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123A - 전시물 보존장치 - Google Patents

전시물 보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123A
KR19990017123A KR1019970039910A KR19970039910A KR19990017123A KR 19990017123 A KR19990017123 A KR 19990017123A KR 1019970039910 A KR1019970039910 A KR 1019970039910A KR 19970039910 A KR19970039910 A KR 19970039910A KR 19990017123 A KR19990017123 A KR 19990017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ert gas
showcase
exhibit
cas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화
남해석
김무근
Original Assignee
남해석
김무근
남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석, 김무근, 남기화 filed Critical 남해석
Priority to KR101997003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123A/ko
Priority to AU90044/98A priority patent/AU9004498A/en
Priority to PCT/KR1998/000253 priority patent/WO1999009867A1/en
Priority to KR1019980034073A priority patent/KR19990023792A/ko
Publication of KR1999001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2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theft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시물 보존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시물 보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시물의 퇴색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들을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전시물 보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내부에 전시물을 내장시켜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지지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어 전시물이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및 상기 전시물 지지수단을 지지하며 상기 불활성가스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는 전시물을 퇴색 및 손상없이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유지 및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시물 보존장치
본 발명은 밀폐된 공간에서 빛을 선별적으로 투과시키며 온도 및 상대습도를 조절하여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광과 조명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며 상대습도와 온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켜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시물 보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물관에서는 인류와 지구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여 보존, 전시하는데, 이는 현재의 사람들에게 자료들을 볼 수 있게 하고 후세의 사람들에게 물려주기 위해서다. 그러기 위해서 자료를 가장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 전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자료의 보존에 많은 배려를 기울여야 한다.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만들어진 자료는 그 주변 환경과 시간에 따라 여러 가지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손상은 자료에 있어서 필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자료의 수명은 인간의 수명처럼 기간을 설정할 수는 없지만 적절한 환경을 유지시켜 줌으로서 상당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자료의 보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크게 빛·습도·온도·기계적 외력 등의 물리적 요인과 산화·환원·분해 등의 화학적 변화가 있으며, 곰팡이·미생물·해충 등에 의한 생물피해, 분진·유해가스를 포함한 공기오염 등이 있다.
박물관 자료의 손상도는 자료가 보존되어 있는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하절기에 자료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습도인데, 특히 습도는 자료의 노화속도를 촉진시키며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인 영향 이외에도 곤충의 서식, 곰팡이 발생 및 박테리아의 증가 등 부가적인 유물의 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실내에서 발생되는 주요 오염물질을 살펴보면, 인체에서는 호흡, 재채기, 피부, 의류, 화장품, 흡연 등으로 인해 공기 오염물질이 발생되고, 사람의 활동이나 건축자재, 유지관리시, 살충제류 등에서도 실내 공기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또한, 공기중에 있는 오염물질로는 분진, 염,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오존, 탄산가스 등에 의하여 전시물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박물관 등에 전시되는 전시물의 전시기간을 제한하거나 최적의 환경조건을 설정하여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요인들 중에서 지류 유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일례를 살펴보면, 지류 유물의 가장 큰 손상은 퇴색이며 이는 광선이나 공해가스 등의 영향도 있으나 특히 습도가 가장 큰 영향은 준다. 즉 습도가 광화학반응이나 산화성 가스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적색 계통의 식물성 염료의 퇴색은 일반적으로 상대습도(공기중에 실제로 존재하는 수증기 압력과 그 온도에서의 포화증기압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가 20% 에서 40%일 때 가장 퇴색이 적으며, 60% 이상 100%에 가깝게 되면 퇴색속도가 빨라진다. 특히, 하절기 장마철의 고온다습한 시기에 지류유물들이 울퉁불퉁하게 휘어지고 구겨지며, 동절기에는 구부러지고 벌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것은 지류의 속성이 습도가 높을 때는 팽창하고 습도가 낮게 되면 수축하기 때문이다. 지류는 흡습성 물질이므로 항상 상대습도를 일정범위로 유지시켜 주고 내부의 습도 함유량을 조절하여 주어야 한다.
