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725Y1 -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725Y1
KR200254725Y1 KR2020010025155U KR20010025155U KR200254725Y1 KR 200254725 Y1 KR200254725 Y1 KR 200254725Y1 KR 2020010025155 U KR2020010025155 U KR 2020010025155U KR 20010025155 U KR20010025155 U KR 20010025155U KR 200254725 Y1 KR200254725 Y1 KR 200254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circuit
output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부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부전자
Priority to KR2020010025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7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725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의 경보신호 회로가 독자적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신호를 통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용이하고, 확장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시스템 감시에 적합한 집합경보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상발생신호(ABNORMAL SIGNAL)의 입력부터 경보 출력까지 자체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경보수단과,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출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각 경보회로의 점멸신호의 출력과 동기화 시키고, 입력되는 복수의 이상발생신호 입력을 감지하는 공통 제어수단과,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공통 출력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집합신호 해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GROUP SIGNAL ANNUNCIATOR}
본 고안은 각종 경보센서로부터 운전중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신호를 접점을 통해서 받아 종합적인 경보신호를 증폭 출력하는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GROUP SIGNAL ANNUNCIATO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경보회로를 사용시 개개의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하나의 경보회로내 결함 발생시 다른 회로의 경보동작에 지장을 초래하여 전체 경보 시스템이 동작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확장된 기능을 전체 경보 시스템의 신호를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집합경보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보신호 처리회로는 여러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가 있는 것으로 도난방지시스템, 위험감지 시스템, 공장 제어시스템의 이상감지장치, 선박 등과 같은 대형기기의 전원, 수위, 기타 밸브 등의 이상감지장치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신호 처리회로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상 발생시 그 해당부위의 이상여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감시체제에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와 같은 경보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모니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신호를 감지하도록 하여 시스템내에 신호 입력을 처리하는 다수의 입력부가 중앙의 제어부에이상발생신호(ABNORMAL SIGNAL)를 감지했음을 알리면, 중앙처리장치 (CPU)가 모든 경보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기에 입력된 이상발생신호가 모두 중앙에서 처리되고 여기로부터 외부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의 모든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내부의 중앙처리장치 (CPU) 또는 경보회로의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경보회로도 정상 동작을 할 수 없게 됨으로 인하여 전체 경보시스템이 마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그 설치에 있어서 상당한 기술과 비용이 필요하고,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의 판독과 조작이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기 때문에 운영상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한편,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시스템들이 대개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기의 성능을 확장시키기가 곤란하고, 많은 개소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집합 경보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라 확장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의 경보신호 회로가 독자적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신호를 통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집합경보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하기가 용이하고, 확장성이 우수하여 다수의 시스템 감시에 적합한 집합경보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입력측과 출력측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하여 이상발생시 다른 경보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동작함과 동시에 관리에 용이한 집합경보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상발생신호(ABNORMAL SIGNAL)의 입력부터 경보 출력까지 자체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경보수단과,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출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각 경보회로의 점멸신호의 출력을 동기화 시키고, 입력되는 복수의 이상발생신호 입력을 감지하는 공통 제어수단과,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공통 출력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집합신호 해제수단으로 구성하게 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은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보회로마다 각기 별개의 개별처리부를 구성하여 경보출력 기능이 중앙의 제어가 없이 신호가 유입된 이상발생신호 입력부(경보회로)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공통제어수단을 공통처리장치 (CPU)로 구성하여 각 경보회로의 점멸출력과 동기와 시키고 제어하도록 하고, 별도의 부져 및 제 2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 구성시키고 있다.
