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026Y1 -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26Y1
KR200258026Y1 KR2020010029354U KR20010029354U KR200258026Y1 KR 200258026 Y1 KR200258026 Y1 KR 200258026Y1 KR 2020010029354 U KR2020010029354 U KR 2020010029354U KR 20010029354 U KR20010029354 U KR 20010029354U KR 200258026 Y1 KR200258026 Y1 KR 200258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veyard
dehumidification
moisture
dehumidification passag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Original Assignee
구동종합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종합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동종합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9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26Y1/ko

Links

Landscapes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묘형의 석재로 납골안치대가 구비된 납골묘실에 있어서, 납골묘실(1)의 바닥판(2)의 하방측에 일정한 간격마다 제습통로(3)를 형성하여 개구부(3a)가 묘실(1)의 좌우 양측 외부 대기에 개방되게 하고 묘실(1)의 바닥판(2)과 제습통로(3) 사이에 배열 형성된 여러개의 제습공(4)에는 수분을 흡수하면 겔화되는 고분자 흡수제(5a)와 미세한 섬유다발로 된 흡수재(5b)가 상하로 적층된 이중 흡수부재(5)를 충전(充塡)하고 제습통로(3)의 개구부(3a)에는 미세한 다공성의 밀폐부재(6)로 밀폐 구성하여, 납골묘실에 결로(結露)로 생긴 수분이 고분자 흡수제의 삼투작용과 섬유다발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제습통로(3)의 일방향으로 수분이 이행하여 제습되며 외부에서 곤충의 유입을 차단하여 묘실을 청결하고 건조상태로 유지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TOMB-TYPE CHARNEL}
본 고안은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 안치대가 구비된 분묘형 납골묘실은 주로 석재(石材)로 축조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묘실을 밀폐하여도 출입구의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내외로 대기가 출입하기 때문에 대기중의 습기가 냉각된 석재에 흡수되어 결로(結露)형상으로 많은 수분이 모이게 된다. 이러한 수분이 점차 증가되면 결국 납골단지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어 수분흡수가 용이한 분골(粉骨)이 가습되면서 세균번식으로검게 부패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납골의 보관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시정하기 위하여, 대부분 납골단지 내부에 제습제(除濕劑)를 수납하여 제습(除濕)하고 있으나 제습제의 수분포화상태에서는 제습기능이 저하되어 분골의 안전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 이러한 묘실의 결로(結露)를 방지하는 선행기술의 한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97-75156호(1997. 12. 10 공개)의 봉분형 납골묘지의 결로방지장치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동 공개공보에 의하면, 봉분형 납골묘의 안치실 바닥면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우기(雨期)에 묘실(墓室)로 스며든 지하수가 배수관을 통하여 묘실의 기층부분으로 배수하여 결로(結露)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우기(雨期)에 묘실에 스며든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그대로 묘실에 물이 차이는 것보다는 배수관을 통하여 지하로 배수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묘실과 지하(地下)간에 배수관이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건기(乾期)에는 지하보다 묘실내부가 건조하기 때문에 지하의 수분이 배수관을 통하여 묘실내부로 이행(移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묘실에는 항상 수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로가 진행되어 많은 수분에 의하여 묘실 안치대에 안치된 납골단지에 담긴 분골이 수분에 의한 세균 번식으로 부패되고 악취가 나는 것을 면할 수 없다.
