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24B1 -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24B1
KR102662124B1 KR1020240010823A KR20240010823A KR102662124B1 KR 102662124 B1 KR102662124 B1 KR 102662124B1 KR 1020240010823 A KR1020240010823 A KR 1020240010823A KR 20240010823 A KR20240010823 A KR 20240010823A KR 102662124 B1 KR102662124 B1 KR 10266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food
plate
water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수진
김인내
Original Assignee
(주)온기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기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온기코퍼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투입되는 물 투입부를 개폐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물 투입부를 음식 수용부의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쪽에 형성하여 공간활용의 유리함은 물론 발열체 상부로 물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Recyclable food packaging containers containing a heating elements}
본 발명은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투입되는 물 투입부를 개폐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물 투입부를 음식 수용부의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쪽에 형성하여 공간활용의 유리함은 물론 발열체 상부로 물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음식물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시간 절약과 편리함을 내세워 다양한 인스턴트 식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1차 가공되어 뜨거운 물만을 부어 먹을 수 있는 면류를 비롯하여 햄버거나 피자, 1차 조리가 끝난 생선, 육류 등의 통조림류, 그리고 밥이나 김밥 등의 도시락이 있다.
상기 상품화된 인스턴트 식품은 유통기간이 비교적 길어 필요한 때나 필요한 장소에서의 이용 가능하고, 밥이나 김밥 등의 도시락은 변질성이 강해 대체로 그 당일에 이용하도록 권장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인스턴트 식품을 이용할 때에는 보다 향상된 맛을 내거나 변질에 따른 식중독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히, 겨울철 보온을 위해 재차 가열시키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그러나 야외에서 인스턴트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버너 등의 가열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이들을 취급 관리함에 있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용기 내부의 발열체를 발열시킴으로써 저장된 식품을 가열하는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들이 개발되었으며, 이의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5703호에 발열기능이 있는 음식포장용기가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다수의 음식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다수의 상기 음식 수용부가 각각 수용되는 다수의 세팅홈과, 다수의 세팅홈 중 어느 하나인 세팅홈의 저면측에 인입되어 발열체가 수용되는 발열체수용홈과, 일측에 하방으로 인입 형성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 투입홈과, 상기 물 투입홈에서 상기 발열체 수용홈으로 연장된 물 공급유로가 형성된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물투입홈은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발열용기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본체에 덮이지 않는 상기 발열용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나, 물투입홈을 폐쇄시킬 수 없어 증기의 누출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269413호에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가 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의해 상측 개구부가 덮여지며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다수개의 수용홈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발열제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가 셋팅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수용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발열영역과 비 발열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발열용기와, 상기 발열용기와 용기본체에 제공되어 이들 용기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부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덮개파트들이 형성되고, 상기 발열영역과 비 발열영역은 격벽에 의해 각각 독립된 구역을 형성하며,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부들의 외측면과 상기 발열용기의 발열영역의 내측면 사이에는 열수증기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 구실을 할 수 있도록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발열용기의 발열영역과 비 발열영역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부들에 각각 제공되는 구성이나, 증기의 누출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 및 증기의 누출로 인해 음식물을 빠른 시간내에 데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69413호 등록특허공보 제10-227888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6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6981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25664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투입되는 물 투입부를 개폐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물 투입부를 음식 수용부의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쪽에 형성하여 공간활용의 유리함과 발열체 상부로의 물공급이 원활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음식물에 빠르고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기 다른 4개의 그릇을 플레이트에 안착시킨 후, 하나의 플레이트 뚜껑으로 밀폐시키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는 발열체가 내장된 하부 트레이와, 음식물을 수용하면서 하부 트레이에 장착되는 음식 수용부와, 상기 음식 수용부를 보호하도록 하부 트레이에 안착되는 상부 트레이와, 수저와 반찬을 각각 수용하는 동시에 함께 위아래로 적층 결합되면서 하부 트레이에 장착되는 수저 케이스 및 반찬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와, 