따라서, 지류유물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주며 유물 자체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변색과 퇴색 및 훼손으로부터 보호해야만 지류 유물을 퇴색 및 손상없이 보존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빛에 의해 전시물이 받은 영향을 살펴보면, 자외선 및 적외선을 포함한 일광과 조명에 의해 전시물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 현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이에 따른 수분의 방출과 흡수가 전시물에 물리적인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전시물 표면의 방사에너지 흡수(자외선, 가시스펙트럼 혹은 적외선)는 주변 공기 온도를 엄밀히 조절하고 있는 환경 하에서도 온도를 상승시킨다. 열은 전시물을 건조하게 만들고 손상시키는데 조명장치를 매일 켜고 끄는 행위에 의해 전시물의 온도가 상승·하강하며 이에 따른 전시물 자체의 팽창과 수축, 습기의 흡수와 방출이 전시물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가죽이나 목조품인 경우 극단적인 가열과 냉각으로 균열과 깨짐의 결과를 가져오므로 특별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에너지에 의한 전시물의 손상의 정도는 전시물을 이루고 있는 유기물의 종류, 방사에너지의 스펙트럼분포, 방사에너지의 세기, 조명을 실시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광학적인 손상의 경우 방사광의 파장이 짧을수록 세기가 클수록 오래 쪼일수록 손상이 심해진다.
따라서, 조도계와 함께 자외선 강도계를 갖추어 실제 전시물에 도달하는 방사에너지 중에서 자외선의 비율을 측정함과 동시에 가시광선에 의한 조도치를 기준치 이하로 제한하도록 하여야 하고, 전시물의 종류와 전시방법, 광원의 종류, 조명방식에 따라서 전시물의 손상의 정도가 달라지며, 이들을 모두 고려하여 각 전시물에 대한 조명방식과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전시물에 퇴색 및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서 전시물의 원래색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적절한 분광에너지분포의 빛이 제공되어야 하고, 통상적으로 박물관의 이상적인 온습도 조건인 온도 16~18℃, 상대습도 40~65%를 유지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적절한 빛과 온도 및 습도를 유지 시켜주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 되어왔다.
이러한 여러 방안 중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쇼케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시물을 진열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확보된 쇼케이스(101) 내부 소정 위치에 전시물(103)이 바닥면(110)에 안착되고, 상기 바닥면(110) 일측 소정 위치에는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하부통풍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전시물(103)의 상측 천정면(115)에는 공기가 대류할 수 있는 상부통풍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천정면(115) 일측에는 상기 전시물(103)을 비춰주는 조명기구(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시물(103) 전면으로는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수단인 유리(102)가 끼워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110)의 저면으로는 쇼케이스(101) 내부를 대류하는 공기의 상대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습제(112)가 구비되며, 상기 쇼케이스(51) 하측에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홀(111)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쇼케이스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전시물(103)이 진열되어 있는 쇼케이스(101) 하부에 구비된 공기유입홀(111)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바닥면(110) 하측에 구비된 조습제(102)로부터 일정량의 습기를 흡수 또는 탈수하는 과정을 거치어 바닥면(110) 일측 소정 위치에 구비된 하부통풍구(113)를 통과하여 쇼케이스(101)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공기는 전시물(103)이 진열되어 있는 쇼케이스(101) 내부의 공간을 거친 후에 천정면(115)에 구비된 상부통풍구(1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쇼케이스(10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반개방 구조의 종래의 쇼케이스(101)는 외부의 습도 변화에 따라 그대로 내부의 상대습도가 변화하며, 이를 완충하기 위한 수단으로 쇼케이스(101) 내부 1m3당 20kg의 조습제를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쇼케이스(101)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종래의 방식은 쇼케이스(101) 하부의 공기유입홀(111)을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가 쇼케이스(101)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기 때문에 전시물(103)의 퇴색 및 손상이 초래되었다.
