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670A -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670A
KR20230123670A KR1020220020692A KR20220020692A KR20230123670A KR 20230123670 A KR20230123670 A KR 20230123670A KR 1020220020692 A KR1020220020692 A KR 1020220020692A KR 20220020692 A KR20220020692 A KR 20220020692A KR 20230123670 A KR20230123670 A KR 2023012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extension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632B1 (ko
Inventor
송기룡
정미섭
한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시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시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시락
Priority to KR102022002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632B1/ko
Priority to PCT/KR2022/003458 priority patent/WO2023158011A1/ko
Publication of KR2023012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6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발열체가 위치하는 외측용기로부터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측용기로 발열체와 물에 의한 수증기 일부가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를 수용하고, 모서리의 일 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용기연장부, 및 외측용기연장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통로를 구비하는 외측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외측용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용기의 내부에 인입되고 외측용기에 의해 지지되며, 외측용기연장부와 결합하여 유입통로를 폐쇄시키는 내측용기연장부를 구비하는 내측용기; 및 내측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A CONTAINER FOR HEATING FOOD THAT IS EASY TO DISCHARGE WATER VAPOR INTO THE INNER CONTAINER}
본 발명은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가 위치하는 외측용기로부터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측용기로 발열체와 물에 의한 수증기 일부가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시간 절약과 편리함을 내세워 다양한 인스턴트 식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1차 가공되어 뜨거운 물만을 부어 먹을 수 있는 면류를 비롯하여 햄버거나 피자, 1차 조리가 끝난 생선, 육류 등의 통조림류, 그리고 밥이나 김밥 등의 도시락이 있다.
이들 중 상품화된 인스턴트 식품은 유통기간이 비교적 길어 필요한 때나 필요한 장소에서의 이용 가능하고, 밥이나 김밥 등의 도시락은 변질성이 강해 대체로 그 당일에 이용하도록 권장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인스턴트 식품을 이용할 때에는 보다 향상된 맛을 내거나 변질에 따른 식중독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히 겨울철 보온을 위해 재차 가열시키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야외에서 인스턴트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버너 등의 가열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들을 취급 관리함에 있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용기 내부의 발열체를 발열시킴으로써 용기에 저장된 식품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들이 개발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200호는 식품 포장 용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발열체 포장대, 조리된 식품이 진공 포장된 주식 및 부식 포장 용기, 식사를 덜어서 먹을 수 있도록 된 종이 재질의 케이스, 및 케이스를 낱개로 밀폐/보관하도록 하는 포장 봉지로 이루어진 일회용 식사 세트를 개시한다.
그런데, 위 선행문헌에 개시된 일회용 식사 세트는 발열체 포장대를 이용하여 야외에서도 음식을 데워먹을 수 있지만, 주식 및 부식 포장 용기가 데워진 후에 다시 별도의 식기를 접어서 음식을 덜어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347호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작용을 하는 발열체를 본체에 넣어서 음식물이 내입된 내장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지는 발열 용기로서, 음식물이 내입된 내장용기가 저면과 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도록 상부에 내입/결합되는 본체, 본체와 함께 내장용기를 덮는 밀폐뚜껑, 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 내에서 발열체와의 반응으로 가열된 물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발열 용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위 선행문헌에 개시된 발열 용기는 사용시 밀폐 뚜껑을 개봉한 후, 음식물이 내입된 내장용기를 제거한 후 본체에 물을 주입하고 다시 내장 용기를 본체에 삽입한 후에 밀폐 뚜껑을 밀폐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발열 용기는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 주입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88122호(2002년08월23일 등록)에는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음식물용기, 저면에 발열체봉지와 발열용액봉지를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상향의 개방공간이 형성되는 절연용기, 상기 절연용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의 개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회동시 음식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용기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절연용기의 저면에 제공되어 상기 발열체봉지와 발열용액봉지가 적층상태로 올려지도록 하되 그 일측이 상기 발열체봉지와 발열용액봉지의 일측 밀착부를 접힘상태로 결합시키고, 그 중간 위치에 소정길이 파단라인이 형성되는 봉지접합부재;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와 절연용기를 통과하여 상기 봉지의 밀착부를 감싸는 상태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봉지접합부재에 파단라인 반대편에 고정시켜 당김시 상기 파단라인에서 이동되면서 밀착된 상기 발열체봉지와 발열용액봉지를 동시에 찢게 되는 당김끈, 내용물이 저장되는 상기 음식물용기의 상측에서 용기본체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덮개되는 음식물용기 덮개지,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게 되는 커버의 내측에 제공되어 커버 결합시 용기본체내에 발생되는 열을 폐쇄하여 보온하는 절연덮개를 포함하여 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용 발열 도시락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발열 도시락은 당김끈으로 발열체 봉지와 발열용액봉지를 찢을 때 발열체봉지 및 발열용액봉지가 일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리브를 형성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20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34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12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워진 음식물을 별도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고,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 주입이 용이한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가 위치하는 외측용기로부터 음식물이 위치하는 내측용기로 발열체와 물에 의한 수증기 일부가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를 수용하고, 모서리의 일 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용기연장부, 및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통로를 구비하는 