또한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시 상기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반드시 부져스톱스위치를 구동하고, 램프점멸 스위치로 점멸를 정지시킨후 리셋트스위치로 각 경보수단의 개별처리장치를 공통으로 리셋트하는 순서로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과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내부의 개별 및 공통 처리장치 (CPU, CPUn)와 이상발생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사이에 포토카플러의 사용을 통해 절연을 시켜 비정상적 전압 및 전류로 인한 개별 및 공통 처리장치 (CPU, CPUn)의 오동작과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 그램도,
도 2는 본 고안의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의 실시회로도,
도 3는 본 고안의 집합경보 전달장치의 구동관계를 나타낸 타임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1 : 제 1경보회로 2, 2-2 : 제 2경보회로
n,n-1 : 제 n경보회로 10, 100 : 공통 제어회로
11, 12, 13 : 센서부 15, 150 : 집합신호 해제부
16 : 파워램프 17 : 감시용 점멸램프
18 : 부져 출력단자 19 : 제 2 경보신호 출력단자
LP1, LP2, LPn : 알람표시램프 SSR1, SSR2, SSRn : 외부 릴레이 출력
LAMP1, LAMP2, LAMPn : 외부 램프출력
PC1, PC2, PCn,.... : 포토카플러
ST1 : 제 1시스템 ST2 : 제 2시스템
STn : 제 n 시스템 ST10, 상위시스템
CPU : 공통처리부 CPU1, CPU2, CPUn : 개별경보처리부
S1 : 부져스톱 스위치 S2 : 점멸 정지 스위치
S3 : 리셋트 스위치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접점을 통해 입력된 이상발생신호를 중앙에서 일괄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각각의 개별처리부를 통해 제어되는 다수의 경보회로를 두어 이들 회로에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는 즉시 자체적으로 경보를 발하게 함으로써 한 회로에 손상이 발생하여도 여타회로의 경보동작에는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경보회로 상호간의 독립성을 확보하였으며, 동시에 별도의 공통처리부를 갖는 공통제어부를 구성하여 좀더 확장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하였고 , 이때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된 경보회로들은 모두 동기화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의 동작은 경보회로마다 각각의 개별처리부 (CPUn)를 사용하여 디지탈화 됨으로써 기존의 구성에 비해 보다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개별처리부의 동작 역시 접점을 통해 유입되는 이상발생신호의 전압 전류의 변동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상신호 입력부와 개별처리부 사이에 절연을 시켜 주위 환경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과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도이다.
각각의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는 전단의 시스템에서 제어회로의 이상발생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즉, 이상발생신호가 인가되면 그 해당부위에 해당하는 제 1 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게 되어 이상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이 제1경보회로(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공통된 출력은 일측으로 공통 제어회로 (10)내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 공통 제어회로 (10)에서 별도의 CPU처리로 공통적으로 시스템 (ST1)의 전체적인 이상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경보회로(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공통출력의 타측으로는 집합신호 해제부 (15)가 구성되어 상기 부져, 점멸 ,리셋트신호를 공통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확장성이 용이한 것으로 다수개의 시스템 (ST2),(STn)을 사용하는 경우에 각각의 공통 제어회로내의 공통처리부에서 제 2 경보신호들이 출력되어 상위의 개별 경보회로 (1-1, 2-1, n-1)에 인가되고, 해제시에는 상위의 집합신호 해제부 (150)에서 해제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다수개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와 같이 상위 출력을 보내어 확장이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의 실시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1경보회로 (1)는 내부에 포토카플러 (PC1)와, 그 포토카플러 신호를 받아 인식하는 개별처리부 (CPU1)로 구성되고, 이 개별처리부 (CPU1)에는 자체 알람표시램프 (LP1)가 연결되며, 각각 외부 릴레이 구동 출력 (SSR1) 및 외부 램프 출력(LAMP1)을 가지고 있다.
나머지 제 2경보회로 (2) 및 제 n 경보회로 (n)는 상기 제 1경보회로 (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전단에 연결되는 센서부 (11),(12),(13)들도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 (11)는 후단의 제 1경보회로 (1)에 이상신호를 공급하는 하는 것으로 이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 (시스템)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각종 경보 시스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상태, 유압상태, 수위, 밸브 등을 감지할 수가 있는 것으로 접점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상접점('A' 또는 'B')에서 비정상 접점 ('B' 또는 'A')으로 전환되게 되며, 이 접점에 제 1경보회로 (1)의 포토카플러 (PC1)가 연결되어 이상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화재, 도난 등을 감지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릴레이 접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상접점('A' 또는 'B')에서 비정상접점('B' 또는 'A')으로 전환될 때 그 릴레이 접점에 연결되어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기타 전자제어 장치를 감시하는 경우의 릴레이 대신에 전자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자센서의 출력에 포토카플러 (PC1)가 직접 연결되어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출력단은 각각의 개별처리부 (CPU1),(CPU2),(CPUn)의 출력측 버스를 공통으로 사용하여일측으로 공통 제어회로 (10)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집합신호 해제부 (15)가 연결되어 있다.