상기와 같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전시물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며 외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쇼케이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전시물이 퇴색 및 손상을 입게되어 영구적으로 전시물을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전시물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줄이기 위해서 전시장에 고성능 필터를 설치하거나 공기 세정 설비를 설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제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그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시물 보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시물의 퇴색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비들을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및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전시물 보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부분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조습제의 상대습도와 흡습율간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에서 사용한 조습제의 상대습도와 흡습율간 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에서 밀봉수단의 결합방식을 달리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에서 밀봉수단의 결합방식을 달리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에서 가스순환통로의 구조를 달리한 일실 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전시물
3 : 파장선별차단유리 4 : 칸막이
5 : 고정편 6 : 상부통풍구
7, 8, 9 : 고정볼트 10 : 실링
11 : 돌출편 12 : 누름판
13 : 패킹 14 : 후면판
15 : 체크밸브 16 : 조습제
17 : 불활성가스 18 : 전면부 공간
19 : 후면부 공간 20 : 클램프
21 : 끼움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전시물을 내장시켜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지지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어 전시물이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및 상기 전시물 지지수단을 지지하며 상기 불활성가스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내부에 전시물을 내장시켜 보호하기 위한 쇼케이스;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 및 양측면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 충전되어 전시물이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및 상기 쇼케이스 내부 후면벽측과 소정 거리를 두고 불활성가스를 대류시킬 수 있도록 상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칸막이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전시물 보존장치는 자외선과 적외선 및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전시물에 변색, 퇴색 및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시물을 내장시켜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전면이 투명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공기의 대류에 의한 온습도를 조절하는 수단,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전시물의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나누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이 투명한 케이스(1)는 사각형상의 액자로서 내부에 전시물(2)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의 후면에는 전시물(2)의 외부 접촉을 방지하는 후면판(14)이 구비되되, 상기 후면판(14)은 다수개의 고정볼트(9)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후면판(14)의 상하측 소정 위치에는 후술할 불활성가스(17)를 주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15)가 구비되며, 상기 후면판(14)의 내측면으로는 상대습도를 조절하여 흡수와 탈수의 과정을 수행하는 조습제(16)가 장착되어 일광 및 조명에 의해 상승된 온도를 낮추며 불활성가스(17)에 포함된 상대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에는 케이스(1) 내부의 전시물(2)을 지지하기 위한 칸막이(4)와 상기 전시물(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5)이 구비되되, 상기 칸막이(4)와 고정편(5)은 고정볼트(7)에 의해 전시물(2)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칸막이(4)의 일측 소정 위치에는 불활성가스(17)를 대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6)가 상하부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풍구(6)는 전시물(2)과 칸막이(4)에 의해 구분되어진 전면부 공간(18)과 후면부 공간(19)의 압력을 대류현상에 의해 같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방지수단으로는 공기속의 산소, 먼지, 기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기체를 제거하고 화학적 작용을 하지 않는 불활성가스(예를 들어, 아르곤, 네온 등)(17)를 상기 체크밸브(15)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1)의 내부 공간에 충전하여 전시물(2)이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와 대기오염물질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케이스(1)의 전면부에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UV파장 선별차단유리(3) 또는 UV 필름을 삽입한 접합유리(도면 미도시) 또는 자외선 흡수유리(가시광선은 투과하고 자외선은 흡수하는 유리)(도면 미도시)를 장착하여 자외선에 의한 상기 케이스(1) 내부의 전시물의 화학적 변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내측에는 상기 UV파장 선별차단유리(3)와 후면판(14)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된 불활성가스(17)를 밀봉할 수 있는 실링(10)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10) 양끝단부에는 고무패킹(13) 또는 실리콘패킹으로 밀봉되어 상기 불활성가스(17)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과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전시물(2)을 지지 고정한 칸막이(4)는 상기 실링(10)의 돌출된 돌출편(11)과 맞대어진 후에 일측에 