외측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외측용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용기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외측용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통로를 폐쇄시키는 내측용기연장부를 구비하는 내측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의 벽체 일 부위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외측용기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내측용기의 내부로 수증기 일부를 배출시키는 내측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상기 내측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홀인 내측홀을 통과하여 상기 뚜껑의 하부면을 향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배출부는, 상기 내측용기의 측벽체 일 부위가 상기 내측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배출부는, 상기 내측용기의 바닥벽체 일 부위가 상기 내측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홀은, 상기 내측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측용기의 일 부위에 끼움 결합되는 내측용기끼움홈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내측용기끼움홈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측용기끼움홈체에 끼움 결합되는 뚜껑끼움홈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끼움홈체의 일 부위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내측용기 내 수증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뚜껑돌출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연장부는, 홈의 형상으로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와 상기 내측용기연장부의 결합 시 상기 외측용기 내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수증기배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데워진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이 내측 용기의 음식물을 바로 취식할 수 있고, 내측 용기를 제거하지 않고 외측용기의 유입통로를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발열체 측으로 주입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내측용기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어, 내측용기의 내부 공간의 수증기압 증가에 따른 뚜껑과 내측용기의 분리 또는 뚜껑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외측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 중 일부가 내측용기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어, 수증기에 의한 내부용기의 가열과 동시에 일부 수증기에 의한 음식물 가열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대한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연장부와 내측용기연장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의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연장부와 내측용기연장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뚜껑(3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뚜껑(3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측용기(200)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100)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용기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를 수용하고, 모서리의 일 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용기연장부(120), 및 외측용기연장부(120)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통로(130)를 구비하는 외측용기(10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외측용기(1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용기(100)의 내부에 인입되고 외측용기(100)에 의해 지지되며, 외측용기연장부(120)와 결합하여 유입통로(130)를 폐쇄시키는 내측용기연장부(220)를 구비하는 내측용기(200); 및 내측용기(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측용기(20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내측용기(200)는, 내측용기(20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측용기(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외측용기(100)의 일 부위에 끼움 결합되는 내측용기끼움홈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용기(100)는 발열체를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용기(100)는 높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원 또는 다각형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기된 각각의 사항은 외측용기(100)의 형상이 상이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외측용기연장부(120)의 내측에는 외측용기(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통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유입통로(130)를 통해 외측용기(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외측용기(100)에 수용된 발열체를 반응시켜 열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발열체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 물질이 들어있는 발열 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 물질은, 예를 들면 생석회, 수산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중탄산나트륨,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외측용기(100)는, 외측용기(10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측용기(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용기리브(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내측용기(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용기(200)는 외측용기(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측용기(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된 내측용기끼움홈체(210)는 외측용기리브(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용기(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외측용기리브(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용기끼움홈체(210)는 내측용기(200)의 상단 가장자리가 상방으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측용기끼움홈체(210)는 상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하부로 개방된 내측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내측용기끼움홈체(210)의 내측 공간에 외측용기리브(110)가 삽입되면서 내측용기끼움홈체(210)가 외측용기리브(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용기(200)의 하부면과 외측용기(100)의 바닥면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발열체에 의해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열이 내측용기(200)의 바닥벽체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뚜껑(300)은, 내측용기끼움홈체(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뚜껑(3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측용기끼움홈체(210)에 끼움 결합되는 뚜껑끼움홈체(310)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끼움홈체가 뚜껑끼움홈체(31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뚜껑(300)과 내측용기(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측용기(200)의 내부가 용이하게 밀폐될 수 있다.
