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486Y1 -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 Google Patents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486Y1
KR200311486Y1 KR20-2003-0002924U KR20030002924U KR200311486Y1 KR 200311486 Y1 KR200311486 Y1 KR 200311486Y1 KR 20030002924 U KR20030002924 U KR 20030002924U KR 200311486 Y1 KR200311486 Y1 KR 200311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od
tableware
hol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옥
Original Assignee
고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옥 filed Critical 고진옥
Priority to KR20-2003-0002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co-operating peripheral ribs an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아서 외부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는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와, 상기 식기에 씌워져 밀폐를 이루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상기 식기의 외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벽면의 내부면에는 나사 돌기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면과 접촉되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바킹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킹 홈에 밀폐 바킹이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내부 중심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마개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관통홀 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 외부면에는 상기 뚜껑의 나사 돌기와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A sealed bowl for heating a food in oven or storing a food in refrigerator}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아서 외부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등을 저장ㆍ보관하는 식기에 있어서는,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동안 상하지 않도록 하고, 편리하게 보관ㆍ저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들이 많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아직 소비자들을 만족할 정도로 음식물 등을 보관ㆍ저장할 수 있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가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일반적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는 음식물 등을 식기 외부와의 공기 접촉을 피하게 하여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상하지 않게 하려고 했으나, 식기의 장기간 사용 시 음식물의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음식물이 쉽게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음식물 등을 식기에 담아 뚜껑을 닫아 음식물 등을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시킨 후에는 다시 상기 뚜껑을 개방하려고 할 때, 식기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이 맞지 않아 상기 뚜껑의 개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는 식기와 뚜껑의 결합 시에는 식기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므로, 식기를 직접 가열하여 식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뚜껑을 식기로부터 분리하여 조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음식물 등의 밀폐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보관ㆍ저장할 수 있고, 음식물의 보관 후 뚜껑을 식기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이 쉽게 분리 될 수 있어 편리한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의 뚜껑을 식기에 그대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식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여, 음식물 등의 밀폐 보관 및 저장 이외에 직접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보관할 경우에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는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와, 상기 식기에 씌워져 밀폐를 이루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상기 식기의 외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벽면의 내부면에는 나사 돌기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면과 접촉되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바킹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킹 홈에 밀폐 바킹이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내부 중심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마개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관통홀 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 외부면에는 상기 뚜껑의 나사 돌기와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식기의 외부 하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상부면에는 상기 식기를 뚜껑의 상부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식기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도록 걸림 턱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뚜껑의 부분 절단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용에 의하여 다수를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식기 10-A : 돌출부
10-B : 식기 측벽부 상단면 10-C : 걸림 돌기
20 : 뚜껑 20-A : 접촉 벽면
20-A-1 : 나사 돌기
20-B : 관통홀 20-C : 마개 지지대
20-D : 걸림턱
21 : 밀폐 바킹 22 : 관통홀 마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일부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뚜껑의 부분 절단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용에 의하여 다수를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10)와, 식기(10)에 씌워져 밀폐를 이루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뚜껑(20)의 외주면에는 식기(10)의 외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벽면(20-A)이 형성되고, 접촉 벽면(20-A)의 내부면에는 나사 돌기(20-A-1)가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식기(10)의 측벽부 상단면(10-B)과 접촉되는 뚜껑(20)의 저면에는 바킹 홈(20-1)이 형성되어 바킹 홈(20-1)에 밀폐 바킹(21)이 설치된다.
또, 식기(10)의 측벽부 상단 외부면에는 뚜껑(20)의 나사 돌기(20-A-1)와 맞물리는 돌출부(10-A)가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접촉 벽면(20-A)의 내부면에 부분적으로 나사 돌기(20-A-1)가 형성되어, 뚜껑(20)을 식기(10)의 상부에 씌울 때에는 식기(10)의 돌출부(10-A)와 뚜껑(20)의 나사 돌기(20-A-1)가 맞물리지 않도록 뚜껑(20)의 방향을 정하여 씌워서, 뚜껑(20)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 돌기(20-A-1)가식기(10)의 돌출부(10-A) 하부면과 맞물려서 조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뚜껑(20)을 식기(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20)을 조이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나사 돌기(20-A-1)와 돌출부(10-A)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하면 된다.
따라서, 뚜껑(20)을 식기(10)에 씌워, 나사 돌기(20-A-1)와 돌출부(10-A)가 맞물려서 뚜껑(20)의 회전에 의하여 조여지면, 뚜껑(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밀폐 바킹(21)과 식기(10) 측벽부의 상단면(10-B)가 접촉한 상태에서 강한 압력을 받게 되어 식기(1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뚜껑(10)의 내부 중심 부분에는 관통홀(20-B)이 형성되고, 관통홀(20-B)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마개 지지대(20-C)에 고정되어 관통홀(20-B)을 개폐시키는 관통홀 마개(22)가 설치된다.
