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479Y1 -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 Google Patents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479Y1
KR200178479Y1 KR2019990020535U KR19990020535U KR200178479Y1 KR 200178479 Y1 KR200178479 Y1 KR 200178479Y1 KR 2019990020535 U KR2019990020535 U KR 2019990020535U KR 19990020535 U KR19990020535 U KR 19990020535U KR 200178479 Y1 KR200178479 Y1 KR 200178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hermal insulation
lid
auxiliary
insul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용마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용마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용마전기
Priority to KR2019990020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과 음료나 스프, 죽, 식혜, 튀김 등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소정온도로 보온 저장할 있도록 보온용기와 이에 결합되는 보조 보온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뚜껑과, 본체 케이스와 뚜껑에 각각 내설되어 음식물을 소정온도로 보온하는 히터를 구비한 보온밥통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내면의 소정높이에 다수개의 손잡이가 서로 수평지게 형성된 보온용기와, 보온용기에 착탈되어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상부가 막혀 손잡이에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보조 보온용기와, 보온용기의 상단에 개폐되며 윗면에 배출구와 이에 결합되는 배출구용 뚜껑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보온 저장하면서도 각 음식물의 냄새가 서로 배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물과 음료 그리고 기타 음식물을 담아 야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A keeping warm boiled rice container}
본 고안은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음료나 스프, 죽, 식혜, 튀김 등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소정온도로 보온 저장할 있도록 보온용기와 이에 결합되는 보조 보온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보온밥통은 소정의 용기형상을 갖는 보온용기에 담겨진 취사된 밥 또는 기타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보온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보온밥통은 소정크기의 용기형상으로 히터를 포함한 전기장치를 내장한 본체 케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본체 케이스의 상단 일측에 본체 뚜껑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본체 케이스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소정량의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된 용기형상의 보온용기가 삽입되어 있고, 이 보온용기는 본체 케이스의 측벽 부위에 구비된 히터에 접촉되도록 본체 케이스 내에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보온용기의 외측면은 본체 케이스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고, 보온용기의 테두리 부위는 본체 케이스의 상단 주연부위에 근접하여 걸쳐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체 뚜껑의 내면에는 보온용기의 상단 주연부위를 커버하는 보온용기 뚜껑이 설치되어 있고, 이 보온용기 뚜껑은 본체 뚜껑의 개폐에 따라 보온용기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보온밥통은 본체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보온용기에 소정량의 음식물을 투입한 후 보온용기 뚜껑과 본체뚜껑을 닫고 히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하면, 보온용기에 수용된 각종 음식물 등은 히터에 의해 유지 형성되는 온도상태로 보온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온밥통은 취사된 밥이나 다른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밥을 보온하는 중에는 다른 음식물을 보온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과 음료나 스프, 죽, 식혜, 튀김 등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소정온도로 보온 저장할 있도록 보온용기와 이에 결합되는 보조 보온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2a, 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4a, 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6a, b, c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8a, b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31, 51, : 보온용기 12, 32, : 손잡이
13, 23, 33, 42, 53, 62 : 보조 보온용기 14, 34, 41 : 가이드 홈
15, 25, 35, 55 : 뚜껑 16, 26, 36, 56 : 배출구
17, 27, 37, 57 : 배출구용 뚜껑 38, 58 : 엠보싱
29, 39, 59, 63 : 걸림턱 40, 60 : 결합턱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온밥통의 제1실시예는 용기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 뚜껑에 각각 내설되어 음식물을 소정온도로 보온하는 히터를 구비한 보온밥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내면의 소정높이에 다수개의 손잡이가 서로 수평지게 형성된 보온용기; 상기 보온용기에 착탈되어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상부가 막혀 손잡이에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보조 보온용기; 및 상기 보온용기의 상단에 개폐되며 윗면에 배출구와 이에 결합되는 배출구용 뚜껑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의 주변높이를 뚜껑의 높이보다 배출구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하여 배출구용 뚜껑이 뚜껑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보온밥통은, 상기 보조 보온용기의 상단 외곽에 보온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외향지게 형성되어서, 보조 보온용기 양측면의 가이드 홈과 보온용기 내에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온밥통의 제3실시예는, 용기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 뚜껑에 각각 내설되어 음식물을 소정온도로 보온하는 히터를 구비한 보온밥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손잡이와 엠보싱이 각각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각각 수평지게 형성된 보온용기; 상기 보온용기에 착탈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엠보싱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제1보조 보온용기; 상기 보온용기에 착탈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상부가 막힌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걸리도록 구성된 제2보조 보온용기; 및 상기 보온용기의 상단에 개폐되며 윗면에 배출구와 이에 결합되는 배출구용 뚜껑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의 주변높이를 뚜껑의 높이보다 배출구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하여 배출구용 뚜껑이 뚜껑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보조 보온용기의 하단에 상기 제1보조 보온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결합턱을 형성하여 제1보조 보온용기와 제2보조 보온용기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보온밥통은, 상기 제2보조 보온용기의 상단 외곽에 보온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외향지게 형성되어서, 제1, 제2보조 보온용기 양측면의 가이드 홈과 보온용기 내의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서술한다.