구비된 누름판(12)을 대고 고정볼트(8)를 조여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광과 조명에 의하여 빛이 UV파장 선별차단유리(3)를 통과하여 전면이 투명한 사각형상의 케이스(1) 내부로 입사되면 자외선과 적외선 등 전시물에 퇴색 및 손상을 주는 요인을 일차적으로 선별차단유리(3)에 의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과 적외선을 제거한 후에도 빛은 열에너지로 변화하게 되는데, 상기 열에너지로 인하여 밀폐된 상기 케이스(1) 내부의 전면부 공간(18)에서의 불활성가스(17)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상대적으로 습도는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온도가 올라간 불활성가스(17)는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케이스(1) 상부로 상승되고, 상기 케이스(1) 내부 후면부 공간(19)에서의 불활성가스(17)는 전면부 공간(18)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밀도가 높으므로 케이스(1)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아져서 케이스(1) 상부로 상승된 불활성가스(17)는 칸막이(4)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통풍구(6)를 통과하여 후면부 공간(19)으로 대류하게 되고, 후면판(14)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조습제(실리카겔)(16)가 불활성가스(17)에 습기를 배출하여 상대습도를 높이고, 그로 인해 불활성가스(17)의 온도는 내려가게 되고 불활성가스(17)의 밀도는 높아져서 케이스(1)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한 불활성가스(17)는 하부통풍구(6')를 통하여 전면부 공간(18)으로 대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불활성가스(17)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면, 상기 케이스(1) 후면벽(14)에 구비된 체크밸브(15)를 통하여 주입하게 되는데, 먼저 하측에 구비된 체크밸브(15)를 통하여 불활성가스(17)를 주입하면 내부의 공기는 상측에 구비된 체크밸브(15)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불활성가스(17)를 주입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때문에 내부의 전시물(2)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습제(16)에 대해서 언급하면, 한국공업규격에서 정하고 있는 포장용 실리카겔 건조제의 흡습성에 따른 종류에는 A형과 B형이 있는데, A형은 저습도에서 습기 흡착력이 강한 것이고, B형은 고습도에서 다량의 습기를 흡수하고 흡착용량이 큰 것을 말한다. 도 5에서는 일반적인 조습제(A형)가 가지는 상대습도와 흡습율간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로서, 보존, 보관 등의 일반적인 건조에 사용하는 것으로 비표면적이 크며 저습도에서 우수한 흡착력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에서 사용한 조습제(B형)의 상대습도와 흡습율간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도로서, 고습도에서 건조해야 하거나 주변 습도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표면적이 작으며 고습도일 때 큰 흡착력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화학적 구조에 의해 고습도에서 다량 흡착된 수분을 상대습도가 낮아지면 서서히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습도 조절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케이스(1) 내부의 상부통풍구(6)와 하부통풍구(6')를 통과하면서 조습제(16)에 의해 온도 변화에 따른 상대습도가 조절되는 과정을 반복하면 케이스(1) 내부의 불활성가스(17)는 항상 전시물(2)을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게 되어 케이스(1) 내의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시물을 진열하기 위한 전면이 투명한 사각형상의 케이스(1) 후면의 후면판(14)이 결합되는 방식을 달리한 것으로, 도 3에서는 후면판(14)을 케이스(1)의 후면 소정 부위에 고정볼트(9)로 조이는 방식을 취한 반면에,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 내부에 클램프(20)와 끼움틀(21)을 사용하여 후면판(14)과 파장선별차단유리(3)를 조여줌으로서 밀봉하는 방식을 취한 것으로,
상기 파장선별차단유리(3)와 후면판(14) 사이의 불활성가스(17)가 존재하는 전후면 공간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실링(10)과 고무패킹(13)으로 이루어진 밀봉수단 외측에 상하부 길이가 같은자 형상의 클램프(20)가 장착되며, 상기 클램프(2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서 상기 후면판(14)이 상기 고무패킹(13)과 실링(10)을 조여 주게되어 완전한 밀봉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램프(20)의 내측으로는 끼움틀(21)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파장선별차단유리(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의 타실시예의 구조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시물(53)을 진열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확보된 저면 및 배면을 제외한 부분이 투명한 쇼케이스(51) 내부에는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가스(예를 들어, 아르곤, 네온 등)(54)가 충전되며, 상기 쇼케이스(51) 내부의 바닥면(60)에는 상기 전시물(53)이 안착되고, 상기 쇼케이스(51)의 후면벽(58)과 소정 간격을 두고 칸막이(56)가 설치되되, 상기 칸막이(56)는 상기 바닥면(60)과는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쇼케이스(51) 상측의 천정면(65) 측에는 불활성가스(54)가 대류할 수 있도록 상부슬릿(64)이 형성되고 하측의 바닥면(60) 측에는 하부슬릿(69)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56)에 의해 상기 불활성가스(54)가 대류할 수 있는 가스순환통로(67)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순환통로(67)의 후면벽(58) 내측으로는 불활성가스(54)의 상대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예를 들어, 실리카겔 등의 조습제(5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쇼케이스(51)의 후면벽(58)과 벽면(66) 사이에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순환통로(59)가 형성되며, 상기 천정면(65) 일측에는 상기 전시물(53)을 비춰주는 조명기구(55)가 장착되고, 상기 전시물(53)의 전면으로는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일광에 의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UV파장 선별차단유리(52) 또는 UV 필름 삽입 접합유리(도면 미도시) 또는 자외선 흡수유리(도면 미도시)가 끼워지되, 상기 파장선별차단유리(52)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쇼케이스(51)를 밀봉시키기 위한 패킹(70)이 끼워진다.