공통 제어회로 (10)는 공통처리부 (CPU)로 구성되고,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신호를 받아 이상여부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그 출력단자에는 파워램프 (16), 감시용 점멸표시램프 (17), 부져출력단자 (18)가 연결되어 있고, 부져출력단자 (18)를 통하여 외부로 도시하지 아니한 부져가 연결된다.
또한 공통처리부 (CPU)의 출력단자로 제 2경보신호 출력단자 (19)를 가지고 있어 다수개의 경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상위의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로 경보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참조).
상기 집합신호 해제부 (15)는 각각의 포토카플러 (PC11),(PC12), (PC13)를 통하여 각각의 부져스톱스위치 (S1), 점멸정지스위치 (S2), 리세트스위치 (S3)이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예를 들어 선박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전단에는 센서부 (11),(12),(13)의 접점단자 (A 또는 B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단자 (A 또는 B 접점)에는 전원 이상여부, 유압, 수위, 밸브등에 이상이 생기면 접점신호에 의하여 접속되는 접점단자 (A 또는 B 접점)에 경보회로 (1)의 포토카플러 (PC1)가 연결되어 있다. 이 이상개소의 여부가 디지털신호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감지센서의 출력이 직접 포토카플러 (PC1)에 인가되게 된다.
상기 포토카플러 (PC1)의 출력은 개별처리부 (CPU1)에 인가되어 이상발생신호가 입력시 제 1경보회로 (1)의 개별처리부 (CPU1)는 자체 알람램프 (LP1)를 점멸시키는 동시에 외부출력단자 (SSR1)로 외부 릴레이 구동 출력을 보내고, 외부출력단자 (LAMP1)로 외부램프 출력을 보낼 수 있다.
이 기능은 옵션으로 외부에 별도의 스피커나 폰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외부출력단자(SSR1)에 릴레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외부출력단자(LAMP1)에는 별도의 램프가 필요한 경우 연결시킬 수 있다.
나머지 상기 제 2경보회로 (2) 및 제 n경보회로 (n)는 상기 제 1경보회로 (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선박내의 시스템에서 제 1경보회로 (1)가 전원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경우에 제 2경보회로 (2)는 유압이상여부, 제 n경보회로 (n)는 밸브의 이상여부 등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는 개별적인 구성 및 독자적인 개별처리부를 각각 구성하고 있어 다른 경보회로가 고장인 경우에도 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출력은 공통적으로 공통 제어회로 (10)에 인가되는 것으로 공통 제어회로 (10)의 공통처리부 (CPU)에 인가되어 전체적으로 이상발생신호의 입력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하게 한다.
즉,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중에 어느 하나의 경보회로에서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더라도 공통 제어회로 (10)의 공통처리부 (CPU)에서 이를 인식하여 부져출력단자 (17)로 출력하는 신호는 경보음을 단속적으로 발생시키며, 점멸표시단자 (18)에 연결된 램프를 점멸시켜 이상경보신호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점멸표시램프 (LP1)과 (LAMP1), (LP2)와 (LAMP2), (LPn)과 (LAMPn)중 이상신호가 유입된 회로 LAMP출력의 점멸신호를 동기화 시키며 감시용 점멸램프 (17)는 점멸한다.
전원표시단자에 연결된 파워램프 (16)는 공통처리부 (CPU)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감시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이상 발생시 공통 감시회로 (10)의 부져출력단자 (18)를 통하여 출력되는 경보음에 의하여 현재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되고, 세부적인 개소는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알람표시램프 (LP1)과 (LAMP1), (LP2)와 (LAMP2), (LPn)과 (LAMPn)의 점멸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 및 공통 감시회로 (10)는 하나의 감시시스템 회로내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들은 카드들로 구성되므로 감시 개소가 증가할 때마다 확장 할 수 있고, 메인감시 체재인 공통 감시회로 (10)로서 전체 시스템의 이상여부를 감지하고, 이 감지수단인 램프의 점멸과, 부져는 외부에 장착되어 있어 감시가 용이한 장소에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제어회로 (10)의 공통처리부 (CPU)는 별도의 제2경보신호 출력단자 (19)를 가지고 있어 감시시스템의 개소가 확장되는 경우에 도 2의 회로가 하나의 이상접점신호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하여 상위의 경보회로에 출력을 보낼 수 있게 하여 확장성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상개소를 발견하고, 경보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집합신호 해제회로 (15)에서 전체적인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
즉, 경보발생시 소란한 경보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부져스톱 스위치 (S1)를 누르면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출력은 포토카플러 (PC11)를 통하여 접지되므로 공통 제어회로 (10)에 인가되는 데이터 버스의 신호를 차단하여 부져가 중지하게되고, 부져 중지후 점멸스톱스위치 (S2)를 누르면 포토카플러 (PC12)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게 되므로 공통처리부 (CPU)의 점멸표시용 점멸램프 (17)과, 알람표시램프 (LP1)과 (LAMP1) ,(LP2)와 (LAMP2), (LPn)과 (LAMPn)중 이상신호가 입력되어 (17)에 동기화되어 점멸하던 알람표시램프가 점멸을 멈추게 된다. 이때에 이 점멸스톱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시스템의 어느개소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이후 점멸을 멈추고 점등 상태가 지속되는 알람표시램프를 (LP1)과 (LAMP1), (LP2)와 (LAMP2), (LPn)과 (LAMPn)중에서 인지함으로써 확인하게 된다.
