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282Y1 -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282Y1
KR200255282Y1 KR2020010026666U KR20010026666U KR200255282Y1 KR 200255282 Y1 KR200255282 Y1 KR 200255282Y1 KR 2020010026666 U KR2020010026666 U KR 2020010026666U KR 20010026666 U KR20010026666 U KR 20010026666U KR 200255282 Y1 KR200255282 Y1 KR 200255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ner pot
rotating plate
residual pressur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2020010026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282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사 후 외부로 자동배출되는 증기배출에도 불구하고 내솥에 남아있는 잔류증기를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밥솥 내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는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 압력밥솥은 내부에 내솥이 수납되는 밥솥몸체와, 밥솥몸체를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뚜껑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솥에 밀착되는 방열판과, 뚜껑과 방열판 사이에 설치되되 외부 조작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에 연동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면서 내솥의 압력을 개폐시키는 압력개폐수단과, 회전판이 압력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판에 연동되어 내솥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압이 제거되도록 하는 잔압제거수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잔압제거수단를 갖는 압력밥솥은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과 잔압제거링크로 이루어진 잔압제거수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취사물의 취사종료 후 외부로 자동 배출되는 증기배출에도 배출되지 않은 증기까지 모두 외부로 배출가능하여 내솥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기 때문에 유저가 더욱 손쉽게 압력밥솥의 뚜껑을 열수 있다.

Description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Pressure cooker having removal means for remain pressure}
본 고안은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물이 다 익은 후 압력강하를 위해 외부로 자동배출되는 증기배출에도 불구하고 배출되지 않고 내솥에 남아있는 잔류증기를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밥솥 내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는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취사물이 담겨지는 내솥을 강제 밀폐시킨 후 이를 계속 가열하여 내솥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솥의압력상승과 함께 물의 끓는점을 높아지게 하여 취사물이 익혀지는데 필요한 시간을 소정 시간만큼 단축시키고 취사물의 맛을 보다 좋게하는 주방기기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종래 압력밥솥에는 밥솥몸체와, 뚜껑과, 내솥 외에 내솥의 압력상승을 위해 내솥을 강제 밀폐시키는 압력개폐유닛(Unit)과, 내솥을 가열시키는 가열유닛과, 내솥의 취사물이 다 익은 후 내솥의 증기를 외부로 자동배출시키는 증기배출유닛이 구비된다.
이에, 이러한 종래 압력밥솥을 이용하여 취사를 할 경우, 유저(User)는 내솥에 취사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아야 하고, 이후에 압력개폐유닛을 이용해 내솥을 강제 밀폐시켜야 한다.
이후, 내솥의 밀폐가 완료되면, 유저는 압력밥솥이 자동취사될 수 있도록 스위치(Switch)를 온(On)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밥솥은 가열유닛으로 내솥을 소정 온도 및 소정 압력으로 가열하여 취사물이 적정하게 익도록 한 다음, 취사물이 다 익은 후에는 증기배출유닛으로 내솥 내 증기를 외부로 자동배출시켜 내솥 내 압력을 제거한 후 취사를 끝마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압력밥솥은 취사물이 다 익은 후에 증기배출유닛을 이용하여 내솥 내 증기를 외부로 자동배출시킴으로써 내솥 내 압력을 모두 제거하려고 하지만, 이러한 증기배출에도 불구하고 일부 증기는 내솥 내에서 끝까지 잔류되어 압력밥솥에서 잔류압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내솥에 잔류되는 증기는 압력밥솥 내에서 잔류압력으로 작용하여 유저가압력밥솥의 뚜껑을 열려고 할때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필요케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압력밥솥의 자동 증기배출 이후에도 내솥에 남아있는 잔류증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밥솥 내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는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뚜껑 요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잔압제거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잔압제거수단이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압력밥솥은 내부에 내솥이 수납되는 밥솥몸체와, 밥솥몸체를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뚜껑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솥에 밀착되는 방열판과, 뚜껑과 방열판 사이에 설치되되 외부 조작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회전판에 설치되며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에 연동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면서 내솥의 압력을 개폐시키는 압력개폐수단과, 회전판에 설치되며 회전판이 압력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판에 연동되어 내솥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내솥 내부의 잔압이 제거되도록 하는 잔압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방열판의 밑면에는 방열판이 