트레이 몸체 내부에 요입되고 발열체가 배치되는 발열 보온구역과, 트레이 몸체 내부에 요입되고 발열체가 배치되지 않는 비발열 보온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 수용부는 발열 보온구역 및 비발열 보온구역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음식물이 담겨지고 각 설치공에 장착되는 다수 개의 음식물 수용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플레이트와 덮개 사이에서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면부를 덮어주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각 음식물 수용부재에 대응되는 기밀용 링부가 형성되어 각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면부 내측 가장자리에 수용되면서 밀폐시켜주는 기밀유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방 각 변에 배치되고 플레이트와 덮개를 고정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내부와 관통되는 물 투입부 및 상기 물 투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서 반찬용기를 덮고 있는 수저 케이스의 저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 리브가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수저 케이스를 반찬용기에서 분리하여 식탁 바닥에 놓았을 때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이 식탁 바닥에 닿지 않고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에묻어 있는 반찬이 식탁 바닥에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는 플레이트의 각 변에서 상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가 덮개의 상면에 걸림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는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어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음식물 수용부재가 있는 쪽으로 유도하는 증기 안내홈과, 발열체와 물 간의 반응에 의한 증기에 의해 발생하는 음식물 수용부재의 내부 압력을 밖으로 배출하는 압력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의 물 투입부는 공급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안내부재는 물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 투입부로 공급되는 물을 발열체의 측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투입부를 통해 발열체로 물이 급격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급안내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발열체의 측부로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물이 투입되는 물 투입부를 개폐하여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음으로 발열체와 물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로 음식물을 빠르게 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물 투입부를 음식 수용부의 플레이트 상면 중앙부쪽에 형성하여 공간활용의 유리함과 발열체 상부로의 물공급이 원활하며,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사방으로 확산되어 음식물에 빠르고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각기 다른 4개의 그릇을 플레이트에 안착시킨 후, 하나의 플레이트 뚜껑으로 4개의 그릇을 밀폐시키므로 구조를 간소화함은 물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관리 및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기존 음식이 담긴 용기는 일회용이 대다수이고 재활용 용기로서의 보온용기는 있었으나 본 발명은 최초 발열용기로서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서 음식 수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서 덮개와 음식물 수용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서 음식 수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에서 덮개와 음식물 수용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는 하부 트레이(110), 음식 수용부(120), 상부 트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110)는 음식 수용부(120)를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하부 트레이(110)는 트레이 몸체(111), 발열 보온구역(112), 비발열 보온구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111)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발포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 몸체(111)는 보온을 위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몸체(11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열 보온구역(112)은 트레이 몸체(111) 내부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 보온구역(112)은 발열체(140)가 배치되는 구역으로서, 밥 그릇(122a)과 국 그릇(122b)이 배치되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보온구역(112)은 밥 그릇(122a)과 국 그릇(122b) 및 제1반찬그릇(122c)이 배치되는 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140)는 50∼350g의 생석회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NaOH 무수물 3∼15 중량% , 알카리금속 산화물 3∼15 중량% , 알루미늄 금속분말 3∼15 중량% , 산성염 3∼15 중량% 로 이루어진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Li2O, Na2O, Na2O2, K2O 및 K2O2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금속분말은 알루미늄을 용광로에서 녹일 때 발생하는 거품을 포집하고, 이를 급냉시킨 후에 분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알루미늄의 드로스(dross)를 포집함으로써 순수한 알루미늄을 얻어 발열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110)는 유동방지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방지부재(113)는 발열 보온구역(112)에 위치하도록 트레이 몸체(111)의 상면에 요입될 수 있다.
즉, 유동방지부재(113)가 트레이 몸체(111)의 상면에 요입되어 발열체(140)를 수용함으로써 발열체(14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113)는 트레이 몸체(111)의 상면에 돌출되어 발열체(140)의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발열체(140)의 변에 밀착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트레이(110)는 비발열 보온구역(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발열 보온구역(114)은 발열체(140)가 배치되지 않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비발열 보온구역(114)은 보온을 요하지 않는 제2반찬그릇(122d)이 배치되는 구역을 말할 수 있다.