그후 리셋트스위치 (S3)를 눌러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내의 개별처리부 (CPU1),(CPU2),(CPUn)들을 공통으로 리셋트 시키게 되나, 사전에 센서부 (11),(12),(13)의 이상발생 접점단자 (A 또는 B 접점)에서 이상여부를 해소시키지 아니하는 한 계속적으로 외부 릴레이출력 (SSR1, SSR2,SSRn) 및 외부 램프출력 (LAMP1, LAMP2, LAMPn)을 발생시키므로 관리자에게 경보시스템을 완전복구시킬 것을 시각적으로 지시하게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경보수단은 이상발생신호(ABNORMAL SIGNAL)의 입력부터 경보 출력까지 자체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로 구성되며, 공통 제어수단은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출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각 경보회로의 점멸신호의 출력을 동기화시키고, 입력되는 복수의 이상발생신호 입력을 감지하는 공통 제어회로 (10)로 구성된다.
또한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공통 출력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집합신호 해제부 (1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은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보회로마다 각기 별개의 개별처리부를 구성하여 경보출력 기능이 중앙의 제어가 없이 신호가 유입된 이상발생신호 입력부(경보회로)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과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내부의 개별 및 공통장치 (CPUn, CPU)와 이상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사이에 포토카플러의 사용을 통해 절연을 시켜 비정상적 전압 및 전류로 인한 개별 및 공통처리장치 (CPUn,CPU)의 오동작과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경보의 해제는 먼저 경보회로에 최초로 입력된 'A' 또는 'B' 접점의 이상발생신호를 해제시켜야 되며, 다음으로 부져스톱, 점멸정지, 리셋트 되는 3단계 외부 신호를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경보시스템을 완전 복구하도록 하고 있어 관리자가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하고, 관리상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특히 경보가 발생된 후 경보해제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져 스톱스위치 (S1)를 최초로 입력: 폰등 강력한 부져의 사용시 관리자 또는 적용처에 강력한 청각음으로 경보를 알리고, 이를 다른 경보신호보다 우선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여 소음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2) 점멸정지스위치 (S2)를 그후 입력 : 부져 정지후 경보에서 입력된 알람표시램프 (LP1, LAMP1, LP2, LAMP2, LPn, LAMPn)가 공통 제어회로 (10)의 점멸램프 (17)에 동기화되어 점멸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한다.
점멸정지신호 입력후 깜빡이던 경보상태의 알람표시램프 (LP1, LAMP1, LP2, LAMP2, LPn, LAMPn)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관리자는 이상신호입력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경보해제를 요구받게 된다.
3) 리셋트스위치 (S3)를 최종적으로 입력: 부져정지, 점멸정지후 최종적으로 리셋트 신호가 입력되어야 정상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경보발생시 최초로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가 구성되어있는 각각의 카드로 입력된 비정상적 접점이 정상적 상태로 복귀한 상태이여야만 리셋트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외부의 릴레이구동신호 (SSR) 및 외부램프 출력 (LAMP)은 그대로 유지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완전경보복구할 것을 요청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1) 확장성: 시스템이 확장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보회로를 카드형식으로 추가하면 되므로 무한대의 경보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2)편리한 유지보수성 :해당 경보회로에 문제 발생시 그 경보회로에 해당하는 카드만 교환하여 해결할 수 있슴.