또한 지하와 묘실에 연관된 배수관을 통하여 지하의 곤충이나 지렁이 등이 묘실 내부로 친입하고 한번 친입한 후에는 탈출이 불가하기 때문에 묘실내부는 곤충의 번식장소가 되어 곤충의 배설물 등으로 더욱 불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우기(雨期)라도 외부의 지하수가 묘실에 스며들지 않게 완벽하게 축조된 분묘형 석재의 납골묘실에 있어서, 납골묘실의 바닥판 하방에 여러개의 제습통로를 외부의 대기와 연관되게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하고 제습통로와 묘실바닥에 사이에는 여러개의 제습공을 배열형성하여, 제습공에는 용적의 1000배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여 겔화가 되는 고분자 흡수제와 미세한 섬유다발의 흡수재로 된 이중 흡수부재를 충전(充塡)하여 묘실 내부의 결로(結露)로 생긴 수분이 고분자 흡수제의 삼투작용과 섬유다발의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제습통로의 일방향으로 수분이 이동되게 하고 제습통로의 개구부에는 다공성의 밀폐부재로 밀폐하여 물분자는 외부로 증발하여 제거되면서 외부에서 곤충의 유입은 차단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묘실의 출입구의 미세한 공극으로 외부의 대기가 묘실 내부로 유입되어 묘실에 결로가 생기어도 수분이 이중의 흡수부재에 의하여 흡수된 다음 묘실에서 제습통로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이행하면서 대기로 증발되어 묘실은 항상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묘실내의 납골단지에 담긴 분골을 안전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에 의하여 제습통로의 개구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과량의 수분의 역유입을 차단하는 동시 곤충의 친입이 차단되어 묘실 내부에 곤충이 번식되는 일이 없이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안출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습부재가 충전된 제습공의 확대 단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의 부호설명]
1 : 납골묘실, 2 : 바닥판, 3 : 제습통로,
4 : 제습공, 5 : 흡수부재, 5a : 고분자 흡수제,
5b : 섬유다발의 흡수재, 6 : 다공성 밀폐부재.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납골 안치대(a)가 구비된 분묘형 석재의 납골묘실에 있어서, 묘실(1)의 바닥판(2)의 하방측에 일정한 간격마다 방고래처럼 제습통로 (3)를 수평으로 형성하여 개구부(3a)는 묘실(1) 외부의 좌우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두고 개방되게 형성하고 묘실(1)의 바닥판(2)과 제습통로(3) 사이에는 여러개의 제습공(4)을 상하로 연통되게 평면적 배열로 형성하여,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공(4)에는 자기 용적의 1000배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여 겔화되는 공지한 분말상의 고분자 흡수제(吸收劑)(5a)(예컨대, 소디움 폴리 아크릴레이트 : 상품명 K-SAM, 코롱화학제품)와, 미세한 섬유다발의 흡수재(吸水材)(5b)가 상하로 적층된 이중 흡수부재(5)를 충전(充塡)하고 제습통로(3)의 개구부(3a)에는 미세한 다공성의 소결금속이나 다공성의 합성수지의 밀폐부재(6)로 밀폐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납골묘실(1)의 바닥판(2)의 하방측에 여러개의 제습통로(3)를 개구부(3a)가 외부로 연관되게 형성하고 묘실 바닥판(2)과 제습통로(3)사이에 형성된 여러개의 제습공(4)에는 고분자 흡수제(5a)와 미세한 섬유다발의 흡수재(5b)로 상하 적층된 이중 흡수부재(5)를 충전(充塡)하며, 제습통로(3)의 개구부(3a)에는 다공성 합성수지의 밀폐부재(6)로 밀폐하였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게 방수시공된 묘실 내부에 혹 출입문의 공급을 토하여 출입된 공기중의 수분이 묘실(1)내의 석재의 냉각작용에 의하여 결로(結露)로 되어도 결로 생긴 수분은 바닥판(2)을 통하여 흡수부재(5)에 흡수하게 된다. 또 바닥판(2)에 물기가 흐를 정도가 아니라도 묘실(1) 내부공기에 존재하는 수분도 고분자 흡수제(5a)의 삼투작용으로 흡수된다. 고분자 흡수제(5a)는 수분을 흡수하면 흡수제의 망상 가교로 구성된 고분자구조에 수분이 이온 작용으로 결합되어 분말상태에서 겔(Gel)화가 되기 때문에 흡수된 수분이 흡수제에 고정되어 다시 묘실(1)내부로 증발되는 것이 상당하게 억제된다. 고분자 흡수제(5a)의 수분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분농도가 낮은 섬유달발의 흡수재(5b)측으로 미세한 섬유다발의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서서히 수분이 이행(移行)된다. 수분의 이행은 상하의 흡수제(5a)와 흡수재(5b)의 수분농도가 거의 평형을 이루기까지 진행될 것이다.
한편 흡수부재(5)의 섬유다발의 흡수재(5b)의 하단부는 제습통로(3)의 공간에 노출되어 있고 제습통로(3)의 내부공기는 섬유다발의 흡수재(5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분농도가 작고 또 섬유다발의 흡수재(5b)는 모세관 작용 이외는 수분의 고정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흡수된 수분은 제습통(3)로의 공간으로 증발된다.
따라서 묘실(1) 내부의 습기는 바닥판(2)의 제습공(4)에 충전된 흡수부재(5)에 의하여 제습통로(3)측으로의 일방향으로 이행되고 역으로 제습통로(3)의 수분은 묘실(1)측으로 이행되지 못한다. 이는 흡수부재(5)의 흡수제(5a)가 제습공(4)의 마개(栓)역할을 하여 수분의 역류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습통로(3)의 개구부(3a)는 대기에 노출되어 있으나 다공성의 밀폐부재(6)로 개구부(3a)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묘실(1)에서 방출된 제습통로(3)의 수분은 다공성의 밀폐부재(6)의 모세관작용으로 흡수된 다음 대기를 통하여 증발제거된다. 바람이 불때 밀폐부재(6)의 표면에서의 수분증발량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 묘실(1)과 제습통로(3)는 상대적으로 건조하게 된다. 이렇게 밀폐부재는 수분제거의 엑추에이터 역할을 겸하게 된다.
