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744Y1 - 진공포장용 그릇 - Google Patents

진공포장용 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744Y1
KR200255744Y1 KR2020010010550U KR20010010550U KR200255744Y1 KR 200255744 Y1 KR200255744 Y1 KR 200255744Y1 KR 2020010010550 U KR2020010010550 U KR 2020010010550U KR 20010010550 U KR20010010550 U KR 20010010550U KR 200255744 Y1 KR200255744 Y1 KR 200255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lve
lid
cover
vacuum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춘
Original Assignee
이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춘 filed Critical 이우춘
Priority to KR2020010010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7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74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포장용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의 내측상단에 덮개를 올려놓으면 외부와 차단되면서 밀폐되고 덮개의 밸브를 통해 용기내부의 공기를 빼냄에 따라 생성되는 진공압력으로 인해 내용물의 넘침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용기(10); 이 용기(10)의 상단내측에 씌워지며 중앙에 손잡이(21)가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된 그릇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그 가장자리, 즉 테두리전체에 용기(10)와 밀착성이 좋은 재료로 된 기밀유지부재(22)가 형성되고 상단부분에 용기(10)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밸브(23)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그릇이다.

Description

진공포장용 그릇{a vessel for vacuum packaging}
본 고안은 진공포장용 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에 용기상단부분과 기밀이 유지되고 밸브를 마련하여 음식을 진공상태로 포장 내지 보관할 수 있는 진공포장용 그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릇은 접시, 사발 등과 같이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한 용기의 일종이며, 이들은 하나의 용기자체만으로 된 것과 용기와 덮개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이 있다.
상기의 모든 그릇들은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배달할 때 덮개를 갖는 그릇이라 할지라도 용기와 덮개사이의 기밀이 이뤄지지 않아 음식물의 내용물이 넘쳐흐르거나 쏟아짐을 방지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내용물이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상단에서부터 그 하단에 이르기까지 랩이나 은박지 등으로 여러 번 감싼 상태로 포장하여 운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그릇의 포장방법에 있어서는 용기의 상단에서 그 하단부분에 이르기까지 랩 또는 은박지 등으로 감싸는 작업은 물론 이를 풀어내는 작업 또한 매우 번거롭고 손이 많이 가므로 불편하였으며, 특히 벗겨낸 랩 또는 은박지 등이 지저분하여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덮개의 상단부분에 밸브를 갖고 가장자리전체에 기밀유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내측상단에 덮개를 올려놓으면 외부와 차단되면서 밀폐되고 덮개의 밸브를 통해 용기내부의 공기를 빼냄에 따라 생성되는 진공압력으로 인해 내용물의 넘침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진공포장용 그릇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릇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용기상단부분과 덮개의 접촉부분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 11: 단턱
20: 덮개 21: 손잡이
22: 기밀유지부재 23: 밸브
30: 진공펌프 31: 상부판재
32: 하부판재 33: 스프링
34: 주름부재 35: 흡입밸브
36: 배출밸브 37: 호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용기; 이 용기의 상단내측에 씌워지며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된 덮개로 구성된 그릇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그 가장자리, 즉 테두리전체에 용기와 밀착성이 좋은 재료로 된 기밀유지부재가 형성되고 상단부분에 용기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밸브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그릇이다.
이하, 본 고안의 진공포장용 그릇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릇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상세 단면도이다.
용기(10)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패여 있으며 상단부분의 내측에는 덮개(2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단턱(1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20)는 용기(10) 상단내측의 단턱(11)위에 안착된 상태로 씌워지는 것으로 그 중앙에 손잡이(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 즉 테두리전체에는 용기(10)와 밀착성이 좋은 재료의 기밀유지부재(2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분에는 용기(10)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유연한 재료로 된 밸브(2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덮개(20)는 투명한 재료나 불투명한 재료이든 무방하나, 용기(10)내부의 먹음직한 음식이 들여다보여 식욕을 돋울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23)는 덮개(20)의 외측에서 진공펌프(30)의 호스(37)끝단 내에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어야 하고 용기(10)내부의 진공해제가 용이한 형상이어야 한다.
상기 진공펌프(30)는 손으로 눌렀다 놓을 때마다 덮개(20) 및 용기(10)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핸드방식으로, 상부판재(31)와 하부판재(32) 사이에 스프링(33)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상부판재(31)와 하부판재(32)가 주름부재(34)로 밀폐되며 상기 상부판재(31)에는 흡입만 되는 흡입밸브(35)와 배출만 되는 배출밸브(36)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밸브(35)의 상부에는 그 내부와 유통되는 호스(37)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진공펌프(30)는 핸드방식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발로 밟을 때마다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족답식, 모터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전동식이든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기밀유지부재(22)는 통상 구하기 쉽고 저렴한 고무나 실리콘을 사용함이 좋다.
또한 상기 덮개(20)의 가장자리전체에 기밀유지부재(22)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4와 같이 덮개(20a)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도록 용기(10)상단내측의 단턱(11)부분에 기밀유지부재(12)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공포장용 그릇은 적당량의 음식물이 담긴 용기(10)상단의 단턱(11)위에 덮개(20)를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10)에덮개(2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덮개(20)의 밸브(23)가 진공펌프(30)의 호스(37)끝단의 안쪽에 위치되게 밀착시킨 다음 진공펌프(30)의 상부판재(31)를 눌렀다 놓는 과정을 반복할 때마다 상부판재(31)의 흡입밸브(35) 및 배출밸브(36)가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용기(10)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므로 용기(10) 및 덮개(20)내부는 진공으로 된다.
이와 같이 용기(10)와 덮개(20)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충분히 진공으로 되면 진공펌프(30)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호스(37)끝단을 떼어낸다. 이렇게 호스(37)를 떼어내면 대기압력이 용기(10) 및 덮개(20)의 전체표면에 작용하므로 덮개(20)가장자리의 기밀유지부재(22)가 용기(10)상단의 단턱(11)에 긴밀하게 밀착되며 용기(10)와 덮개(20)는 진공을 해제하지 않는 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용기(10)에 담긴 음식물이 넘치거나 쏟아질 염려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정장소로 안전하게 운반한 후 용기(10)내부의 음식물을 먹고자 할 때에는 덮개(20)의 밸브(23)를 살며시 들어올리면 외부공기가 용기(10)내부로 들어가 그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력과 동일하게 되어 진공이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덮개(20)의 손잡이(21)를 잡고 들어올리면 덮개(20)가 부드럽게 개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그 외측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랩으로 감싸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용기의 내측상단에 덮개를 올려놓고 덮개의 밸브를 통해 용기내부의 공기를 빼냄에 따라 생성되는 진공압력으로 인해 내용물의 넘침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용기(10); 이 용기(10)의 상단내측에 씌워지며 중앙에 손잡이(21)가 형성된 덮개(20)로 구성된 그릇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그 가장자리, 즉 테두리전체에 용기(10)와 밀착성이 좋은 재료로 된 기밀유지부재(22)가 형성되고 상단부분에 용기(10)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밸브(23)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그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의 단턱(11)에 기밀유지부재(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그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밸브(23)를 통해 용기(10) 및 덮개(20)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도록 스프링(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부판재(31)와 하부판재(32)가 주름부재(34)로 밀폐되며 상기 상부판재(31)에는 흡입만 되는 흡입밸브(35)와 배출만 되는 배출밸브(36)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밸브(35)의 상부에서 연장된 호스(37)를 갖는 진공펌프(30)가 별도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장용 그릇.
KR2020010010550U 2001-04-14 2001-04-14 진공포장용 그릇 KR200255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50U KR200255744Y1 (ko) 2001-04-14 2001-04-14 진공포장용 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50U KR200255744Y1 (ko) 2001-04-14 2001-04-14 진공포장용 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744Y1 true KR200255744Y1 (ko) 2001-12-20

