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266Y1 -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 Google Patents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266Y1
KR200255266Y1 KR2020010026312U KR20010026312U KR200255266Y1 KR 200255266 Y1 KR200255266 Y1 KR 200255266Y1 KR 2020010026312 U KR2020010026312 U KR 2020010026312U KR 20010026312 U KR20010026312 U KR 20010026312U KR 200255266 Y1 KR200255266 Y1 KR 200255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pressure cooker
power transmission
lid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2020010026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266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내부에 내통이 수납되는 바디, 바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뚜껑의 하면에 설치된 방열판,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후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방열판과 내통의 접하는 부분이 끼워짐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링크, 링크의 내측단이 끼워지되 중심부분으로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방열판 위에 설치된 회전판, 뚜껑의 상측으로부터 설치되며, 방열판의 상단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손잡이, 회전손잡이의 회전력이 회전판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압력밥솥의 뚜껑과 내통 사이의 밀폐를 위한 작동시 그 작동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밥솥의 내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성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동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홈에 의한 정확한 작동거리의 확보로 작동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A pressure cooker having pressure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ir-tight}
본 고안은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통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열판과 내통을 서로 밀착시키는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내통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고압상태에서 보다 잘 조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내통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압력 개폐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압력밥솥에 설치된 압력 개폐장치는 내통의 상단에 치차형상으로 형성된 용기측 플랜지와 밥솥의 뚜껑에 형성되며 내통의 플랜지에 대응하도록 치차 형상으로 절개된 뚜껑측 플랜지를 구비하고, 이 뚜껑측 플랜지를 일측과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취사를 위해서는 내통에 취사물을 저장한 후 압력밥솥의 바디 내부로 내통을 수납시킨 다음 뚜껑을 닫는다. 그리고 뚜껑을 닫은 후 손잡이를 일측으로 구동시키면, 뚜껑측 플랜지와 용기측 플랜지가 서로 교차함에 따라 밀착되어 내통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압력밥솥의 압력 개폐장치는 뚜껑측 플렌지와 용기측 플랜지 상호간의 계속된 회전 마찰력으로 마찰 표면이 쉽게 마모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플랜지 측에 설치된 실리콘 패킹 등이 이러한 마찰력으로 쉽게 손상되게되어 제품의 내구효율이 떨어지고, 작동에 따른 구동 소음이 크게 발생하며, 이때의 구동을 위한 부품수가 다량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장치의 구동시 발생하는 마찰부분을 최소화하여 제품을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동방식의 최소화 및 작동 소음의 절감, 정확한 작동거리의 확보로 작동거리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뚜껑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압력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압력 개폐장치를 작동시키는 핸들의 설치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링크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바디
300...뚜껑
330...방열판
340...링크
500..회전손잡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내부에 내통이 수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에 설치된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후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상기 내통의 접하는 부분이 끼워짐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링크; 상기 링크의 내측단이 끼워지되 중심부분으로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 위에 설치된 회전판; 상기 뚜껑의 상측으로부터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의 상단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판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된 동력전달돌기와 상기 동력전달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손잡이의 하면에외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동력전달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밥솥의 압력 개폐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각종 스위치(110)와 표시부(120)를 구비하며, 상면으로부터 개구된 밥솥 바디(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100)의 내부로는 취사물이 저장되어 취사가 이루어지는 내통(400)이 수납되는 수납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100)의 상단에는 상하 회동 가능하게 바디(100)의 일측단에 힌지 결합된 뚜껑(300)이 설치된다.
이 뚜껑(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 표면을 형성하는 외관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의 내부에 중심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설치된 회전판(320)을 구비하고, 이 회전판(320)의 하부에는 회전판(320)과 동축상에 축 결합되어 있는 방열판(330)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판(12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외부의 사용자가 직접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가 마련된다.