다음으로, 도 10의 구조에서는 가스순환통로(67)의 구조를 달리 한 것으로 도 9에서는 칸막이(56)의 상하측에 상부통풍구(68)와 하부통풍구(69)가 구비되어 있으나 도 10에서는 상기 쇼케이스(51)의 내부 바닥면(60)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띄어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60)과 평행한 수평부재(72)가 상기 칸막이(56)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불활성가스(54)가 유동할 수 있는 가스순환통로(67)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에의 작용상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는데,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광 또는 조명에 의하여 빛이 UV파장 선별차단유리(52)를 통과하여 전시물(53)이 진열되어 있는 저면 및 배면을 제외한 부분이 투명한 쇼케이스(51) 내부로 입사되면 자외선 및 적외선 등 전시물에 퇴색 및 손상을 주는 요인들이 일차적으로 제거되는데 이와 같이 자외선과 적외선을 제거한 후에도 빛에너지는 열로 변하여 밀폐된 상기 쇼케이스(51)의 내부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된 온도에 의하여 칸막이(56)의 전면부 불활성가스(54)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대적인 밀도차에 의하여 불활성가스(54)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불활성가스(54)는 천정면(65) 하측에 형성된 칸막이(56)의 상부통풍구(68)를 통하여 대류하게 된다.
상기 상부통풍구(68)를 통과한 불활성가스(54)는 후면벽(58) 내측면에 구비된 조습제(57)에서 습기를 흡수 또는 탈수하는 과정을 통하여 불활성가스(54)의 상대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습도가 올라간 불활성가스(54)는 밀도가 올라가게 되고 가스순환통로(67)를 통하여 하강하게 되고, 하강한 불활성가스(54)는 칸막이(56) 하측의 하부통풍구(69)를 통하여 전시물(53)이 진열되어 있는 칸막이(56) 전면부의 공간으로 대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쇼케이스(51) 하부에 구비된 공기유입홀(6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쇼케이스(51)와 벽면(66) 사이의 공기순환통로(59)를 통하여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이중적인 온도 조절 장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불활성가스(54)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면, 상기 쇼케이스(51) 후면벽(58)(또는 양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71)를 통하여 주입하게 되는데, 먼저 하측에 구비된 체크밸브(71')를 통하여 불활성가스(54)를 주입하면 내부의 공기는 상측에 구비된 체크밸브(71)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불활성가스(54)를 주입함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때문에 내부의 전시물(53)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쇼케이스(51) 내부의 빛에 의해 올라간 온도를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서 상승된 온도를 떨어뜨리며 조습제(57)에 의해 상대습도를 조절하므로서 전시물의 퇴색 및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외부의 오염된 공기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가스를 밀폐된 공간에 충전시키고 내부의 불활성가스를 대류현상에 의하여 순환시키면서 조습제에 의해 상대습도를 조절함으로서 전시물이 영구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시물 보존장치는 UV파장 선별차단유리와 조습제를 구비하고 있어서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하고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전시물이 오염된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한다. 또한, 전시물을 보존하기 위해 필요했던 여러 장비들을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시물을 퇴색 및 손상없이 영구적으로 안전하게 유지 및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8)

  1. 내부에 전시물을 내장시켜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전시물을 지지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되어 전시물이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및
    상기 전시물 지지수단을 지지하며 상기 불활성가스를 밀봉할 수 있는 밀봉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물 지지수단은 칸막이와 고정편이 구비되어
    형성된 전시물 보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는 화학적 반응을 하지 않는 아르곤 또는 네온