내측용기(200)는, 내측용기(200)의 벽체 일 부위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외측용기(100)에서 가열된 수증기를 통과시켜 내측용기(200)의 내부로 수증기 일부를 배출시키는 내측배출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내측배출부(240)의 상부에 형성된 홀인 내측홀(241)을 통과하여 뚜껑(300)의 하부면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형성에 의해,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 중 일부가 내측용기(2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어, 수증기에 의한 내부용기의 가열과 동시에 일부 수증기에 의한 음식물 가열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대한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식품 용기에서, 내측배출부(240)는, 내측용기(200)의 측벽체 일 부위가 내측용기(20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내측배출부(240)는 내측용기(200)의 측부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형성에 의해, 외측용기(100)와 내측용기(200)의 결합 시,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용기(100)의 내부 바닥면과 내측용기(200)의 외측 하부면 간 공간에서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 중 일부가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수증기의 나머지는, 외측용기(100)의 내부 바닥면과 내측용기(200)의 외측 하부면 간 공간으로부터 유입통로(130)를 따라 유동한 후 하기된 수증기배출홈(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홀(241)은, 내측배출부(2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형성에 의해 내측배출부(240)의 상부벽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상부벽체에 홀이 타공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한 수증기는 내측홀(241)을 통과하여 뚜껑(300)의 하부면을 향해 배출된 후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라는 음식물에 대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한 수증기는 뚜껑돌출체(311)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식품 용기에서, 내측배출부(240)는, 내측용기(200)의 바닥벽체 일 부위가 내측용기(200)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서 내측배출부(240)는 내측용기(200)의 하부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배출부(240)는 기둥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기둥 형상의 측면은 선택적으로 기울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형성에 의해, 외측용기(100)와 내측용기(200)의 결합 시,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용기(100)의 내부 바닥면과 내측용기(200)의 외측 하부면 간 공간에서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 중 일부가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수증기의 나머지는, 외측용기(100)의 내부 바닥면과 내측용기(200)의 외측 하부면 간 공간으로부터 유입통로(130)를 따라 유동한 후 하기된 수증기배출홈(1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홀(241)은, 내측배출부(2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형성에 의해 내측배출부(240)의 상부벽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측배출부(240)의 상부벽체에 홀이 타공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측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한 수증기는 내측홀(241)을 통과하여 뚜껑(300)의 하부면을 향해 배출된 후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라는 음식물에 대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한 수증기는 뚜껑돌출체(311)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용기(200)의 내측용기연장부(220)는 외측용기(100)의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용기(100)의 외측용기연장부(120)와 결합하여 외측용기(100)의 유입통로(130)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용기(100)의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200)의 내측용기연장부(220)는 외측용기(100)와 내측용기(200)가 결합될 때 서로 중첩되고, 이에 따라, 외측용기(100)의 유입통로(13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도 8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용기(100)의 외측용기연장부(120)로부터 내측용기(200)의 내측용기연장부(220)를 이격시키면, 외측용기(100)의 유입통로(130)의 일부인 주입구(1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유입통로(130)에 물을 주입하고 다시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를 폐쇄시키면 발열체가 발열하여 내측용기(200)에 수용된 음식물(식품)이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이 어느 정도 가열되면, 사용자는 뚜껑(300)을 제거한 후에 내측용기(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용기는 데워진 음식물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가 없이 내측용기(200)의 음식물을 바로 취식할 수 있고, 내측용기(200)를 외측용기(100)로부터 제거하지 않고도 외측용기(100)의 유입통로(130)를 개방하여 간단하게 물을 발열체 측으로 주입할 수 있다.