우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보온밥통의 구성이나 동작을 보면, 종래의 보온밥통의 구조 및 동작과 동일하기에 이를 생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용기형상으로 미도시된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보온용기(11)의 서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두 개의 이상의 손잡이(12)가 서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보온용기(11)에 착탈되는 보조 보온용기(13)의 외면에는 손잡이(12)에 결합되어 보조 보온용기(13)와 보온용기(11)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막힌 가이드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보온용기(13)의 상부에는 뚜껑(15)이 개폐되는 데, 이 뚜껑(15)의 상부에는 보조 보온용기(13)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16)에는 억지끼움으로 개폐되는 뚜껑(17)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배출구(16)의 주변이 뚜껑(15)의 상면보다 낮게, 즉 배출구(16)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1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뚜껑(15)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도2a, b에서와 같이 보온용기(11) 내에 보조 보온용기(13)를 내입하게 되면, 보조 보온용기(13)의 가이드 홈(14)이 보온용기(11)의 손잡이(12)에 결합되어 보조 보온용기(13)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던 보조 보온용기(13)는 가이드 홈(14) 중 막힌 상단부가 손잡이(12)에 닿으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정지하면서 보조 보온용기(13)의 내부공간과 보온용기(11)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 개의 공간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조 보온용기(13)의 상부를 뚜껑(15)으로 밀폐할 수 있어 보조 보온용기(13)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보온용기(11)에 보관중인 음식물에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뚜껑(15)의 상단에 배출구(16)와 배출구용 뚜껑(1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보온용기(15) 내에 보관중인 음료나 음식물을 배출구(16)를 통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용기형상으로 미도시된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보온용기(21)에 착탈되도록 이루어진 보조 보온용기(23)의 상단에는 걸림턱(29)이 외향지게 형성되어 결합시 보조 보온용기(23)와 보온용기(21)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 보온용기(23)의 상부에는 뚜껑(25)이 개폐되는 데, 이 뚜껑(25)의 상부에는 보조 보온용기(23)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26)에는 억지끼움으로 개폐되는 뚜껑(27)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배출구(26)의 주변이 뚜껑(25)의 상면보다 낮게, 즉 배출구(26)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2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뚜껑(25)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도4a, b에서와 같이 보온용기(21) 내에 보조 보온용기(23)를 내입하게 되면, 보조 보온용기(23)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던 보조 보온용기(23)는 걸림턱(29)이 보온용기(21)의 상단에 걸리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정지하게 되어 보조 보온용기(23)의 내부공간과 함께 보온용기(21)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두 개의 공간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조 보온용기(23)의 상부를 뚜껑(25)으로 개폐할 수 있어 보조 보온용기(23)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보온용기(21)에 보관중인 음식물에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뚜껑(25)의 상단에 배출구(26)와 배출구용 뚜껑(2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보온용기(25) 내에 보관중인 음료나 음식물을 배출구(26)를 통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용기형상으로 미도시된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보온용기(31)의 서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두 개의 손잡이(32)와 엠보싱(38)이 각각 서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보온용기(31)의 하단에 착탈되는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상단에는 엠보싱(38)에 결합되어 보조 보온용기(33)와 보온용기(31)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걸림턱(39)이 외향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온용기(31)의 상단에 착탈되는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외면에는 손잡이(32)에 결합되어 제2보조 보온용기(42)와 제1보조 보온용기(33)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막힌 가이드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외면에는 손잡이(32)에 걸리지 않고 보온용기(31) 내에 제1보조 보온용기(33)를 내입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하단에는 결합시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턱(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상부에는 뚜껑(35)이 개폐되는 데, 이 뚜껑(35)의 상부에는 제2보조 보온용기(42)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36)에는 억지끼움으로 개폐되는 뚜껑(37)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배출구(36)의 주변이 뚜껑(35)의 상면보다 낮게, 즉 배출구(36)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3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뚜껑(35)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도6a, b, c에서와 같이 보온용기(31) 내에 제1보조 보온용기(33)를 내입하면,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가이드 홈(34)이 보온용기(31)의 손잡이(32)에 결합되어 제1보조 보온용기(33)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던 제1보조 보온용기(33)는 상부가 개방된 가이드 홈(34)을 통해 손잡이(32)를 통과시킨 후 엠보싱(38)에 걸림턱(39)이 걸리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정지되어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내부공간과 보온용기(31)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보온용기(31) 내에 제2보조 보온용기(42)를 내입하면,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가이드 홈(41)이 보온용기(31)의 손잡이(32)에 결합되어 제2보조 보온용기(42)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하강하던 제2보조 보온용기(42)는 가이드 홈(41) 중 막힌 상단부가 손잡이(32)에 닿으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정지하면서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내부공간과 제1보조 보온용기(33)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 개의 