Family

ID=7306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550U KR200255744Y1 (ko) 2001-04-14 2001-04-14 진공포장용 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7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110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리샘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110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리샘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30991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US11136176B2 (en)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with lens cradle
CA2683373C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flexible diaphragm
EP1992569B1 (en) Sealing lid
KR200255744Y1 (ko) 진공포장용 그릇
KR20050093743A (ko) 공기 펌프식 토출용기
CA2541663C (en) Dispenser apparatus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JPS589887Y2 (ja) 真空密閉装置
KR200403774Y1 (ko) 흡착식 용기커버
KR20160040056A (ko) 용기뚜껑에 진공을 유도하는 진공수단이 구비된 밀폐용기
KR200383997Y1 (ko) 용기의 진공압축 밀폐뚜껑
KR100894726B1 (ko) 용기용 밀폐커버
CN219970622U (zh) 真空闷烧罐以及组合式存储装置
CN219720306U (zh) 一种条形密封式零食杯
JP3032885B2 (ja) 食品の保存容器
JP2004358082A (ja) 食品保温ボックス
JPH0734861Y2 (ja) 食品包装用容器
JP3000847U (ja) 真空吸引密閉容器
KR20240080433A (ko) 빨대 일체형 액체팩
AU2004279868B2 (en) Dispenser apparatus
KR20160002234U (ko)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평면용 진공설정용기
KR200187987Y1 (ko)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
JP3071885U (ja) 減圧式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