이 동력전달부는 도 3,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20)의 상면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된 동력전달돌기(322)와 이 동력전달돌기(322)가 끼워지도록 하면에 외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동력전달홈(510)을 구비한 회전손잡이(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 회전손잡이(500)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뚜껑(300)의 외관하우징(310) 상측에 형성된 삽입홀(미부호)로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그 중심 축(520) 부분이 방열판(330)에 형성된 축돌기(332)에 그 상측으로부터 관통하여 끼워진 나사(333)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홈(510)은 회전손잡이(500)의 외주 끝단으로부터 회전손잡이(500)의 중심부분까지 소정 길이 만큼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손잡이(500)의 동력전달홈(510)에 끼워지는 회전판(320)에 형성된 동력전달돌기(322)는 회전손잡이(500)의 회전으로 동력전달홈(5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구동하게 됨으로써 회전판(3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방열판(330)의 상부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링크(340)가 설치된다. 이 링크(340)는 이들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두 번 수직 절곡된 절곡부(341)와 이 절곡부(341)에서 방열판(330)의 상부로 수평하게 연장된 다리부(342)를 구비한다.
또한, 다리부(342)에는 다리부(3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의 안내홀(343)이 형성되고, 다리부(342)의 내측단에는 상향 돌출한 구동돌기(3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열판(330)의 상면에는 링크(340)의 안내홀(343)에 느슨한 상태로 끼워지는 안내돌기(33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340)는 안내홀(343)에 이 안내돌기(331)가 끼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그 자체가 전후진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회전판(320)의 저면에는 전술한 링크(340)의 구동돌기(344)가 끼워지되 외주로부터 내측단이 회전판(320)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슬라이딩홈(3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슬라이딩홈(321)에는 회전판(320)이 방열판(330)의 상측으로 안착되면 링크(340)의 구동돌기(344)가 이 슬라이딩홈(321)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320)의 슬라이딩홈(321)에 구동돌기(344)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판(320)이 회전하게 되면, 구동돌기(344)는 슬라이딩홈(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진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전후진 직선구동으로 인하여 방열판(330)의 하부에 위치한 내통(400)의 상단 플랜지부(미부호)와 방열판(330)의 가장자리 부분이 링크(340)의 절곡부(341)에 서로 겹쳐져서 끼워짐으로써 내통(400)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회전손잡이(500)의 회전폭과 슬라이딩홈(321)의 길이 그리고 링크(340)의 작동길이는 이들의 설계상의 수치 적용시 그 작동거리가 정확히 맞추어지도록 산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손잡이(500)의 회전에 따른 링크(340)의 작동은 정확히 그 압력 개폐를 위한 작동거리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에 설치된 압력 개폐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그 취사를 위하여 취사물을 내통에 저장시킨 후 내통(400)을 바디(100)의 수납부(200) 내부로 수납시킨다. 그런 다음 뚜껑(300)을 닫고, 압력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내통(400)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계속된 조리를 수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작동은 먼저 사용자가 회전손잡이(500)를 잡고, 이 회전손잡이(500)를 일방향, 즉 회전손잡이(500)에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500)의 하부 동력전달홈(510)에 끼워진 회전판(320)의 동력전달돌기(322)는 동력전달홈(5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안내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손잡이(500)와 회전판(320)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돌기(322)의 회전동작으로 회전판(320)이 함께 회전함으로 인해 회전판(320)의 하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21)에 끼워진 링크(340)의 구동돌기(344)는 회전판(320)의 슬라이딩홈(321)을 따라 직선 운동 안내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돌기(344)가 당겨지면, 동시에 링크(340)의 다리부(342)에 형성된 장공의 안내홀(343)이 안내돌기(331)에 지지된 상태에서 링크(340) 전체가 내측 수직 방향으로 당겨져 직선운동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링크(340)의 절곡부(341)는 방열판(330)의 가장자리부분과 내통(400)의 플렌지부를 서로 겹쳐서 압착하게 됨에 따라 내통(400)과 방열판(330) 상호간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취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취사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 다시 압력 개폐장치를 가동시켜 밀폐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이때의 밀폐상태 해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손잡이(500)를 밀폐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손잡이(500)의 회전동작으로 회전손잡이(500) 하부의 동력전달홈(310)에 끼워진 회전판(320)의 동력전달돌기(32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 회전력으로 회전판(320)은 밀폐동작 상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320)의 회전으로 회전판(32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321)에 끼워진 링크(340)의 안내돌기(331)는 슬라이딩홈(321)의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밀려 나가면서 동시에 링크(340) 전체가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직선동작이 수행된다.