비가 오는 날에는 대기의 습기가 높기 때문에 밀폐부재(6)에 어느 정도의 수분이 흡수되나, 제습통로(3)로 과도의 물기의 유입이 미폐부재(6)에 의하여 차단되며, 밀폐부재(6)의 수분이 포화상태라 수분이 묘실(1)로는 역류되지 못하기 때문에 우기(雨期)에도 묘실(10) 내부는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청명한 일기가 되면 밀폐부재(6)에 흡수된 수분은 대기중으로 증발하고 제습통로(6)의 수분도 개구부(3a)로 증발 제거되며 묘실의 제습작용은 계속 진행된다.
또한 개구부(3a)는 지상에서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고 밀폐부재(6)가 개구부 (3a)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지렁이나 곤충이 제습통로(3)로 친입하지 못하며 소결금속의 밀폐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쥐도 구멍을 내지 못하여 묘실을 안전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분묘형 묘실의 바닥판에 형성된 제습공에 수분을 흡수하여 겔화가되는 고분자 흡수제와 섬유 다발의 흡수재로 된 이중 흡수부재를 충전하고 제습통로의 개구부에는 다공성의 밀폐부재로 밀폐구성하였기 때문에 묘실내에 결로로 생긴 수분이 이중 흡수부재에 의하여 제습통로의 일방향으로 수분이 이행하면서 건조되는 반면 외부에서 묘실 내부로 수분의 역류가 차단되어 묘실을 유효하게 건조 유지하여 묘실의 안치대에 안치된 납골단지의 분골이 부패되거나 악취를 내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습통로의 개구부에 밀폐된 밀폐부재에 의하여 외부에서 제습통로 및묘실내부로 곤충의 친입이 방지되며 별도의 유지비가 들지 않어 종래의 결로방지장치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묘실을 청결하고도 건조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납골안치대가 구비된 석재의 분묘형 납골묘실에 있어서, 묘실(1)의 바닥판 (2)의 하방측에 일정한 간격마다 제습통로(3)을 형성하여 개구부(3a)를 묘실(1)의 좌우 양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두고 개방하고 묘실(1)의 바닥판(2)과 제습통로(3)사이에 배열형성된 여러개의 제습공(4)에는 이중 흡수부재(5)를 충전(充塡)하며 제습통로(3)의 개구부(3a)에는 미세한 다공성의 밀폐부재(6)로 밀폐 구성하여, 묘실에서 제습통로의 일방향으로 제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묘실(1)의 바닥판(2)의 제습공(4)에 충전된 이중 흡수부재 (5)는 수분을 흡수하면 겔화되는 고분자 흡수제(5a)와, 미세한 섬유다발의 흡수재 (5b)가 상하로 적층되어 외부에서 묘실로 수분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KR2020010029354U 2001-09-24 2001-09-24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KR200258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54U KR200258026Y1 (ko) 2001-09-24 2001-09-24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54U KR200258026Y1 (ko) 2001-09-24 2001-09-24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026Y1 true KR200258026Y1 (ko) 2001-12-29

Family

ID=7310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354U KR200258026Y1 (ko) 2001-09-24 2001-09-24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41B1 (ko) * 2009-02-13 2009-09-11 (주)기억되는 사람들 납골 안치단
KR20210121564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20220048918A (ko) 2020-10-13 2022-04-20 배소정 유골 봉안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341B1 (ko) * 2009-02-13 2009-09-11 (주)기억되는 사람들 납골 안치단
KR20210121564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102409735B1 (ko) * 2020-03-30 2022-06-17 주식회사 피플맥 스마트 위패 및 유골함 좌대
KR20220048918A (ko) 2020-10-13 2022-04-20 배소정 유골 봉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470A (en) Biological air filter
CA2909086C (en) Temporary rain water collection assembly for use on a roof of a building
KR200258026Y1 (ko)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KR100240185B1 (ko) 냉각벽체
KR101783232B1 (ko) 향상된 제습 구조를 갖는 제습 용기
ES2452593T3 (es) Barrera geotécnica
DE19706223A1 (de) Wandsanierungsplatte für salzbelastete Mauern
GB2188964A (en) Combined drainage inspection cover and plant holder
KR100649085B1 (ko) 납골단지
RU99115768A (ru) Способ и помещение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JP2002106209A (ja) 墓における納骨室
KR19990017123A (ko) 전시물 보존장치
DE102008028463B4 (de) Vorrichtung zum Entwässern und Entfeuchten von Mauern
KR101497967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2417958B1 (ko) 저류블록이 구비된 플랜터
JPS59173024A (ja) 太陽熱による温室の蓄熱暖房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84285A (ja) 冷暖房兼用トロンブウォール
KR100782906B1 (ko) 토양용 습도측정기
WO2004091461A1 (en) Charnel pot having air circulation and humidity adjusting function
KR200265855Y1 (ko) 모래보관함
KR200382820Y1 (ko)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KR200344292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납골묘의 구조
DE441225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uchten von Gebäuden im Kellergeschoß
JP2004089210A (ja) 植物栽培装置
DE60134876D1 (de) Elemente und wasserspeicherungskissen, ihre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