내솥을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가스킷이 장착되며, 상기 잔압제거수단은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중심을 향해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과, 방열판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이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에 끼워지고 타단이 가스킷의 외측에 인접하도록 절곡된잔압제거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열판의 가장자리에는 잔압제거링크가 위치되도록 소정 크기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500)은 크게 내솥(200)과, 밥솥몸체(100) 및 뚜껑(300)으로 구성되며, 내솥(200)에 취사물(미도시)이 담겨지면 내솥(200)을 강제 밀폐시키고 내솥(200) 내 취사물을 고압상태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익히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솥(200)은 취사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상이며, 취사물이 담겨지는 저장부(220)와, 뚜껑(300)에 의해 밀착되는 밀폐부(2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밥솥몸체(100)는 통체형상으로, 내부에 내솥(200)이 수납되도록 수납부(110)가 형성되고, 외부 일측에는 압력밥솥(500)의 여러가지 기능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140) 및 밥솥상태를 시시각각 출력시켜주는 액정표시유닛(150)이 설치되며, 몸체(100) 내부에는 밥솥(500)의 제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유닛(미도시)이 내장된다. 그리고, 수납부(110)의 밑면 또는 밑면 주변부위에는 내솥(200)이 수납됐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미도시) 및 내솥(200)을 가열하는 가열유닛(미도시)이 설치된다.
한편, 뚜껑(300)은 밥솥몸체(100)를 커버(Cover)할 수 있도록 형성된돔(Dome) 형상으로 크게 외부 케이스(Case) 역할을 하는 외관 하우징(310)과, 이에 결합되는 회전손잡이(370), 증기배출유닛(미도시), 회전판(330), 방열판(350), 가스킷(Gasket,320), 압력개폐링크(Link,380) 및 잔압제거링크(390)로 구성되고, 밥솥몸체(10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밥솥몸체(100)의 개폐를 위해 임의로 회동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밥솥몸체(100)와 힌지(Hinge)결합된다.
이때, 회전손잡이(370)와 증기배출유닛은 외관 하우징(310)의 일측으로부터 설치되며, 기타 회전판(330)과 방열판(350) 그리고 가스킷(320)과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는 외관 하우징(310)의 타측에 장착되는 바, 이하에서는 회전손잡이(370)와 증기배출유닛이 장착되는 외관 하우징(310)의 일측을 '상측'이라 하며, 회전판(330) 등이 장착되는 외관 하우징(310)의 타측을 '하측'이라 칭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뚜껑(300)의 회전손잡이(370)는 손으로 움켜쥐기 쉽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외관 하우징(310)의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미도시)에 끼워져 외관하우징(310)의 하측에 설치된 방열판(350)에 축결합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손잡이(370)의 밑면 중앙에는 외관 하우징(310)의 하측에 장착되는 방열판(350)과 결합되도록 원형 로드(Rod)형상의 결합축(376)이 형성되고, 이 결합축(376)의 일측에는 회전손잡이(37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330)이 연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홈(3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증기배출유닛은 외관 하우징(3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압력밥솥(500)의 취사가 종료될 경우 압력밥솥(500) 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판(330)은 원판 형상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관 하우징(3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손잡이(370)가 유저에 의해 회전될 때 회전손잡이(370)에 의해 연동되면서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회전판(330)의 중앙에는 회전판(330)이 방열판(350)에 끼워지도록 하는 중심홀(338)이 형성되고, 회전판(330)의 상면 일 가장자리에는 회전손잡이(370)에 형성된 동력전달홈(374)과 함께 회전손잡이(370)에 가해진 회전력이 회전판(330)에 전달되도록 동력전달수단의 역할을 하는 동력전달돌기(332)가 형성된다. 이때, 동력전달돌기(332)는 로드 형상으로 동력전달홈(374)에 끼워지며, 회전손잡이(37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330)이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전판(330)의 상면 타 가장자리에는 회전판(330)이 연동될 때 이 회전판(330)의 회전력이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에 전달되도록 하는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Sliding hole,334))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은 반시계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내향굴곡지게 형성된 장공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회전판(3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압력개폐링크(380)를 회전판(330)의 중심에 수렴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은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는 대칭되게 형성되는 바 시계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장공으로,회전판(3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잔압제거링크(390)를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은 동일 원주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은 다수개 형성되는 바 상호간 동일 간격으로 띄워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상과 같은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로 