외측용기연장부(120)는, 테두리 부분이 판상의 플랜지로 형성되고 중심 부분이 유입통로(13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방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용기연장부(220)는, 판상의 플랜지로 형성되며, 단부측에 결합돌기(140)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통로(130)는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 외측용기연장부(12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용기연장부(22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플랜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서로 중첩되어 밀착되면 유입통로(130)가 폐쇄되고,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서로 이격될 때 유입통로(130)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용기연장부(120)는, 홈의 형상으로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의 결합 시 외측용기(100) 내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수증기배출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상면에는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일 부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외측용기끼움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고, 외측용기끼움돌기(123)의 형성에 의해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상면에 수증기배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의 결합 시 수증기배출홈(122)에 의한 홀 형상의 틈이 형성되고, 외측용기(100) 내 가열된 수증기 중 내측배출부(240)로 유동한 일부 수증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증기가 수증기배출홈(122)에 의한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의 결합 구조에 의해, 외측용기(100)와 내측용기(200)가 결합되면, 외측용기연장부(120) 및 내측용기연장부(220) 각각의 단부측은 밀폐가 되고, 외측용기연장부(120) 및 내측용기연장부(220)의 결합체 일 부위는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통로(130)를 통해 물이 주입되어 발열체가 발열할 때,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는 수증기가 발생하여 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이 때, 외측용기연장부(120) 및 내측용기연장부(220) 사이에서 생성된 수증기 중 상기와 같은 나머지 수증기가 유입통로(130)를 통과한 후 수증기배출홈(122)에 의한 홀을 통해 측방향으로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수증기 또는 공기의 부피 증가로 외측용기(100) 내 압력이 증가하여 외측용기(100)와 내측용기(200)가 분리되거나 외측용기(100) 또는 내측용기(200)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용기연장부(22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내측용기끼움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결합 시 외측용기끼움돌기(1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내측용기끼움돌기(222)가 인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결합 시 결합돌기(140)가 결합홈체(2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결합홈체(230)는 내측용기연장부(220)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140)는 외측용기끼움돌기(123)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돌기(140)는 결합돌기(140)의 일면이 타공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홀(141)을 구비하고, 결합홈체(230)는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홈체돌기(231)를 구비하여,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결합 시 결합홈체돌기(231)가 결합돌기홀(1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6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용기(100)는, 외측용기(10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61)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홈(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용기(100)의 저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착홈(150)에는 발열체가 안착하며, 이와 같은 안착홈(150)은 유입통로(130)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150)은 발열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체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유입통로(130)를 통해 주입된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홈(150)의 일측은 전술한 유입통로(13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유입통로(130)는 일단이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중심측에 위치하여 물의 주입구(131)로서 역할을 하고, 타단이 외측용기(100)의 안착홈(150)과 연통되어 발열체 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용기연장부(120)와 내측용기연장부(220)가 이격되어 유입통로(130)의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통로(130)의 주입구(131)에 물을 주입하면, 주입된 물은 유입통로(130)를 통해 외측용기(100)의 안착홈(150)으로 유입되어 발열체가 발열 반응을 일으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발열체는 안착홈(150)에 안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발열체가 항상 외측용기(100)의 중심에 위치하여 내측용기(200)에 수용된 음식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외측용기(100)는, 안착홈(150)의 양측에 안착홈(15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간인 잉여공간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외측용기(100)에는 