    으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일측에 구비된 돌출편과 누름판 사이에 상기 전시물 지지수단이 삽입되어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전시물 보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과 상기 전시물 사이 및 상기 전시물과 상기 케이스 후면의 후면판 사이에 불활성가스가 대류할 수 있는 가스순환통로
    가 형성된 전시물 보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UV파장 선별차단유리
    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UV 필름을 삽입한 접합유리
    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UV 차단물질을 함유한 유리
    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 불활성가스가 대류할 수 있는 개구부가 상하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후면부 소정 위치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전시물 보존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후면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불활성 가스의 상대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제
    를 더 포함하는 전시물 보존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차단수단과 상기 케이스 후면의 후면벽 사이에 구비되어 전후면 공간부를 밀봉시킬 수 있는 패킹
    으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13. 내부에 전시물을 내장시켜 보호하기 위한 쇼케이스;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파장에 따라 선별하여 차단하는 수단;
    상기 쇼케이스 내부에 충전되어 전시물이 외부환경과 접촉하여 일으키는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불활성가스; 및
    상기 쇼케이스 내부 후면벽측과 소정 거리를 두고 불활성가스를 대류시킬 수 있도록 상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칸막이
    로 이루어진 전시물 보존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띄어진 상태에서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수평부재가 상기 칸막이의 하단부에 부착된
    전시물 보존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가장자리부에 상기 쇼케이스 내부의 불활성가스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패킹이 구비된 전시물 보존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쇼케이스 후면부 소정 위치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
    를 더 포함하는 전시물 보존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와 상기 쇼케이스 후면부 내측면 사이에 장착되어 불활성 가스의 상대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제
    를 더 포함하는 전시물 보존장치.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쇼케이스 후면벽, 바닥면 및 천정면 각각의 외측에 공기가 대류할 수 있는 공기순환통로
    가 형성된 전시물 보존장치.
KR1019970039910A 1997-08-21 1997-08-21 전시물 보존장치 KR19990017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10A KR19990017123A (ko) 1997-08-21 1997-08-21 전시물 보존장치
AU90044/98A AU9004498A (en) 1997-08-21 1998-08-19 Apparatus for preserving an exhibit
PCT/KR1998/000253 WO1999009867A1 (en) 1997-08-21 1998-08-19 Apparatus for preserving an exhibit
KR1019980034073A KR19990023792A (ko) 1997-08-21 1998-08-21 전시물 보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10A KR19990017123A (ko) 1997-08-21 1997-08-21 전시물 보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23A true KR19990017123A (ko) 1999-03-15

Family

ID=195180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910A KR19990017123A (ko) 1997-08-21 1997-08-21 전시물 보존장치
KR1019980034073A KR19990023792A (ko) 1997-08-21 1998-08-21 전시물 보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73A KR19990023792A (ko) 1997-08-21 1998-08-21 전시물 보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9990017123A (ko)
AU (1) AU9004498A (ko)
WO (1) WO1999009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213A (zh) * 2021-01-04 2021-04-30 北京三月雨文化传播有限责任公司 一种可嵌入双面灯箱的模块化展览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01012A1 (it) * 2000-05-09 2001-11-09 Goppion S R L Controllo climatico per una vetrina espositiva