회전판(330)이 일방향으로 회전운동될 때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가 각각 직선운동되되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본 고안에 따른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이라 할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열판(350)은 회전판(330)의 직경보다 더 큰 원판 형상으로, 외관 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된 회전판(330)에 설치되며, 내솥(200)에 밀착되어 내솥(20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방열판(350)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판(330)과 결합되도록 회전판(330)의 중심홀(338)에 끼워지는 중심축(353)이 형성되며, 상면 일 가장자리에는 앞에서 설명한 회전손잡이(370)의 결합축(376)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1)가 형성되고, 방열판(350)의 상면 타 가장자리에는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가 끼워지는 로드 형상의 안내돌기가 다수개 형성된다.
여기에서, 안내돌기는 압력개폐링크(380)를 위한 제 1안내돌기(355)와 잔압제거링크(390)를 위한 제 2안내돌기(356)로 나누어지는 바, 제 1안내돌기(355)는회전판(3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에 일대일 대향되도록 다수개 형성되며, 제 2안내돌기(356)는 회전판(330)에 형성된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2안내돌기(356)가 형성된 방열판(35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크기만큼 절개된 절개부(357)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357)는 방열판(350)이 내솥(200)에 밀착될 때 방열판(350)과 내솥(200)의 사이에서 내솥(200)을 밀폐시켜 주는 가스킷(3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방열판(350)의 상면에 형성된 제 1안내돌기(355)에는 내솥(200)의 압력개폐를 위한 압력개폐링크(380)가 설치되고, 방열판(350)의 상면에 형성된 제 2안내돌기(356)에는 내솥(200)의 잔압제거를 위한 잔압제거링크(390)가 설치된다. 즉, 잔압제거링크(390)는 회전판(330)의 절개부(357)가 형성된 부분에 설치된다.
먼저, 잔압제거링크(390)에 대해 설명하면, 잔압제거링크(390)는 전체적으로 보아 갈고리 형태의 얇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크게 다리부(394)와 절곡부(392)로 나누어지며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판(330)의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끼워져 회전판(330)이 회전될 때 잔압제거 슬라이등 홀(336)에 가이드(Guide)되어 절개부(357)에서 외부로 노출된 가스킷(320)을 밀어서 가스킷(320)과 내솥(200) 사이에 소정 간격이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잔압제거링크(390)는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과 함께 잔압제거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리부(394)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내측단에는 위쪽방향으로 상향돌출된 로드 형상의 구동돌기(398)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형상의 안내홀(396)이 형성되며, 외측단에는 갈고리 형태로 두번 수직 절곡된 절곡부(392)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잔압제거링크(390)는 중앙에 형성된 안내홀(396)이 방열판(350)의 제 2안내돌기(356)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내측단에 형성된 구동돌기(398)가 회전판(330)에 형성된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잔압제거링크(390)는 회전판(330)이 회전됨에 따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되며, 이때, 전후 슬라이딩되는 잔압제거링크(390)의 축은 제 2안내돌기(356)가 된다. 여기에서, 잔압제거링크(390)는 절개부(357)에서 외부로 노출된 가스킷(320)을 밀어서 가스킷(320)과 내솥(200) 사이에 소정 간격이 발생되도록 해야 하므로 얇은 박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력제거링크(380)는 잔압제거링크(390)와 유사한 형상으로, 크게 다리부와 절곡부로 나누어지며, 회전판(330)의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에 끼워져 회전판(330)이 회전될 때 방열판(350)과 내솥(200)이 밀착되는 부분을 조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압력개폐링크(380)는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 함께 압력개폐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압력제거링크(380)의 다리부는 평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내측단에는 위쪽방향으로 상향돌출된 구동돌기가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형상의 안내홀이 형성되며, 외측단에는 갈고리 형태로 두번 수직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이때, 이상의 압력개페링크(380)는 중앙에 형성된 안내홀이 방열판의 제 1안내돌기(355)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내측단에 형성된 구동돌기가 회전판(330)에 형성된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에, 압력개폐링크(380)는 회전판(330)이 회전됨에 따라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된 방열판(350)의 밑면에는 원형 링(Ring) 형상의 가스킷(320)이 장착되며, 이러한 가스킷(320)은 방열판(350)이 내솥(200)을 커버할 때 내솥(200)의 밀폐부(240)에 밀착되며 내솥(200)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솥(200)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스킷(320)의 재질은 고무 타입의 패킹(Packing)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잔압제거수단를 갖는 압력밥솥(500)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500)을 이용하여 취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력밥솥(500)의 뚜껑을 연 후, 밥솥몸체(100)에서 내솥(200)을 꺼낸 다음 이 내솥(200)에 소정 취사물을 담아야 한다.