그리고 최종에 링크(340)의 절곡부(341)에 의하여 압착되어 있던 방열판(330)과 내통(400)은 링크(340)의 절곡부(341)가 완전히 외측으로 밀려나감에 따라 그 밀폐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이후 사용자는 내통(400)으로부터 취사된 취사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의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는 뚜껑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회전손잡이를 일측과 타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압력 개폐장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회전손잡이와 이 회전손잡이에 의하여 구동하는 회전판과 방열판 그리고 방열판에 설치된 링크를 구비한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밥솥은 압력밥솥의 뚜껑과 내통 사이의 밀폐를 위한 작동시 그 작동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밥솥의 내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동작을 위한 구성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동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홈에 의한 정확한 작동거리의 확보로 작동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내통이 수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
    상기 뚜껑의 하면에 설치된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전후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과 상기 내통의 접하는 부분이 끼워짐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개의 링크;
    상기 링크의 내측단이 끼워지되 중심부분으로 내향 굴곡지게 형성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 위에 설치된 회전판;
    상기 뚜껑의 상측으로부터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의 상단에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판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 상향 돌출하여 형성된 동력전달돌기와 상기 동력전달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손잡이의 하면에 외주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동력전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3. 제 1항 내지는 제 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밥솥.
KR2020010026312U 2001-08-29 2001-08-29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KR200255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12U KR200255266Y1 (ko) 2001-08-29 2001-08-29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312U KR200255266Y1 (ko) 2001-08-29 2001-08-29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266Y1 true KR200255266Y1 (ko) 2001-12-01

Family

ID=73107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312U KR200255266Y1 (ko) 2001-08-29 2001-08-29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0B1 (ko) * 2023-06-28 2023-10-17 박창현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0B1 (ko) * 2023-06-28 2023-10-17 박창현 압력솥의 뚜껑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939B1 (ko) 전기 가열 조리기의 자동 개폐 구조
KR200255266Y1 (ko) 밀폐를 위한 압력 개폐장치를 가진 압력밥솥
KR100878254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압력 조리기
DE602006007064D1 (de) Küchengerät mit rotierendem Werkzeug und spezieller Sicherheitsvorrichtung
KR20150136879A (ko) 전기압력밥솥을 위한 랙과 피니언 방식의 자동 잠금 장치
KR20150136878A (ko) 전기압력밥솥의 자동 잠금장치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101706250B1 (ko) 전기압력밥솥의 자동 개폐장치
KR100188059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40017147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패킹구조
KR200235618Y1 (ko) 압력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KR200235169Y1 (ko) 전기압력밥솥의 내통 고정장치
KR101664116B1 (ko) 전기압력밥솥의 벨트형 자동 잠금장치
CN214906023U (zh) 盖体结构及电饭煲
CN108851937B (zh) 一种烹饪器具
CN220133751U (zh) 一种门铰链及嵌入式冰箱
CN112842104B (zh) 一种食品处理装置
JP2017202064A (ja) 調理器
WO2022270315A1 (ja) 加熱調理器
KR0137593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뚜껑 자동개폐장치
JP2000139729A (ja) 調理器
KR100389812B1 (ko) 전기보온압력밥솥
KR200150812Y1 (ko) 전자렌지의 조립접시 설치구조
KR19980042411U (ko) 전기 보온 압력밥솥 뚜껑 개폐장치
KR200193607Y1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