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32Y1 -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32Y1
KR200255332Y1 KR2019990006340U KR19990006340U KR200255332Y1 KR 200255332 Y1 KR200255332 Y1 KR 200255332Y1 KR 2019990006340 U KR2019990006340 U KR 2019990006340U KR 19990006340 U KR19990006340 U KR 19990006340U KR 200255332 Y1 KR200255332 Y1 KR 200255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olumn
protrusion
shift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661U (ko
Inventor
정원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6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3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32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컬럼(Column)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컬럼 내부에 회전중심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컬럼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자동변속레버와,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인 경우 그 끝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움직임을 구속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돌출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동되는 시프트록 케이블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에 위치한 컬럼의 내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에서 해제된 상태인 경우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을 누르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동시에 시스템 크기가 축소되어 컬럼 내부에 설치하기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Shift-lock system of column type AT lever}
본 고안은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바닥이 아닌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컬럼(Column)에 설치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에서만 자동변속레버에 의한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시프트록 기능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변속레버 및 시프트록 기능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바닥에 설치된 플로어 타입이 많이 사용되나, 이러한 플로어 타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의 실내 공간 내에서의 이동을 불편하게 할뿐만 아니라 차량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하여 공간 확보가 관건인 6인승 또는 9인승용의 RV(Recreation Vehicle)에는 매우 부적합하다.
따라서, 상기한 RV에는 자동변속레버 및 시프트록 기능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바닥이 아닌 스티어링 휠의 컬럼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 공간이 가능한 한 많이 확보되고, 이로써 차량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컬럼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의 컬럼 내부에 회전중심(1a)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컬럼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중심(1a) 부분에 돌출부(1b)가 형성된 자동변속레버(1)와,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는 시프트록 케이블(3)과, 상기 자동변속레버(1)의 돌출부(1b)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5b)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3)의 끝단(3')에 걸리는 걸림홈(5c)이 형성되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자동변속레버(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멈춤쇠(Pawl)(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멈춤쇠(5)의 회전중심(5a)에는 멈춤쇠(5)를 회전 가능하도록 컬럼의 내벽에 고정하는 힌지핀(7)과, 상기 멈춤쇠(5)가 P단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서는, 자동변속레버(1)를 P단 위치에서 다른 변속단의 위치로 이동시켜 변속하고자 하는 경우,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이면 시프트록 케이블(3)의 끝단(3')에 멈춤쇠(5)의 걸림홈(5c)이 걸려 상기 멈춤쇠(5)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멈춤쇠(5)의 움직임이 억제되면 멈춤쇠(5)의 삽입홈(5b)에 돌출부(1b)가 삽입 결합된 자동변속레버(1)의 회전이 불가능해져 상기 자동변속레버(1)에 의한 변속은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자동변속레버(1)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으면 P단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차량의 변속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써, 차량이 비탈진 도로 또는 바로 앞, 뒤에 장애물이 있는 곳에 주차되어 있는 경우, 시동을 걸었을 때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의 변속이 방지되어 차량이 비탈진 도로를 미끄러지거나 장애물에 충돌하는 등의 사고가방지된다.
반면에, 상기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이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3)이 이동되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3)의 끝단에 상기 멈춤쇠(5)의 걸림홈(5c)이 걸리지 않게 되고, 상기 멈춤쇠(5)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컬럼 외부로 돌출된 자동변속레버(1)의 일단을 회전시키면 상기 자동변속레버(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멈춤쇠(5)가 회전중심(5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자동변속레버(1)가 P단 위치에서 다른 변속단의 위치로 이동되어 차량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컬럼 타입은, 자동변속레버(1)의 시프트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멈춤쇠(5), 힌지핀(7), 스프링(9)과 같은 부품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의 컬럼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크기의 소형화가 필수적인데, 종래의 컬럼 타입은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설치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동시에 시스템 크기가 축소되어 컬럼 내부에 설치하기 용이해지도록 하는 컬럼 타입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서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컬럼 51 : 자동변속레버
51b : 돌출부 53 : 시프트록 케이블
55 : 록버튼 57 : 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의 특징은, 스티어링 휠의 컬럼 내부에 회전중심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컬럼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자동변속레버와,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인 경우 그 끝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움직임을 구속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돌출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동되는 시프트록 케이블과, 상기 돌출부의 타측에 위치한 컬럼의 내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에서 해제된 상태인 경우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을 누르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자동변속레버는 시프트록 케이블과의 접촉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끝단 중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과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복귀수단은 컬럼의 내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록버튼과, 상기 록버튼과 컬럼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록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시스템의 크기가 축소되어 컬럼의 내부에 설치하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서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의 컬럼(50) 내부에 회전중심(51a)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컬럼(5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중심(51a) 부분에 돌출부(51b)가 형성된 자동변속레버(51)와, 상기 자동변속레버(51)가 P단 위치인 경우 그 끝단(53')이 상기 돌출부(51b)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51b)의 움직임을 구속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돌출부(51b)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동되는 