상기 비발열 보온구역(114)은 발열 보온구역(112)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트레이 몸체(111) 내부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110)는 설치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홈(115)은 트레이 몸체(111)의 일측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115)에 별도의 반찬용기(116)가 배치되거나 숫가락 및 젓가락이 수용된 수저 케이스(117)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반찬용기(116)를 덮고 있는 수저 케이스(117), 즉 상기 반찬용기(116)의 상부에 이와 꼭 맞게 적층 결합되는 수저 케이스(117)의 저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 리브(152)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돌출형 리브(152)는 수저 케이스(117)의 바닥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저 케이스(117)를 반찬용기(116)에서 분리한 후, 수저 케이스(117)를 식탁 바닥에 놓았을 때 수저 케이스(117)의 돌출형 리브(152)가 식탁 바닥에 놓여지게 되고, 결국 수저 케이스(117)의 바닥면, 즉 돌출형 리브(152)의 하단보다 좀더 위쪽으로 들어와 있는 바닥면이 식탁 바닥에 닿지 않고 떨어지게 됨으로써, 수저 케이스(117)의 바닥면에 묻어 있는 반찬이 식탁 바닥에 묻지 않게 되는 등 식탁 바닥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저 케이스(117)와 반찬용기(116)는 상하 적층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형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찬용기(116)는 그 수용공간을 다수 분할하여 더 다양한 반찬을 담을 수도 있고, 수저 케이스(117)는 측면 벽체부를 일구간 낮게 형성하여 식사 시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숫가락이나 젓가락을 거치하여 얹혀 놓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사 시 위생 및 청결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홈에 요구르트와 같은 디저트 음식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음식 수용부(120)는 음식물을 수용하여 하부 트레이(1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식 수용부(120)는 플레이트(121), 음식물 수용부재(122), 덮개(123),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1)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영역에 음식 수용부(120)의 그릇들을 관통시키면서 걸쳐놓을 수 있는 설치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은 발열 보온구역(112) 또는 발열 보온구역(112) 및 비발열 보온구역(114)과 대응되도록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 보온구역(112)과 대응되도록 관통된 설치공은 밥 그릇 설치공(121a), 국 그릇 설치공(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열 보온구역(112)과 대응되도록 관통된 설치공은 밥 그릇 설치공(121a), 국 그릇 설치공(121b) 및 제1 반찬그릇 설치공(12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발열 보온구역(114)과 대응되도록 관통된 설치공은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 및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을 포함하거나, 비발열 보온구역(114)과 대응되도록 관통된 설치공은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 그릇 설치공(121a), 국 그릇 설치공(121b),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밥 그릇 설치공(121a) 및 국 그릇 설치공(121b)과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 및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은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그릇 설치공(121a)과 국 그릇 설치공(121b)은 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과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은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밥 그릇 설치공(121a)과 국 그릇 설치공(121b) 중 어느 하나의 설치공은 다른 하나의 설치공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고,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과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 중 어느 하나의 설치공은 다른 하나의 설치공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설치공의 가장자리 상하부에는 안내 리브(153)가 돌출 형성되어 그릇의 장착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21)는 날개 형태의 잠금부재(121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금부재(121e)는 플레이트(121)의 각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121e)는 플레이트(121)의 각 변에서 상향으로 회전하여 덮개(123)의 상면에 걸림 장착되면서 플레이트(121)와 덮개(123)를 잠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121e)의 걸림 단부가 덮개(123)의 역방향 즉, 상면쪽에 위치함으로써 플레이트(121)를 하부 트레이(110)의 트레이 몸체(111)에 용이하게 안착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음식 수용부(120)는 조립 시 하부 트레이(110)의 상부 내측 공간부에 끼움 얹혀지게 조립되게 되는데, 이때 잠금부재(121e)는 음식 수용부(120)의 내측 벽체와 거의 맞닿을 정도의 협소 공간만을 남기며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121e)를 기존과 같이 상부 덮개(123)쪽에 형성하게 되면 잠금부재(121e)의 걸림부가 협소한 공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날개를 측방향으로 펼쳐 잠금을 해제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121e)를 덮개(123)가 아닌 아래쪽의 플레이트(121)의 측면부에 형성하여, 역방향으로 잠금부재(121e)를 협소한 공간부 내 상측에서 최소한의 각도만으로 회동되면서 걸림이 해제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1)는 물 투입부(121f)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 투입부(121f)는 발열체(140)의 위쪽을 덮고 있는 플레이트(121)의 두께를 관통된 홀일 수 있다.
즉, 물 투입부(121f)가 플레이트(121)의 두께를 관통하여 그 아래쪽과 통하게 됨으로써 발열체(140)로 공급되는 물을 안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물 투입부(121f)는 공급안내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급안내부재는 물 투입부(121f)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 투입부(121f)로 공급되는 물을 발열체(140)의 측부로 신속하게 안내할 수 있다.
