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127A -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127A
KR980008127A KR1019960029403A KR19960029403A KR980008127A KR 980008127 A KR980008127 A KR 980008127A KR 1019960029403 A KR1019960029403 A KR 1019960029403A KR 19960029403 A KR19960029403 A KR 19960029403A KR 980008127 A KR980008127 A KR 98000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eat sink
lid
coupl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4768B1 (ko
Inventor
주인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768B1/ko
Publication of KR98000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밥솥뚜껑과 쌀이 담기는 내통을 자동으로 밀폐 결합,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된 중공체(中空體)의 밥솥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내장되며 상면이 개구되되, 개구면에서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된 쌀이 담기는 내통, 상기 뚜껑의 저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의 개구면에 닫히면 내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내통을 밀폐시키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통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내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 상기 뚜껑과 방열판 사이에 마련되며 본체의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 상기 방열판의 상면에 마련되어 모타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벨트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에 걸려서 내통과 방열판을 밀폐결합, 분리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밥솥뚜껑과 쌀이 담기는 내통을 자동으로 밀폐 결합,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용기에 쌀을 넣고 어림짐작으로 물의 양을 조절한 후 화력을 이용하여 취사를 하던 옛날의 취사방법에서, 쌀의 양에 따른 수위가 표시되어 있는 용기를 본체에 내장하고 전기를 사용하여 취사를 할 수 있는 전기밥솥이 일반화되었다.
그리고 압력에 따라 물의 끓는점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취사시 용기의 압력을 높게하여 취사하는 압력 밥솥이 개발되었다. 쌀은 그 전분질(澱粉質)이 알파화되는 비율이 높을수록 단맛이 높아지고, 전분질이 알파화하는 비율은 물의 온도가 100℃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며 물의 온도가 100℃ 이상이 되면 쌀의 알파화는 더욱 더 높아진다. 즉, 용기의 압력이 높아지면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므로 용기내의 쌀은 더욱 알파화가 되어 밥맛이 좋아지는 것이다.
용기내의 압력을 높게하는 일방편으로는 쌀이 담겨지는 용기가 취사시 밀폐되도록 하고 일정압력까지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증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가 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 전기압력밥솥(한국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0-111191호)의 작동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에 쌀이 담기는 솥몸체(1)가 내장되고 솥몸체에는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덮개(9)가 덮힌다. 덮개를 솥몸체에 덮으면 솥몸체의 저면에 결합된 솥뚜껑(7)이 솥몸체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면 솥뚜껑의 결합돌재(7a)가 솥몸체 및 결합륜의 절개홈(2b, 4b)에 각각 놓이게 된다. 그후, 솥몸체에 마련된 손잡이(5)를 회전시키면 결합륜(4)이 회전되어 결합륜의 걸림부(4c)가 솥뚜껑의 결합돌재(7a)에 걸려서 솥뚜껑과 솥몸체는 밀폐, 결합되고, 손잡이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솥뚜껑과 솥몸체는 분리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은 증기배출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기압력밥솥은, 취사시 발생된 증기가 취사완료 후에도 솥몸체 내부에 잔존하므로 증기의 잔여압력에 의하여 솥뚜껑과 솥몸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로인해 손잡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취사후에 솥뚜껑을 솥몸체에서 분리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취사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손잡이도 고온이 되는데, 취사 후에 밥솥몸체와 솥몸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를 잡는 경우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가 솥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흉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타의 구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쌀이 담기는 내통과 밥솥뚜껑을 결합, 분리시키는 장치를 마련하여 뚜껑과 쌀이 담기는 내통을 용이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를 온시키면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쌀이 담기는 용기와 내통을 자동으로 결합, 분리시키는 장치를 마련하여 밥솥의 외측으로 돌추된 손잡이를 조작할 필요없는 편리하면서도 미관상 아름다운 전기압력밥솥, 취사중에 발생된 열에 의하여 고온이 된 손잡이를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염려가 전혀없는 전기압력밥솥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및 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5a도는 내통과 잠금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제5b도는 내통과 잠금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내통 60 : 뚜껑
61 : 증기배출장치 70 : 방열판
75 : 밀봉부재 81 : 벨트
91 : 고정부재 93 : 회전부재
95 : 잠금부재 98 : 마개
100 :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된 중공체(中空體)의 밥솥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 내장되며 상면이 개구되되, 개구면에서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된 쌀이 담기는 내통, 상기 뚜껑의 저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의 개구면에 닫히면 내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내통을 밀폐시키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통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내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 상기 뚜껑과 방열판 사이에 마련되며 본체의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 상기 방열판의 상면에 마련되어 모타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벨트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에 걸려서 내통과 방열판을 밀폐 결합, 분리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제2도에 도시하듯이, 일면이 개구된 중공체(中空體)의 밥솥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밥솥의 각종 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101)가 마련되고, 본체의 외측으로는 전선부(102)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의 중공부의 저면에는 전선부를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판(103)이 마련된다. 상기 본체의 중공부에는 쌀이 담기는 내통(50)이 내장되며, 내통의 저면은 상기 열판(103)과 접촉된다. 상기 내통(50)은 상면이 개구(51)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개구면에서 연장된 절곡부(52)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구면에서 외향,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2)가 형성되는데(제5도참조), 이 절곡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림부재(95)가 걸린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는 뚜껑(6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뚜껑(60)에는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장치(61)가 마련된다. 