발열체를 수용하는 안착홈(150)을 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61)에 의해 형성하되, 안착홈(150) 양측에 형성되는 잉여공간부(163)들과 안착홈(150)이 연통되도록 안착홈(150) 양측의 돌출턱(161)에 연통홈(162)을 형성하여 유입통로(130)를 통해 안착홈(150)으로 유입된 물이 양측의 잉여공간부(163)에 나뉘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 양 측의 돌출턱(161)에 연통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50)의 양 측에 형성된 돌출턱(161)에 형성된 연통홈(162)의 구성으로, 사용 시에 물 유입통로(130)를 통해 주입되는 물이 연통홈(162)을 통해 안착홈(150)으로 유입된 다음, 그 양측의 잉여공간부(163)로 유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안착홈(150)의 물이 발열체와의 발열반응에 의해 소모되어 감소되면 잉여공간부(163)에 수용된 물이 연통홈(162)을 통해 안착홈(150)으로 유동함으로써, 발열체와 물에 의한 발열반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내측용기(200)의 식품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홈(150)의 양측에 물이 수용되는 잉여공간부(163)를 형성하여 유입된 물이 안착홈(150)과 함께 양측의 잉여공간부(163)에 분산되어 수용되므로, 안착홈(150)에서의 과도한 물로 인한 과잉 발열반응이 방지되고, 안착홈(150)의 물이 소모됨에 따라 잉여공간부(163)에 수용된 물이 연통홈(162)을 통해 안착홈(150)으로 유동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적당한 발열반응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용기연장부(120) 및 내측용기연장부(220)는 각각 단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121,22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용기연장부(120)의 손잡이(121,221)와 내측용기연장부(220)의 손잡이(121,221)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통로(130)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 외측용기연장부(120)로부터 내측용기연장부(220)를 상방으로 이격시킬 때, 사용자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손잡이(121,221)들을 이용하여 유입통로(130)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품 용기에서는, 내측용기(200)와 뚜껑(300)의 결합 부위 중 일 부위에 내측용기(200)와 뚜껑(300)의 결합에 의한 유로가 형성되어 내측용기(200) 내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300)은, 뚜껑끼움홈체(310)의 일 부위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으로써 내측용기(200)와 뚜껑(300)의 결합 시 내측용기(200) 내 수증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뚜껑돌출체(3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뚜껑돌출체(311)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뚜껑돌출체(311)의 형성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뚜껑끼움홈체(310)의 일 부위의 내측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으로써 뚜껑끼움홈체(310)의 일 부위의 외측면이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뚜껑돌출체(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300)과 내측용기(200)가 결합되는 경우, 뚜껑끼움홈체(310)의 일 부위의 내측면으로써 뚜껑돌출체(311)의 내측면과 내측용기끼움홈체(210)의 외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뚜껑돌출체(311)의 내측면과 내측용기끼움홈체(21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로써 보조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배출홀은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며, 음식물(식품)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어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보조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보조배출홀을 통해 본 발명의 식품 용기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 내 수증기압 증가에 의한 뚜껑(300)과 내측용기(200)의 분리 또는 뚜껑(300)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외측용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의 일부는 내측배출부(24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한 다음 내측홀(241)을 통과하여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고, 내측용기(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수증기는 음식물을 가열시킨 후 상기와 같은 보조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외측용기 110 : 외측용기리브
120 : 외측용기연장부 121 : 손잡이
122 : 수증기배출홈 123 : 외측용기끼움돌기
130 : 유입통로 131 : 주입구
140 : 결합돌기 141 : 결합돌기홀
150 : 안착홈 161 : 돌출턱
162 : 연통홈 163 : 잉여공간부
200 : 내측용기 210 : 내측용기끼움홈체
220 : 내측용기연장부 221 : 손잡이
222 : 내측용기끼움돌기 230 : 결합홈체
231 : 결합홈체돌기 240 : 내측배출부
241 : 내측홀 300 : 뚜껑
310 : 뚜껑끼움홈체 311 : 뚜껑돌출체

Claims (8)