즉, 물 투입부(121f)로 통해 발열체(140)로 물이 급격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공급안내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발열체(140)의 측부로 스며들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공급안내부재는 플레이트(121)를 받쳐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때의 공급안내부재는 내부가 관통된 스프링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물 투입부(121f)는 개폐부재(121g)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부재(121g)는 물 투입부(121f)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21g)는 물 투입부(121f)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물 투입부(121f)를 개폐시킬 수 있다.
즉, 개폐부재(121g)가 이동하여 물 투입부(121f)를 개방하고, 개방된 물 투입부(121f)로 물을 공급한 후, 개폐부재(121g)를 이동시켜 물 투입부(121f)를 폐쇄하면 발열체(140)가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가 누수되지 않음으로 밥 그릇(122a)과 국 그릇(122b) 또는 밥 그릇(122a)과 국 그릇(122b) 및 제1반찬그릇(122c)을 가열하여 각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빠르게 데울 수 있다.
또한, 발열체(140)가 물과 반응함으로써 비산되는 발열체(140)의 입자는 트레이 몸체(111)와 플레이트(121) 사이에 위치하므로 발열체(140)의 입자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21g)는 손잡이(15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손잡이(154)는 개폐부재(121g)의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54)에 의해 개폐부재(121g)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물 투입부(121f)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1)는 증기 안내홈(121h)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증기 안내홈(121h)은 플레이트(121) 하면에 배치되어 발열체(140)가 물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양편의 리브 사이에 조성된 증기 안내홈(121h)을 통해 국 그릇(122b)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21)의 저면으로 상승하는 증기는 증기 안내홈(121h)을 통해 국 그릇(122b)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국 그릇(122)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국 그릇 설치공(121b)의 아래쪽 안내 리브(153)에는 리브 일부를 반원 모양을 떼어낸 형태의 오픈부(156)가 형성되고, 이때의 오픈부(156)로 인해 증기 안내홈(121h)을 따라 이동하는 열기의 반응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오픈부(156)는 소정의 크기, 예를 들면 증기 안내홈(121h)의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면서 증기 안내홈(121h)과 그대로 연통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발열체(140)측에서 발생한 증기가 다른 곳에 우선하여 증기 안내홈(121h)과 오픈부(156)를 통해 국 그릇 설치공(121b)에 장착되어 있는 국 그릇(122)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밥 그릇(121)보다 큰 국 그릇(122)을 빠르게 데움으로써 밥 그릇(121)과 데우는 시간을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식물 수용부재(122)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그릇일 수 있다.
이러한 그릇은 밥이 담겨져 밥 그릇 설치공(121a)에 장착되는 밥 그릇(122a), 국이 담겨져 국 그릇 설치공(121b)에 장착되는 국 그릇(122b), 반찬이 담겨져 제1반찬그릇 설치공(121c) 및 제2반찬그릇 설치공(121d)에 장착되는 제1반찬그릇(122c) 및 제2 반찬그릇(122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릇들은 열전도율이 높은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그릇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열체(140)와 물 간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가 그릇에 담겨진 음식물을 빠르게 데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그릇은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단턱은 그릇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릇이 설치공에 장착될 때, 설치공 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수용부재(122)는 트레이 몸체(111)의 설치홈에 장착되는 별도의 반찬그릇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123)는 플레이트(121) 상면에 안착되면서 음식물 수용부재(122)의 상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상기 덮개(123)는 가압용 리브(123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가압용 리브(123a)는 덮개(123)의 저면에 음식물 수용부재(122)의 상단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123)를 닫게 되면 덮개(123)의 저면에 있는 가압용 리브(123a)가 음식물 수용부재(122)의 상부를 덮고 있는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의 상면부, 즉 기밀용 링부(150)의 가장자리 위치에 해당하는 상면부를 눌러줌으로써,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에 의해 음식물 수용부재(122)가 좀더 견고하게 실링될 수 있다.
상기 덮개(123)는 압력 배출부(123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 배출부(123b)는 발열체(140)와 물과의 반응에 의한 증기에 의해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높아지는 압력에 따라 개방되면서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 배출부(123b)는 배출구멍(123c), 구멍개폐부재(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멍(123c)은 음식물 수용부재(122)와 대응되는 부분의 덮개(123)에 관통된 구멍일 수 있다.
