비닛 구조
JP2001120377A (ja) デスクの連結構造
KR200256047Y1 (ko) 책상용 선반
JP2007125249A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KR102339156B1 (ko) 조립부재를 구비한 그릴
JP3623901B2 (ja) 自立型間仕切装置における安定支持装置
JPH07222625A (ja) テーブル、机等の組立構造
JP2552129Y2 (ja) 机における幕板取付装置
KR200332577Y1 (ko) 내구재 결합용 브라켓
JP3811612B2 (ja) 机における支柱装置
JP2001169843A (ja) 高さ調節機能付きキャビネット
JP4427129B2 (ja) 机上用バックパネルの側端面に対する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JP2002153330A (ja) 天板の後端縁における配線受け樋装置
JP3992861B2 (ja) 机等の幕板の取付構造
JP4558992B2 (ja)
JPH088663Y2 (ja) ブラケット装置
KR200202874Y1 (ko) 조립식 침대
KR20220070174A (ko) 플레이트 결합구조
JP2692441B2 (ja) 家具における脚の取付構造
JP2005076710A (ja) 筒体と内杆との連結構造
KR20230001766U (ko) 가구프레임용 가림패널
KR950000130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 지지대의 결합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