  1.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를 수용하고, 모서리의 일 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용기연장부, 및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통로를 구비하는 외측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외측용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용기의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외측용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통로를 폐쇄시키는 내측용기연장부를 구비하는 내측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의 벽체 일 부위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외측용기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통과시켜 상기 내측용기의 내부로 수증기 일부를 배출시키는 내측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용기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상기 내측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된 홀인 내측홀을 통과하여 상기 뚜껑의 하부면을 향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배출부는, 상기 내측용기의 측벽체 일 부위가 상기 내측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배출부는, 상기 내측용기의 바닥벽체 일 부위가 상기 내측용기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홀은, 상기 내측배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측용기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외측용기의 일 부위에 끼움 결합되는 내측용기끼움홈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내측용기끼움홈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뚜껑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측용기끼움홈체에 끼움 결합되는 뚜껑끼움홈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끼움홈체의 일 부위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뚜껑의 결합 시 상기 내측용기 내 수증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뚜껑돌출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연장부는, 홈의 형상으로 상기 외측용기연장부와 상기 내측용기연장부의 결합 시 상기 외측용기 내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홀을 형성하는 수증기배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KR1020220020692A 2022-02-17 2022-02-17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KR10265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92A KR102652632B1 (ko) 2022-02-17 2022-02-17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PCT/KR2022/003458 WO2023158011A1 (ko) 2022-02-17 2022-03-11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692A KR102652632B1 (ko) 2022-02-17 2022-02-17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670A true KR20230123670A (ko) 2023-08-24
KR102652632B1 KR102652632B1 (ko) 2024-03-29

Family

ID=8757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692A KR102652632B1 (ko) 2022-02-17 2022-02-17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2632B1 (ko)
WO (1) WO202315801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00Y1 (ko) 2001-01-19 2001-07-03 (주)참맛 발열체 포장대가 구비된 일회용 식사 세트
KR200288122Y1 (ko) 2002-06-01 2002-09-09 신태호 즉석 조리용 발열 도시락
KR20090009347U (ko)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독도 발열용기
KR102079600B1 (ko) * 2019-10-29 2020-02-20 박태현 일회용 발열용기
KR102305465B1 (ko) * 2020-07-23 2021-09-30 시락푸드 주식회사 분진 제거 기능을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00781T3 (es) * 2009-07-26 2019-02-19 Forever Young Int Inc Recipientes de auto-calentamiento instantáneo
JP7026539B2 (ja) * 2018-03-12 2022-02-28 デンカ株式会社 包装容器
KR102128745B1 (ko) * 2018-11-21 2020-07-08 송기룡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200Y1 (ko) 2001-01-19 2001-07-03 (주)참맛 발열체 포장대가 구비된 일회용 식사 세트
KR200288122Y1 (ko) 2002-06-01 2002-09-09 신태호 즉석 조리용 발열 도시락
KR20090009347U (ko)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독도 발열용기
KR102079600B1 (ko) * 2019-10-29 2020-02-20 박태현 일회용 발열용기
KR102305465B1 (ko) * 2020-07-23 2021-09-30 시락푸드 주식회사 분진 제거 기능을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011A1 (ko) 2023-08-24
KR102652632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JP6108646B1 (ja) 包装用容器
UA120759C2 (uk) Коробка для сніданків
US20020117514A1 (en) Disposable storage and dispensing carafe
JP7081854B2 (ja) 包装用容器
KR102305465B1 (ko) 분진 제거 기능을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490548Y1 (ko)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조리용 용기
KR20080109153A (ko) 휴대용 식품 발열 용기
KR20230123670A (ko)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WO2016032061A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230031488A (ko) 수증기 배출 효율이 증대된 발열 식품 용기
KR102458185B1 (ko) 금속 내측 용기를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200417031Y1 (ko) 도시락
JP4429046B2 (ja) 椀添附式弁当ケース
KR20180106019A (ko)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CN210276261U (zh) 一种干湿分离的保温餐盒
CN111671299A (zh) 一种烧水壶、茶具及一次性茶具替换内衬套装
KR101667337B1 (ko) 분리 및 가열 가능한 도시락 용기 세트
JP2000060624A (ja) 保温容器
KR20110005645U (ko) 치킨 배달용 포장상자
JP3116744U (ja) 即席麺等の収納容器
CN109095007A (zh) 自加热型生鲜冷链包装盒
JP3094458U (ja) 加熱機構付き携帯食品
CN217865535U (zh) 一种包装盒、加热装置及食品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