상기 구멍개폐부재(123d)는 덮개(123)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배출구멍(123c)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멍개폐부재(123d)는 연질의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발열체(140)와 물과의 반응에 의한 증기에 의해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높아진 압력에 의해 구멍개폐부재(123d)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멍(123c)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출구멍(123c)으로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열기가 배출됨으로써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고, 음식물 수용부재(12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구멍개폐부재(123d)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멍(123c)을 폐쇄시킬 수 있고, 이의 과정은 음식물 수용부재(122)에 담겨진 음식물을 데우는 과정에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30)는 하부 트레이(110)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 트레이(130)는 음식 수용부(12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트레이(130)는 EPP(Expanded Polypropylene;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온을 위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30)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결합홈은 상부 트레이(130)의 가장자리 저면에 요입되어 하부 트레이(110)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릇에 담겨 있는 음식물이 그릇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를 제공한다.
상기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는 플레이트(121)와 덮개(123) 사이에 내장되어 음식물 수용부재(122)의 상면부를 덮어서 밀폐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덮개(123)나 플레이트(121)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예컨대, 덮개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덮개나 플레이트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기밀용 링부(150)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기밀용 링부(150)는 플레이트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그릇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꼭 맞게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기밀용 링부(150)는 각각의 음식물 수용부재(122), 즉 각각의 그릇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각의 그릇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의 일측에는 물 투입부(121f)에 상응하는 위치에 홀(15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홀(155)을 통해 물 투입부(121f)와 개폐부재(121g)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물 투입 시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를 걷어내지 않고서도 물 투입부(121f)를 통해 물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는 각각의 그릇을 개별적으로 덮는 방식이 아닌 4개의 그릇을 동시에 덮을 수 있는 하나의 밀폐 패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21)의 설치공에 그릇들을 장착한 다음, 그 위에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를 덮게 되면, 이때의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에 있는 각 기밀용 링부(150)가 그릇들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 내측에 꼭맞게 끼워지면서 씌워지게 되고, 계속해서 잠금부재(121e)의 체결을 통해 플레이트(121)와 덮개(123)를 잠금 고정하게 되면, 이때의 고정력에 의해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가 덮개(123)의 저면과 그릇의 상부 사이에 꽉 끼이면서 그릇을 밀폐시켜주게 되므로서, 음식물을 담고 있는 그릇은 완벽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운반 시의 흔들림이나 충격 등이 전해지는 경우에도 그릇에서 음식물이 새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기밀유지용 플레이트(151)를 이용하여 그릇을 밀폐시켜줌으로써 그릇의 완벽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과 같이 그릇에 음식물을 담은 후에 비닐랩 등으로 덮거나 포장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또 포장기계를 사용하여 필름을 열압착하여 포장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또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하부 트레이
111: 트레이 몸체
112: 발열 보온구역
113: 유동방지부재
114: 비발열 보온구역
115 : 설치홈
116 : 반찬용기
117 : 수저 케이스
120: 음식 수용부
121: 플레이트
121a: 밥 그릇 설치공
121b: 국 그릇 설치공
121c: 제1 반찬그릇 설치공
121d: 제2 반찬그릇 설치공
121e: 잠금부재
121f: 물 투입부
121g: 개폐부재
121h : 증기 안내홈
122: 음식물 수용부재
122a: 밥 그릇
122b: 국 그릇
122c: 제1반찬그릇
122d: 제2반찬그릇
123: 덮개
123a: 가압용 리브
123b: 압력 배출부
123c: 배출구멍
123d: 구멍개폐부재
130: 상부 트레이
140: 발열체
150 : 기밀용 링부
151 : 기밀유지용 플레이트
152 : 돌출형 리브
153 : 안내 리브
154 : 손잡이
155 : 홀
156 : 오픈부

Claims (6)

  1. 발열체가 내장된 하부 트레이와, 음식물을 수용하면서 하부 트레이에 장착되는 음식 수용부와, 상기 음식 수용부를 보호하도록 하부 트레이에 안착되는 상부 트레이와, 수저와 반찬을 각각 수용하는 동시에 함께 위아래로 적층 결합되면서 하부 트레이에 장착되는 수저 케이스 및 반찬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트레이는 트레이 몸체와, 트레이 몸체 내부에 요입되고 발열체가 배치되는 발열 보온구역과, 트레이 몸체 내부에 요입되고 발열체가 배치되지 않는 비발열 보온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식 수용부는 발열 보온구역 및 비발열 보온구역과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와, 음식물이 담겨지고 각 설치공에 장착되는 다수 개의 음식물 수용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단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상기 플레이트와 덮개 사이에서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면부를 덮어주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각 음식물 수용부재에 