시프트록 케이블(53)과, 상기 돌출부(51b)의 타측에 위치한 컬럼(50)의 내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동변속레버(51)가 P단 위치에서 해제된 상태인 경우 상기 자동변속레버(51)가 P단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을 누르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변속레버(51)는 시프트록 케이블(53)과의 접촉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51b)의 끝단 중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과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과 대응되는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돌출부(51b)의 끝단은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과 접촉이 잦은 상측 부분만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과 접촉이 거의 없는 하측 부분까지 포함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컬럼(50)의 내벽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록버튼(55)과, 상기 록버튼(55)과 컬럼(50)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어 록버튼(5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에서는, 자동변속레버(51)를 P단 위치에서 다른 변속단의 위치로 이동시켜 변속하고자 하는 경우,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자동변속레버(51)의 돌출부(51b) 일측에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이 걸려 상기 돌출부(51b)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이로써 상기 자동변속레버(51)의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변속레버(51)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으면 P단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차량의 변속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이면 시프트록 케이블(53)이 이동되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53')에 상기 돌출부(51b)가 걸리지 않게 되고, 이로써 시프트록 케이블(53)에 의한 돌출부(51b)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자동변속레버(5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변속레버(51)를 P단 위치에서 다른 변속단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컬럼(50) 외부로 돌출된 자동변속레버(51)의 일단을 회전시키면 된다. 이로써, 차량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변속레버(51)의 돌출부(51b) 타측에 위치된 록버튼(55)은 상기 돌출부(51b)에 의해서 눌려 있다가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이 이동되어 상기 돌출부(51b)의 구속이 해제되면 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57)에 의해 전진된 상기 록버튼(55)은 자동변속레버(51)가 P단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이 돌출부(51b)의 타측에 걸려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을 누르게 된다.
이후, 상기 자동변속레버(51)를 P단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51b)에 의해 상기 록버튼(55)이 눌려지면서 후진된다. 이렇게, 상기 록버튼(55)이 후진되면서 상기 자동변속레버(51)가 P단 위치에 복귀되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53)의 끝단이 상기 돌출부(51b)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다시 상기 돌출부(51b)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프트록 시스템은 컬럼 타입의 자동변속레버 뿐만 아니라 플로어 타입의 자동변속레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은, 차량의 시프트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존의 멈춤쇠, 힌지핀, 스프링 등이 록버튼(55)과 스프링(57)으로 대체되므로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시스템의 크기가 축소되어 컬럼(50)의 내부에 설치하기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티어링 휠의 컬럼 내부에 회전중심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컬럼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중심 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자동변속레버와,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인 경우 그 끝단이 상기 돌출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움직임을 구속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돌출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도록 이동되는 시프트록 케이블과, 상기 컬럼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인 경우 상기 돌출부에 의해 눌림되고 자동변속레버가 P단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눌림해제되어 상기 자동변속레버의 P단 위치로의 복귀시까지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의 이동을 제한하는 록버튼과, 상기 록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록버튼과 컬럼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변속레버는 시프트록 케이블과의 접촉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끝단 중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과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시프트록 케이블의 끝단과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KR2019990006340U 1999-04-17 1999-04-17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KR200255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40U KR200255332Y1 (ko) 1999-04-17 1999-04-17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40U KR200255332Y1 (ko) 1999-04-17 1999-04-17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61U KR20000019661U (ko) 2000-11-25
KR200255332Y1 true KR200255332Y1 (ko) 2001-12-13

Family

ID=5476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40U KR200255332Y1 (ko) 1999-04-17 1999-04-17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882A (ko) * 2002-12-13 200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컬럼 타입 자동 변속 레버의 시프트 록 페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61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709B2 (en) Cable block-locking mechanism for dual mode shift lever unit
US4926688A (en) Parking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US6508090B1 (en) Vehicle shift lever device
US20090151412A1 (en) Mechanism for locking shift lever of vehicle equipped with smart key system
US6006887A (en) Shift lock mechanism of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KR200255332Y1 (ko) 컬럼 타입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US7591757B2 (en) Shift lever device
KR200255333Y1 (ko) 자동변속레버의 시프트록 시스템
US6231476B1 (en) Park-lock shifter cable
JP3822289B2 (ja) 車両用シフトロック装置
US5846158A (en) Shift-locking apparatus for column at shift lever
US5993353A (en) Shift lever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EP0748957A2 (en) Key interlock system of shift selector lever for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US5882275A (en)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4739508B2 (ja) 自動変速機用セレク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JPS6341249Y2 (ko)
JP284631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制御装置
KR0148825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레버 잠금장치
JPH04283132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解除装置
EP0823572B1 (en) Steering column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2902748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3798505B2 (ja) 手動変速機のリバースミスシフト防止機構
KR960012619B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자동 작동 장치
KR100458349B1 (ko) 칼럼at시프트레버용시프트로크장치
JPH1134824A (ja) 車両用足踏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