이후, 내솥(200)에 취사물이 담아지면, 유저는 이 내솥(200)을 밥솥몸체(100)의 수납부(110)에 다시 수납한 다음 뚜껑(300)을 닫아야 한다. 이때, 유저가 압력밥솥(500)의 뚜껑(300)을 닫으면, 뚜껑(300)의 방열판(350)은 밥솥몸체(100)에 수납된 내솥(200)을 커버하게 되고, 특히, 방열판(350) 밑면에 장착된 가스킷(320)은 내솥(200)의 밀폐부(240)에 밀착되어 내솥(200)을 완전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 유저는 뚜껑(300)에 결합된 회전손잡이(370)를 일방향 즉, 회전손잡이(370)에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손잡이(370)의 회전이 완료되면 밥솥몸체(100)의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유저가 회전손잡이(370)를 회전시킴에 따라 압력밥솥(500)의 동력전달수단과 잔압제거수단 그리고 압력개폐수단은 모두 연동되게 된다. 즉, 유저가 회전손잡이(3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370)에 형성된 동력전달홈(374)은 이에 끼워진 동력전달돌기(332)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판(330)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330)이 회전되면, 회전판(330)에 형성된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 및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각각 끼워지는 압력개폐링크(380)와 잔압제거링크(390)도 각각 압력개폐 슬라이딩 홀(334)과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되게 된다. 즉, 압력개폐링크(380)는 회전판(330)의 중심에 수렴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방열판(350)과 내솥(200)의 밀착된 부분을 절곡부에 삽입시켜서 조임으로써 내솥(200)이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다. 이때, 잔압제거링크(390)는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후, 이와 같이 내솥(200)의 밀폐가 완료되면, 밥솥몸체(100)의 가열유닛은 중앙제어유닛 및 감지유닛 등으로 부터 소정 시그날(Signal)을 전달받아 내솥(200)을 가열시키기 시작한다. 이에 가열되기 시작한 내솥(200)의 취사물에서는 증기가발생되는데 이 증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솥(200)에서 계속 모이게 되어 내솥(200)을 높은 압력상태로 유지시키고 내솥(200)의 취사물이 더욱 빨리 익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취사물이 다 익어 취사가 종료되면, 중앙제어유닛은 취사물이 익었음을 감지하고 증기배출유닛에 소정 시그날을 보내게 된다. 이때, 증기배출유닛은 압력밥솥(500)의 고압을 저압상태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 내솥(200)에 가득찬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내솥(200) 내 증기가 배출되면, 유저는 뚜껑(300)의 회전손잡이(370)를 타방향 즉, 처음에 유저가 회전손잡이(370)를 회전시켰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손잡이(370)를 회전시킨 다음 뚜껑(300)을 열게 된다.