대응되는 기밀용 링부가 형성되어 각 음식물 수용부재의 상면부 내측 가장자리에 수용되면서 밀폐시켜주는 기밀유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사방 각 변에 배치되고 플레이트와 덮개를 고정하는 잠금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내부와 관통되는 물 투입부 및 상기 물 투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찬용기를 덮고 있는 수저 케이스의 저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 리브가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수저 케이스를 반찬용기에서 분리하여 식탁 바닥에 놓았을 때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이 식탁 바닥에 닿지 않고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저 케이스의 바닥면에묻어 있는 반찬이 식탁 바닥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플레이트의 각 변에서 상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부가 덮개의 상면에 걸림 장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되어 발열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음식물 수용부재가 있는 쪽으로 유도하는 증기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와 물 간의 반응에 의한 증기에 의해 발생하는 음식물 수용부재의 내부 압력을 밖으로 배출하는 압력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투입부는 공급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안내부재는 물 투입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 투입부로 공급되는 물을 발열체의 측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투입부를 통해 발열체로 물이 급격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공급안내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발열체의 측부로 스며들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KR1020240010823A 2023-01-31 2024-01-24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KR102662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616 2023-01-31
KR20230012616 2023-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124B1 true KR102662124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823A KR102662124B1 (ko) 2023-01-31 2024-01-24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818A (ja) 1999-12-15 2001-06-26 Koka Kofun Yugenkoshi 加熱装置付き弁当箱
JP2005219786A (ja) * 2004-02-06 2005-08-18 Fureggu Shokuhin Kogyo Kk 弁当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穴開きトレイ
KR20120008697U (ko)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예림푸드 스티로폼 위생보온 도시락
KR101825664B1 (ko) 2017-01-31 2018-02-05 주식회사 엘앤씨에프앤씨 기능성 도시락 용기
KR20180003154U (ko) * 2017-04-27 2018-11-06 윤형민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KR102269413B1 (ko) 2018-10-17 2021-06-25 권수진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KR102278888B1 (ko) 2020-03-20 2021-07-19 한병기 기밀성이 유지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도시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818A (ja) 1999-12-15 2001-06-26 Koka Kofun Yugenkoshi 加熱装置付き弁当箱
JP2005219786A (ja) * 2004-02-06 2005-08-18 Fureggu Shokuhin Kogyo Kk 弁当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穴開きトレイ
KR20120008697U (ko) 2011-06-09 2012-12-20 주식회사 예림푸드 스티로폼 위생보온 도시락
KR101825664B1 (ko) 2017-01-31 2018-02-05 주식회사 엘앤씨에프앤씨 기능성 도시락 용기
KR20180003154U (ko) * 2017-04-27 2018-11-06 윤형민 가변형 공간 구조를 갖는 보온 식판
KR102269413B1 (ko) 2018-10-17 2021-06-25 권수진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KR102278888B1 (ko) 2020-03-20 2021-07-19 한병기 기밀성이 유지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도시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924B2 (en) Multiple-compartment insulated food tray
US20090095757A1 (en) Container with thermal storage member
US20040058038A1 (en) Lunch box capable of blastfrozen preservation
KR102269413B1 (ko)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US20030226882A1 (en) Corrugated paperboard dishware and cookware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US11910893B2 (en) Portable insulated food container
KR102662124B1 (ko) 발열체를 포함하는 재활용 음식포장용기
WO2019091427A1 (zh) 保温碗
KR102305465B1 (ko) 분진 제거 기능을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US20030052117A1 (en) Food warmer and preserver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KR102278888B1 (ko) 기밀성이 유지되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도시락
KR200485389Y1 (ko) 이동이 용이한 위생 안전 배식대
KR102458185B1 (ko) 금속 내측 용기를 구비한 발열 식품 용기
KR102652632B1 (ko) 내측용기 내부로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발열 식품 용기
KR200178479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190137365A (ko)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CN215099450U (zh) 双层保温箱
JP2002360327A (ja) 弁当箱
JP2005162289A (ja) 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148845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구조
KR20230031488A (ko) 수증기 배출 효율이 증대된 발열 식품 용기
JP2004135870A (ja) 飲食物の保温保冷用カバー
KR20150003274U (ko) 냉장 식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