상기 뚜껑(60)의 저면에는 취사 또는 보온시 가열되는 방열판(70)이 결합되는데, 상기 방열판(70)은 뚜껑(60)이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통(50)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내통을 밀폐시킨다. 상기 방열판(70)의 외주면에는 테 형상의 밀봉부재(75)가 결합되는데, 상기 밀봉부재(75)는 내통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내통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에는 모타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52)와 결합, 분리되어 내통과 방열판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마련되다. 내통(50)과 방열판(7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내통의 외부로 누설되지 못한다. 그러면 내통 내부의 압력은 증기에 의하여 고압이되므로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게 되고, 전술한 이유로 인하여 밥맛이 좋아지는 것이다.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뚜껑(60)의 저면, 부언하면 상기 뚜껑(60)과 방열판(70) 사이에는 제어부(101)의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8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70)의 상면에는 모타(8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81)가 마련되는데, 상기 벨트(81)의 내면에는 치(齒)(81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타(80)와 벨트 (81) 사이에는 모타의 구동력을 벨트로 전달하는 연결부재(85)가 마련된다. 상기 모타(83)에 의하여 회전되는 연결부재(85)는 축(86)과 축(86)에 관통, 결합된 몸체(87)로 마련된다. 상기 축(86)의 일단은 상기 모타(80)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방열판(70)에 결합된다. 상기 축(86)에 결합된 몸체(87)의 외주면에는 치(齒) (87a)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에 형성된 치(87a)는 상기 벨트의 치(81a)와 치 사이에 결합되어 연결부재와 벨트는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벨트에는 다수의 출입홈(8 1b)이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홈으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잠금부재(95)가 출입된다.
상기 축(87)이 결합되는 방열판(70) 부위에는 축을 지지함과 동시에 축이 방열판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타원형상의 결합홈(7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 (7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71)은 상기 벨트의 저면과 수직되게 방열판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지지돌기(7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 (72)는 상기 결합홈(71)의 내주면에서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탄성이 구비된다. 상기 축이 방열판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돌기(72)는 결합홈을 따라서 이동된 축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타(80)가 회전되면 연결부재(85)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벨트(81)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방열판에는 상기 벨트(81)를 지지함과 동시에 벨트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52)에 걸려서 내통과 방열판을 밀폐결합, 분리시키는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고정부재(91)와 회전부재(93) 및 잠금부재(95)로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91)는 그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열판(70)에 다수개가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93)는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 (93)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93)의 중공부에 상기 고정부재 (91)가 결합되되,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 (91)의 외주면에는 상기 벨트의 치(81a)와 치 사이에 결합되는 치(93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의 치(81a)와 회전부재의 치(93a)로 인하여 벨트와 회전부재는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93)와 외주면에는 회전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부재(95)가 마련되는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동일하게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재(93)와 결합되는 벨트(81)의 부위에는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출입홈(81b)이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홈(81b)으로 잠금부재가 출입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와 결합,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93)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부재와 벨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98)가 결합된다. 상기 마개는 결합부(98a)와 걸림부(98b)로 마련되는데, 상기 결합부(98a)가 상기 회전부재의 중공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98b)는 상기 회전부재의 지름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데, 이는 상기 걸림부의 외측면이 회전부재와 벨트를 동시에 덮어서 회전부재와 벨트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시한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 및 잠금부재의 확대 사시도인데,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조립순서를 제3, 4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방열판(70)의 상측에 다수의 고정부재(91)를 결합하고, 회전부재(93)의 중공부에 고정부재(91)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잠금부재(95)가 방열판의 중심을 향하도록 한 후, 벨트의 치(81a)와 치(81a)사이에 회전부재의 치(93a)가 삽입되도록 벨트를 회전부재에 결합한다. 그리고 회전부재의 상측으로 벨트가 벗겨지지 못하도록 마개(98)를 회전부재에 결합한다. 마개를 결합한 후, 벨트를 적정하게 회전시켜서 잠금부재(95)가 벨트의 출입홈(81b)을 관통하여 벨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되, 방열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연결부재의 축(86)을 방열판의 결합홈(72)에 삽입하고 몸체(87)와 벨트를 결합한다. 상기 회전부재에 벨트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벨트의 총 길이는 회전부재가 이루는 둘레의 길이보다 조금 길게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벨트는 회전부재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밥솥은 연결부재의 축(86)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결합홈(71)에 결합된 축(86)을 방열판의 외측으로 적정하게 이동시키면 벨트(81)와 회전부재(93)는 적정한 장력을 가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축(86)은 결합홈의 지지돌기(72)에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그후, 축(86)이 모타와 결합되도록 방열판을 뚜껑의 저면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작용을 제 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a도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의 최초상태는 잠금부재 (95)의 단부가 방열판(70)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이다. 내통에 쌀과 물을 넣고 내통을 본체의 중공부에 내장한 후 뚜껑을 덮는다. 그러면 방열판(70)은 내통의 절곡부 (52) 하측에 위치되고 밀봉부재(75)는 내통의 측면과 접촉된다. 즉, 방열판(70)의 상면보다 내통의 절곡부(52) 상면이 더 높은곳에 위치되게 된다. 그후, 제어부(1 01)의 스위치를 누르면 모타(80)가 회전되고 모타의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부재 (85)와 벨트(81)도 회전된다. 벨트(81)가 회전되면 회전부재에 결합된 잠금부재 (95)도 회전되어, 제4b도와 같이 잠금부재의 단부측은 절곡부(52)의 상면 하측에 위치된다. 즉, 잠금부재가 절곡부에 걸리게 되므로 방열판과 내통은 더욱 더 밀폐, 결합되는 것이다.