이때, 유저가 회전손잡이(37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370)에 연동되는 회전판(330)도 다시 회전되게 되며, 압력개폐링크(380) 및 잔압제거링크(390)도 연동되게 된다. 이때, 압력개폐링크(380)는 회전판(330)의 중심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방열판(350)과 내솥(200)의 조임을 해제시키게 되고, 잔압제거링크(390)는 회전판(330)의 중심에 수렴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솥(200)을 밀폐시키는 가스킷(320)을 밀어내고 가스킷(320)과 내솥(200)의 밀폐부(240) 사이에 소정 간격이 발생되게 한다.
이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솥(200)에 남아있던 증기는 잔압제거링크(390)에 의해 발생된 소정 간격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게 되고, 내솥(200)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은 모두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유저는 잔압이 모두 제거된 압력밥솥(500)의 뚜껑(300)을 열고 취사물을 섭취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500)은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336)과 잔압제거링크(390)로 이루어진 잔압제거수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취사물의 취사종료 후 외부로 자동 배출되는 증기배출에도 배출되지 않은 증기까지 모두 외부로 배출가능하여 내솥(200)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기 때문에 종래 압력밥솥에 잔류압력이 남아있어 뚜껑을 열때 들었던 힘을 최소화시켜 유저가 더욱 손쉽게 압력밥솥의 뚜껑을 열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잔압제거수단를 갖는 압력밥솥은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과 잔압제거링크로 이루어진 잔압제거수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취사물의 취사종료 후 외부로 자동 배출되는 증기배출에도 배출되지 않은 증기까지 모두 외부로 배출가능하여 내솥에 남아있는 잔류압력을 모두 제거시키기 때문에 종래 압력밥솥에 잔류압력이 남아있어 뚜껑을 열때 들었던 힘을 최소화시켜 유저가 더욱 손쉽게 압력밥솥의 뚜껑을 열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내솥이 수납되는 밥솥몸체와;
    상기 밥솥몸체를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내솥에 밀착되는 방열판과;
    상기 뚜껑과 상기 방열판 사이에 설치되되 외부 조작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판에 연동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내솥의 압력을 개폐시키는 압력개폐수단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이 압력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판에 연동되어 상기 내솥 내부가 외기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상기 내솥 내부의 잔압이 제거되도록 하는 잔압제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밑면에는 상기 방열판이 상기 내솥을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가스킷이 장착되며, 상기 잔압제거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에 중심을 향해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과,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잔압제거 슬라이딩 홀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가스킷의 외측에 인접하도록 절곡된 잔압제거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잔압제거링크가 위치되도록 소정 크기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KR2020010026666U 2001-08-31 2001-08-31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KR200255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66U KR200255282Y1 (ko) 2001-08-31 2001-08-31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66U KR200255282Y1 (ko) 2001-08-31 2001-08-31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282Y1 true KR200255282Y1 (ko) 2001-12-01

Family

ID=7310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66U KR200255282Y1 (ko) 2001-08-31 2001-08-31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601B1 (ko) 2015-11-06 2017-05-02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601B1 (ko) 2015-11-06 2017-05-02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조절밸브 조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192B2 (en) Frying pan
JP7469315B2 (ja) ポータブルランチボックス
KR100857577B1 (ko)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WO2005117528A2 (en) Container lid for preventing overbrimming
KR200255282Y1 (ko)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EP1157648B1 (en) Receptacle for cooking food
CN107613818B (zh) 盖及烹调器
JPH10304974A (ja) 圧力調理器
KR200387420Y1 (ko) 압력 가마솥
EP2177457A1 (en) Vacuum container
KR200301898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KR200311485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030030860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KR200209548Y1 (ko) 전기압력솥의 뚜껑 개폐구조
JPH04118349U (ja) 食品用蓋物
JP3544531B2 (ja) 弁当箱
KR200311486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0255266Y1 (ko)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RU2185771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типа
KR20023517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980008127A (ko) 전기압력밥솥
KR200408075Y1 (ko) 전자렌지용 취사용기
KR200281326Y1 (ko) 전자렌지용 취사용기
KR200223060Y1 (ko) 조리용 용기
KR101895058B1 (ko)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