FR2827490B1 (fr) * 2001-07-19 2003-10-17 Chanel Presentoir lumineux transformable
DE102006022296A1 (de) * 2006-05-11 2007-11-15 M+W Zander Gebäudetechnik GmbH Vitrine zur Unterbringung von Gegenständen
KR101068021B1 (ko) * 2009-03-05 2011-09-28 주식회사 시공테크 진열환경 조절기능을 포함하는 전시용 진열장
IT1398645B1 (it) * 2010-03-05 2013-03-08 Eurac Istituto Per Le Mummie E L Iceman Vetrina espositiva
SE539546C2 (sv) * 2014-06-02 2017-10-10 Picadeli Ab En kylanordning och en matbaranordning med en dylik kylanordning
CN115153265A (zh) * 2022-07-21 2022-10-11 上海润立美术设计有限公司 一种展柜恒湿智能调节系统及调节方法
KR102620403B1 (ko) * 2023-07-10 2024-01-03 주식회사 한성쇼케이스 쇼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59637A1 (fr) * 1979-06-22 1981-01-16 Perrier Sa Alain Vitrine pour la presentation et la conservation d'objets sous atmosphere de gaz inerte
JPS63113280A (ja) * 1986-10-29 1988-05-18 辛島 仁 冷凍冷蔵陳列ケ−ス
US4749241A (en) * 1986-10-29 1988-06-07 The J. Paul Getty Trust Display case
DE3805212A1 (de) * 1988-02-19 1989-08-31 Hahn Glasbau Vitrine zur aufbewahrung und/oder zur zurschaustellung von gegenstaenden
JP2553015B2 (ja) * 1993-07-29 1996-11-13 株式会社丹青社 陳列ケース
DE4331612A1 (de) * 1993-09-17 1995-03-23 Steven Weintrau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haltung einer vorgegebenen Luftfeuchtigkeit in einer Vitrine
US5651262A (en) * 1994-11-22 1997-07-29 J. C. Pendergast, Inc. Humidified cigar showcase
KR0134109Y1 (ko) * 1995-08-30 1999-02-18 정몽원 진열장용 먼지흡입장치
KR100187643B1 (ko) * 1996-12-11 1999-06-01 박기석 문화재 전시용 밀폐형 진열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213A (zh) * 2021-01-04 2021-04-30 北京三月雨文化传播有限责任公司 一种可嵌入双面灯箱的模块化展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004498A (en) 1999-03-16
WO1999009867A1 (en) 1999-03-04
KR19990023792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3992A (en) Scrubber apparatus for purifying foul air produced during an embalming, an autopsy or the like
KR19990017123A (ko) 전시물 보존장치
FI70767B (fi) Bikupssammansaettning
US4666478A (en) Scrubber apparatus for purifying foul air produced during an embalming, an autopsy or the like
CA2109292A1 (en) Armoire
JP4501294B2 (ja) 冷蔵庫
US20060000360A1 (en) Indoor air circulation sterilizing device
JPH01252244A (ja) 鮮度保持方法および装置と、植物の成長制御方法
JPH0674646A (ja) 冷蔵庫
JP2014213251A (ja) Led光触媒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食品貯蔵装置
AP1010A (en) Device to protect plants.
ES2187582T3 (es) Sistema de reduccion del endurecimiento de un adhesivo.
JP3718215B2 (ja) 冷蔵庫
JP3914952B2 (ja) 冷蔵庫
RU99115768A (ru) Способ и помещение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CN215604153U (zh) 一种药学用药品防潮储存柜
CN110074562B (zh) 一种档案存储柜
CN217199324U (zh) 一种放杀虫剂的保存装置
SE0003969L (sv) Sätt och anordning för torkning av trä
JP3718216B2 (ja) 冷蔵庫
ES2280817T3 (es) Metodo para la regulacion de la concentracion de co2 del aire dentro de un espacio cerrado en el que se cultivan plantas.
CN211159887U (zh) 一种催化剂研制用试管放置箱
KR200258026Y1 (ko) 분묘형 납골묘실의 제습장치
Wright et al.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stability of Mycoplasma pneumoniae exposed to simulated solar ultraviolet and to visible radiation
CN215113130U (zh) 一种医疗科技研发用洁净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