공간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제2보조 보온용기(42)의 상부를 뚜껑(35)으로 밀폐할 수 있어 제2보조 보온용기(42)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1보조 보온용기(33)나 보온용기(31)에 보관중인 음식물에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뚜껑(35)의 상단에 배출구(36)와 배출구용 뚜껑(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보조 보온용기(42) 내에 보관중인 음료나 음식물을 배출구(36)를 통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의 보온용기와 보조 보온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용기형상으로 미도시된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보온용기(51)의 서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두 개의 엠보싱(58)이 서로 수평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보온용기(51)의 하단에 착탈되는 제1보조 보온용기(53)의 상단에는 엠보싱(58)에 결합되어 제1보조 보온용기(53)와 보온용기(51)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걸림턱(59)이 외향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온용기(51)의 상단에 착탈되는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상단에는 보온용기(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2보조 보온용기(62)와 제1보조 보온용기(53) 사이에 음식물을 보온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걸림턱(63)이 외향지게 형성되고 있으며, 이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하단에는 결합시 제1보조 보온용기(53)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턱(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상부에는 뚜껑(55)이 개폐되는 데, 이 뚜껑(55)의 상부에는 제2보조 보온용기(62) 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56)에는 억지끼움으로 개폐되는 뚜껑(57)이 결합되어 있다. 특히, 배출구(56)의 주변이 뚜껑(55)의 상면보다 낮게, 즉 배출구(56)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5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뚜껑(55)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도8a, b에서와 같이 보온용기(51) 내에 제1보조 보온용기(53)를 내입하면, 제1보조 보온용기(53)의 걸림턱(59)에 엠보싱(59)이 걸리기까지 제1보조 보온용기(53)가 하강되어 제1보조 보온용기(53)의 내부공간과 보온용기(51)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보온용기(51) 내에 제2보조 보온용기(62)를 내입하면,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걸림턱(63)이 보온용기(51)의 상단에 걸리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정지하면서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내부공간과 제1보조 보온용기(53)의 내측 하단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 개의 공간에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제2보조 보온용기(62)의 상부를 뚜껑(55)으로 밀폐할 수 있어 제2보조 보온용기(62)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1보조 보온용기(53)나 보온용기(51)에 보관중인 음식물에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뚜껑(55)의 상단에 배출구(56)와 배출구용 뚜껑(5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보조 보온용기(62) 내에 보관중인 음료나 음식물을 배출구(56)를 통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보온 저장하면서도 각 음식물의 냄새가 서로 배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물과 음료 그리고 기타 음식물을 담아 야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용기형상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 케이스와 뚜껑에 각각 내설되어 음식물을 소정온도로 보온하는 히터를 구비한 보온밥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에 착탈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내면의 소정높이에 다수개의 손잡이가 서로 수평지게 형성된 보온용기;
    상기 보온용기에 착탈되어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용기형상을 갖으며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상부가 막혀 손잡이에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보조 보온용기; 및
    상기 보온용기의 상단에 개폐되며 윗면에 배출구와 이에 결합되는 배출구용 뚜껑이 형성된 뚜껑;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주변높이가 뚜껑의 높이보다 배출구와 이에 결합된 배출구용 뚜껑의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온용기의 상단 외곽에 보온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걸림턱이 외향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19990020535U 1999-09-22 1999-09-22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0178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35U KR200178479Y1 (ko) 1999-09-22 1999-09-22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35U KR200178479Y1 (ko) 1999-09-22 1999-09-22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479Y1 true KR200178479Y1 (ko) 2000-04-15

Family

ID=1958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535U KR200178479Y1 (ko) 1999-09-22 1999-09-22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4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15B1 (en) Microwave moisture lock cover
KR101244567B1 (ko) 휴대용 3중 용기
US6619192B2 (en) Frying pan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KR102269413B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KR200178479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200167429Y1 (ko) 물탱크를 구비한 보온밥통
KR200413630Y1 (ko) 온장고
KR102662124B1 (ko)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KR101618049B1 (ko) 일회용 보온 도시락 용기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JP2002360327A (ja) 弁当箱
KR200208422Y1 (ko) 국물이 누설되지 않는 도시락 용기
KR200175049Y1 (ko) 다용도 보조용기를 구비한 보온밥통
KR102458185B1 (ko) 금속 내측 용기를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159859Y1 (ko) 보온밥통
KR200296730Y1 (ko) 냉동 보관 도시락 용기
JPH0350024Y2 (ko)
JP2002360326A (ja) 弁当箱
KR200176947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KR200148845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230123670A (ko)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JP3205664U (ja) 電子レンジ用内箱
KR200232800Y1 (ko) 일회용 라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