내통과 방열판을 분리시키려면 제어부의 스위치를 다시 누르면 되다. 그러면 모타의 구동력에 의하여 잠금부재(95)의 단부측이 방열판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내통과 방열판은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부재가 절곡부에 결합되었는가? 아닌가? 의 판단은 센서나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은, 쌀이 담기는 용기와 뚜껑을 결합, 분리시키는 장치를 모타로 작동시키므로서 용이하게 용기와 뚜껑을 분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스위치를 조작만하면 모타가 구동되어 용기와 뚜껑을 자동으로 결합, 분리시키므로 수작업으로 손잡이를 조작할 필요가 없는 편리한 특징이 있으며, 고온이 된 손잡이를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에 의하여 화상을 당할 염려가 전혀 없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가 제거되므로서 미관상 아름다운 특징이 있다.

Claims (6)

  1. 일면이 개구된 중공체(中空體)의 밥솥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개구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60); 상기 본체(100)의 중공부에 내장되며 상면이 개구 (51)되되, 개구면에서 연장된 절곡부(52)가 형성된 쌀이 담기는 내통(50); 상기 뚜껑(60)의 저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의 개구면에 닫히면 내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내통을 밀폐시키는 방열판(70); 상기 방열판(7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뚜껑이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통(50)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취사시 발생되는 증기가 내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75); 상기 뚜껑(60)과 방열판(7 0) 사이에 마련되며 본체의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101)의 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타(80); 상기 방열판(70)의 상면에 마련되어 모타(80)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벨트(81);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81)를 지지함과 동시에 벨트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52)에 걸려서 내통(50)과 방열판(70)을 밀폐결합, 분리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81)의 내면에는 치(齒)(81a)가 형성되고, 상기 모타(80)와 벨트(81) 사이에는 일측은 모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방열판(70)에 결합되며 몸체에는 상기 벨트의 치(81a)와 대응되는 치(齒)(87a)가 형성되어 모타의 회전력을 벨트로 전달하는 연결부재(8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85)가 결합되는 방열판(70) 부위에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7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71)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기(72)가 다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방열판(70)에 고정된 고정부재(91); 상기 고정부재(9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는 상기 벨트의 치(81a)와 대응되는 치(齒)(93a)가 형성되어 벨트와 동일하게 운동되는 회전부재(93);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93)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벨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내통의 절곡부(52)에 결합, 분리되는 걸림부재(95)로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되는 벨트(81)의 부위에는 상기 걸림부재(95)가 출입되는 출입홈(8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93)의 상측에는 회전부재와 벨트(8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9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403A 1996-07-19 1996-07-19 전기압력밥솥 KR0164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403A KR0164768B1 (ko) 1996-07-19 1996-07-19 전기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403A KR0164768B1 (ko) 1996-07-19 1996-07-19 전기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27A true KR980008127A (ko) 1998-04-30
KR0164768B1 KR0164768B1 (ko) 1998-12-01

Family

ID=1946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403A KR0164768B1 (ko) 1996-07-19 1996-07-19 전기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38B1 (ko) * 2006-05-15 2007-07-12 양근혜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38B1 (ko) * 2006-05-15 2007-07-12 양근혜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4768B1 (ko) 199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143A (en) Mashed potato machine
US4137834A (en) Cooking and mixing device for household purposes
KR980008127A (ko) 전기압력밥솥
CN1201883A (zh) 食品蒸汽加热器的家用设备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KR100221363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191803B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변형방지장치
KR200255282Y1 (ko)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KR200209548Y1 (ko) 전기압력솥의 뚜껑 개폐구조
KR0126566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KR200273610Y1 (ko) 전기 압력밥솥
KR200235171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0221362B1 (ko)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완료경보방법
KR100238570B1 (ko) 전기 압력밥솥겸용 조리기의 전원 온, 오프방법 및 장치
KR200235167Y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회전장치
KR0170124B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189190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압력 가변장치
KR200253815Y1 (ko) 음식 조리기 겸용 선풍기형 난방 히터
KR100399665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구조
KR20023517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00019036U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 고정장치
KR100220906B1 (ko) 전기압력밥솥의 구동제어방법
KR19990086752A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뚜껑결합장치
JPH02234714A (ja) 電気炊飯器
JP2000210196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