3)출력증강된 경보신호 발생 : 공통 제어회로 (10)를 구성하여 별도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경보회로 (1), 제 2경보회로 (2), 제 n경보회로 (n)의 출력보다 출력을 증감시켜 릴레이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4)강력한 경보발생 기능: 경보발생시 부져스톱 , 점멸정지, 리셋트 시키는 순차적인 기동에 의하여만 경보가 해제되게 하고 있어 관리자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동지에, 상기 조작을 모두 하여도 근본적인 입력측의 접점단자 (A 또는 B 접점)의 이상발생을 해제하지 아니하는 한 램프출력을 계속 유지시켜 감시자의 확실한 감시절차에 의한 시스템 감시, 보호를 할 수 있다.
5)광범위한 적용 : 'A'또는 'B' 접점의 공용 체계로 이루어진 센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이상신호(ABNORMAL SIGNAL)의 입력부터 경보 출력까지 자체에서 디지털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경보수단과,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출력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각경보회로의 점멸신호의 출력을 동기화 시키고, 입력되는 복수의 이상발생신호 입력을 감지하는 공통 감시수단과,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의 공통 출력을 공통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집합신호 해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경보수단은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는 경보회로마다 각기 별개의 개별처리부를 구성하여 경보출력 기능이 중앙의 제어가 없이 신호가 유입된 이상발생신호 입력부(경보회로)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경보전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공통제어수단을 공통처리장치 (CPU)로 구성하여 각 경보회로의 점멸출력을 동기화 시키고 제어하도록 하고, 별도의 부져 및 제 2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경보전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경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복귀시 상기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반드시 부져스톱스위치를 구동하고, 램프점멸 스위치로 점멸를 정지시킨후 리셋트스위치로 각 경보수단의 개별 및 공통처리장치를 리셋트하는 순서로 해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경보전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경보수단과 집합신호 해제수단은 내부의 개별 및 공통처리장치 (CPU)가 이상발생신호 및 외부로부터의 조작신호 사이에 포토카플러의 사용을 통해 절연을 시켜 비정상적 전압 및 전류로 인한 개별 및 공통처리장치 (CPU)의 오동작과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시킨 집합경보전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경보회로의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의 경보회로가 복수의 신호를 하나의 이상발생신호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적용범위가 확장된 집합경보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경보회로를 디지털화하여 소형화함으로써 각 경보회로가 구성되는 알람카드(ALARM CARD) 1장에 복수의 경보회로가 구성되도록 하여 출력 포트 (PORT)를 확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경보전달장치.
KR2020010025155U 2001-08-20 2001-08-20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KR200254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55U KR200254725Y1 (ko) 2001-08-20 2001-08-20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155U KR200254725Y1 (ko) 2001-08-20 2001-08-20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055A Division KR100392839B1 (ko) 2001-07-30 2001-07-30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725Y1 true KR200254725Y1 (ko) 2001-11-26

Family

ID=7310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155U KR200254725Y1 (ko) 2001-08-20 2001-08-20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7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51B1 (ko) 2005-03-04 2007-02-0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확장방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51B1 (ko) 2005-03-04 2007-02-0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확장방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6564B1 (en) System and method of emergency operation of an alarm system
KR200254725Y1 (ko)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JP6110776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100392839B1 (ko) 집합경보신호 전달장치
EP2101262B1 (en) Method for passing a failsafe alarm signal through a life safety system that experiences a catastrophic failure
JPH10334382A (ja) 防災監視システム
KR100626737B1 (ko) 디젤발전 분산제어시스템용 원격단말장치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이중화 제어장치
US1013989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safe control panel installation
JP3407075B2 (ja) トンネル防災設備
JP7390792B2 (ja) 火災報知設備
JP2852989B2 (ja) 異常報知システム
RU2292084C2 (ru) Охранный извещатель
JPH0478998A (ja) 電子機器の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0339558A (ja) 防災監視装置
JPH08180271A (ja) 防災監視装置
JPH0348997A (ja) 監視システム
JP2005222179A (ja) 盗難防止装置
JPS63278197A (ja) 監視装置
JP2003006763A (ja) 火災報知システム用中継器、およびこの中継器を用いた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5078137A (ja) 条件設定制御盤
JPS63220398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装置
JPH06282766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H1166469A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H09101329A (ja) 電源異常検出装置
JPH07244792A (ja) 自動火災受信機のトラブル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