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218Y1 -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218Y1
KR200258218Y1 KR2020010027919U KR20010027919U KR200258218Y1 KR 200258218 Y1 KR200258218 Y1 KR 200258218Y1 KR 2020010027919 U KR2020010027919 U KR 2020010027919U KR 20010027919 U KR20010027919 U KR 20010027919U KR 200258218 Y1 KR200258218 Y1 KR 200258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ignal
cid
unit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7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218Y1/ko

Links

Landscapes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고안의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는 발신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통화연결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연결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통화연결신호로부터 CID 신호를 검출하는 CID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에서 검출된 CID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CID 디코더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타이머에서 제공되는 착신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서 인출되는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인터페이스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음성신호 또는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INFORMATION IN A MEMORY OUTPUTTING APPARATUS OF KEY-PHONE}
본 고안은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신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착신시간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착신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 시스템은 동일 건물 내 또는 기업체 등에서 다수의 국선과 다수의 내선 가입자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스위칭하는 소형 교환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키폰 시스템, 구내전화교환기(PBX;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자동 구내교환기(PBAX;Private Branch Automatic eXchange) 등이 있다.
이러한 사설교환기에서는 내선 가입자에게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발신자 식별코드(Caller Identification, 이하, 'CID'라 칭함)를 이용하여 발신자 전화번호를 내선 가입자에게 알리는 방법이다.
즉, 발신자에 의한 호출이 발생하면 국선교환기는 호출이 발생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발신자 식별코드(CID)로 구성하여 링 신호의 휴지기간에 해당 착신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은 사설교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설교환기를 의미하여, 사설교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가입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상기 CID를 수신한 착신측에서는 수신한 CID를 분석하고, 분석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키폰 장치에 의하면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착신시에만 발신자의 전화번호만 디스플레이되며, 발신자가 통화연결시도를 중단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전화번호도 중단되어,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또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종래 키폰 장치의 액정디스플레이 장치는 신호상태를 나타내는 단순한 단어 또는 전화번호만을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메시지 또는 기타 문자정보를 일반 키폰 단말기에서는 열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폰 장치에 착신시간에 따른 발신자 번호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중앙 제어부 110 :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
120 : CID 인터페이스부 130 : CID 디코더부
140 : 타이머 150 : 메모리
16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70 :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
180 : 출력부 190 : DTMF 수신부
200 : 단말기 연결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는 발신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통화연결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연결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통화연결신호로부터 CID 신호를 검출하는 CID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에서 검출된 CID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CID 디코더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타이머에서 제공되는 착신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서 인출되는 데이터를 음성신호로변환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인터페이스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음성신호 또는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는 중앙 제어부(100)와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110)와 CID 인터페이스부(120)와 CID 디코더부(130)와 타이머(140)와 메모리(150)와 디지털신호 처리부(160)와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70)와 출력부(180)와 DTMF 수신부(190)와 단말기 연결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사설교환기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국선을 통해 제공되는 CID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발신자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110)는 국선을 통해 전송되는 통화연결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송받는 통화연결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연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CID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CID 디코더부(130)는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전송받은 CID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CID 디코더부(13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화된 CID 신호를 타이머(140)에서 제공하는 착신시간과 함께 저장한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160)는 사용자가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70)는 RS-232C를 지원하는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구비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출력부(180)는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접속된 컴퓨터 또는 프린터기 등을 통해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DTMF 수신부(190)는 단말기 연결부(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가받은 듀얼톤 멀티주파신호(DTMF)를 분석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 연결부(200)는 상기 듀얼톤 멀티주파신호를 제공받은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링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를 이용한 동작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신자가 통화를 하기 위해 소정의 통화연결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통화연결신호가 착신되는 가를 확인한다. 상기 통화연결신호의 착신은 상기 중앙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CID 인터페이스부(110)에서 확인한다.
이때,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110)는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착신신호가 CID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을 행하게 된다.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110)가 착신신호를 감지한 경우, 통화연결신호를 분석하여 CID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CID 디코더부(130)에서 검출한 CID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버퍼(미도시)에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상기 착신신호에 대한 링 신호와 함께 CID 신호를 단말기 연결부(200)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CID 신호가 액정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링 신호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링 신호를 차단하고, 버퍼(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CID 신호를 타이머(140)로부터 인출되는 착신시간 정보와 함께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110)에서 검출된 메시지도 타이머(140)에서 인출되는 착신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기능 코드 예를 들어, *123을 입력하고,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의 시간을 입력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100)는 기능코드와 입력받은 시간부터 현재시간까지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인출한다. 상기 인출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가 요청한 착신된 시간과 함께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160)에서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부재중에 착신된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출력부(18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80)는 컴퓨터 또는 프린터기일 수 있으며, 착신시간에 따른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컴퓨터의 모니터 또는 프린터기를 통해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에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는 착신중인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뿐만 아니라 부재중에 걸려온 전화번호 또는 메시지를 시간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재중 전화 또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 하는 경우,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 또는 프린터기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신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통화연결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국선교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연결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통화연결신호로부터 CID 신호를 검출하는 CID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CID 인터페이스부에서 검출된 CID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CID 디코더부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가 타이머에서 제공되는 착신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서 인출되는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신호 처리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인터페이스하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와,
    상기 각 부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음성신호 또는 출력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CID 신호와 타이머에서 인출되는 착신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확인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착신시간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KR2020010027919U 2001-09-11 2001-09-11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KR200258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19U KR200258218Y1 (ko) 2001-09-11 2001-09-11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919U KR200258218Y1 (ko) 2001-09-11 2001-09-11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218Y1 true KR200258218Y1 (ko) 2001-12-24

Family

ID=7310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919U KR200258218Y1 (ko) 2001-09-11 2001-09-11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0197B2 (en) Call blocking device and methods
US601443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processing an incoming call of a line-busy exchange system
US5937046A (en) Method of selectively connecting a received telephone call by utilizing a calling party number in a keyphone system
KR200258218Y1 (ko) 다기능 전화기의 메모리 정보 출력장치
KR19990060612A (ko) 종합통신망 전화기에서 특정 발신자에게 음성메시지 자동 송출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100247030B1 (ko) 디지털 통신망에서 호출자정보 안내방법
KR910010005B1 (ko) 익스터널 콜 포워딩 방법
JPS62168447A (ja) オフフツクアラ−ム表示方式
JP4310644B2 (ja) Pbx内線電話機の履歴発信方式
US6879675B2 (en) Toll saving call feature from a remote site to initiate a call through a CPE that supports 3 way calling
KR100497984B1 (ko) 에이디에스엘 모뎀이 구비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0949B1 (ko) 음성 통화 녹음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5308668A (ja) 電子式ボタン電話装置
JP3270335B2 (ja) ボタン電話装置および着信応答方法
KR960012903A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331381A (ja) 発信者識別電話装置
KR20020036290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용 전화기 및 그 전화기에서의 호처리 방법
JP2001203796A (ja) 電話装置
JPH09326864A (ja) 電話交換機
JPH0630124A (ja) 電話交換機及び電話交換方法
JP2002159031A (ja) 電話制御システム
KR19980083761A (ko) 전화 단말장치에서 자동다이얼에 의한 녹음메시지 자동 전송방법
JPH04215355A (ja) 割込呼出応答方式
JPH09903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