따라서, 식기(10)를 뚜껑(20)으로 쒸워 식기 내부의 음식물 등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킬 때에는 관통홀 마개(22)로 관통홀(20-B)에 끼운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식기(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기는 밥이나 국과 같은 음식을 넣어 냉동 보관하였다가 전자 레인지와 같은 오븐에 덮혀 먹는 용도로 사용이 되는데, 냉장 또는 냉동 상태에서 뚜껑(20)을 식기(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식기 내부의 압력이 외부보다 낮아서 관통홀 마개(22)를 관통홀(20-B)로부터 분리시킴으로서, 식기(10) 내부의 밀폐를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관통홀(20-B)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흘러 들어가 식기(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어 뚜껑(20)을 식기(10)로부터 쉽게 분리시키기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밀폐 냉장된 음식물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할 때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히 밀폐상태를 파괴하여야 하는데, 마개는 이러한 경우에 기밀을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의 주요 구성 부분인 식기(10)와 뚜껑(10)과 뚜껑(10)에 설치된 밀폐 바킹(21), 관통홀 마개(22) 등을 분리한 사시도는 도 3과 같다.
또, 본 고안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다수 개 보관할 경우에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각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적층시켜 보관하더라도, 뚜껑(20)의 상부로 적재되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식기(10)의 외부 하면에는 걸림 돌기(10-C)가 형성되고, 뚜껑(20)의 상부면에는 식기(10)를 뚜껑의 상부에 적재하였을 때 식기(10)의 걸림 돌기(10-C)가 끼워지도록 걸림 턱(20-D)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10)에 뚜껑(20)을 씌우고, 관통홀 마개(22)를 관통홀(20-B)에 결합시켜 식기(1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킨 후에, 각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들을 다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의 뚜껑(20)에 적재시킨다. 이 때, 식기(10)의 외부 하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10-C)가 뚜껑(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턱(20-D)에 끼워지면서 적재가 되므로, 뚜껑(20)의 상부에 적재되는 식기(20)가 뚜껑(2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음식물 등의 밀폐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관ㆍ저장할 수 있고, 음식물의 보관 후 뚜껑을 식기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이 쉽게 분리 될 수 있어 편리한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제공하였다.
또한,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의 뚜껑을 식기에 그대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식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조리 가능하도록 하여, 음식물 등의 밀폐 보관 및 저장 이외에 직접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다수의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를 보관할 경우에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식기와, 상기 식기에 씌워져 밀폐를 이루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주면에는 상기 식기의 외부 상부면과 접촉하는 접촉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벽면의 내부면에는 나사 돌기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면과 접촉되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는 바킹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바킹 홈에 밀폐 바킹이 설치되고,
    상기 뚜껑의 일 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된 마개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을 개폐시키는 관통홀 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식기의 측벽부 상단 외부면에는 상기 뚜껑의 나사 돌기와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의 외부 하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상부면에는 상기 식기를 뚜껑의 상부에 적재하였을 때, 상기 식기의 걸림 돌기가 끼워지도록 걸림 턱이 형성된 것이 특징인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2003-0002924U 2003-01-29 2003-01-29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0311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24U KR200311486Y1 (ko) 2003-01-29 2003-01-29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24U KR200311486Y1 (ko) 2003-01-29 2003-01-29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486Y1 true KR200311486Y1 (ko) 2003-05-01

Family

ID=4933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924U KR200311486Y1 (ko) 2003-01-29 2003-01-29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299B1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KR20040002173A (ko) 냉장고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311486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200311485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704554B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 보관 비닐팩
KR20060026543A (ko) 플라스틱용기
KR200166090Y1 (ko) 반찬함
KR200217624Y1 (ko) 보온 도시락용 음식용기
KR200387521Y1 (ko) 밀폐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61882Y1 (ko) 압력용기의 밀폐구조
KR100512730B1 (ko) 냉장고용 저장용기
KR200366160Y1 (ko) 용기
KR200281326Y1 (ko) 전자렌지용 취사용기
KR200431873Y1 (ko) 양측 개방형 밀폐용기
KR200333266Y1 (ko) 냉동보관 도시락용기
KR200255282Y1 (ko) 잔압제거수단을 갖는 압력밥솥
KR200176947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KR200335713Y1 (ko) 김치냉장고용 보관용기의 손잡이 형상구조
KR200173497Y1 (ko) 반찬함
KR200178479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JP2002360327A (ja) 弁当箱
KR200296730Y1 (ko) 냉동 보관 도시락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