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506Y1 -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506Y1
KR200254506Y1 KR2020010025613U KR20010025613U KR200254506Y1 KR 200254506 Y1 KR200254506 Y1 KR 200254506Y1 KR 2020010025613 U KR2020010025613 U KR 2020010025613U KR 20010025613 U KR20010025613 U KR 20010025613U KR 200254506 Y1 KR200254506 Y1 KR 200254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device
power
ful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준
한성산
Original Assignee
모두플라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두플라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두플라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506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된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 중에 이동전화의 사용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면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하여 전이중 통신(Full-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GSM 방식의 이동전화 핸드셋의 경우 이미 카-모드와 헤드셋-모드를 모두 구비하고 있어 별도로 이동전화 핸드셋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상기 핸즈프리 장치에서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에 내장되어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의 카-모드를 불러 양방향 통화를 구현한 것으로, 저가형 회로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가격 부담을 줄이면서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HANDS-FREE APPARATUS USING FULL-DUPLEX}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된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 중에 이동전화의 사용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면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하여 전이중 통신(Full-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도 통화가 가능한 이동전화의 장점은 우리 생활을 보다 활동적으로 만들고, 협소한 생활 반경을 탈피시켜 생활 반경의 획기적 확대를 가져왔다. 한편, 자동차는 이제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 교통수단이 되었다. 교통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1998년 인구 4.4명당 1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일,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등의 선진국들은 차량 1대당 인구가 2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인당 차량 1대 소유라는 개념이 곧 도래할 것이라는 분석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루 일과 중 운전에 할애하는 시간이 점점 더 증가하고, 사무실이나 건물이 아닌 도로상에 위치하는 시간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차량이 단지 이동수단의 기능만 담당해서는 현대와 같이 복잡 다원화된 사회에서 운전자의 바쁜 일과를 처리할 시간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즉, 운전자는 바쁜 일과 속에서 이제 운전 중에도 전화로 업무를 처리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기타 사무나 개인적 일들을 처리하고자 한다. 하지만, 운전 중에 운전 이외의 다른 행위를 운전자가 행한다는 건 사고발생의 측면에서 볼 때 대단히 위험한 행위이며, 실제의 교통발생 통계도 운전 중 이동전화를 사용하는 운전자는 주의가 산만해지기 쉬워 사고 위험이 평상시보다 4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는 운전중 이동전화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운전 중 이동전화를 손에 들고 통화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규제를 법제화하여 시행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단, 운전에 장애를 주지 않는 핸즈프리 장치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은 가능하다.이에 따라 이제 운전자들은 차량에 핸즈프리 장치를 구비하거나 이어폰을 사용하여야만 운전 중에 통화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운전자 자신뿐 아니라 동승자나 다른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생명도 지킬 수 있는 안전한 운전이 될 것이다.
한편, 현재 출시되어 보급되고 있는 핸즈프리 장치들은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되어 핸즈프리 모드를 사용할 때 단지 단방향 통화만 가능하여 통화를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핸즈프리 장치를 이용하는 이용자나 상대방 모두 통화음의 단절 현상이 발생되어 불편함을 느꼈으나, 현재까지는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화를 구현하는 기술이 없어 이에 대한 기술의 해결이 갈망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 중에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이동전화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하여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양방향 통화를 수행하여 쌍방에 원활한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내에서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 없이 룸미러를 이용함으로써 차량 내 공간을 확보하고 핸즈프리 장치의 최적의 사용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카-모드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용 전원이 선택되면 차량용 전원을 내부에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부; 배터리 전원이 선택되면 배터리 전원을 내부에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차량용 전원에 연결되어 충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차량용 전원부 또는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전달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전달하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폰을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오디오 증폭 필터; 및 이동전화 핸드셋의 기종에 맞도록 운용되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과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과 일반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시 상기 전원단을 통해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를 통과한 전원을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공급하여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 전이중 통신을 적용할 수 있는 카-모드를 동작시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싱 하는 멀티 잭;을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와 상기 멀티 잭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로부터 증폭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 하여 상기 멀티 잭으로 전달하며, 상기 멀티 잭으로부터 들어오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에 전달하는 에코 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외부에서 통화 음성 녹음이 선택되면 구동하여 상기 에코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음성 신호를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을 재생 및 정지하는 음성녹음부와; 상기 음성 녹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4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여 배터리 전원의 잔량 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는 배터리 전원 감지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5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의 룸미러에 내장되어 룸미러 핸즈프리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6견지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외부 전원을 작동하는 배터리 충전 및 외부 전원 작동 커넥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핸즈프리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이어폰 기능을 선택하는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 상기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전원 잔량 표시기; 외부 전원이 현재 사용중인가를 표시하는 외부 전원 사용 표시기; 통화 음성을 녹음 선택하는 녹음버튼; 녹음된 음성의 재생을 중지하는 녹음재생 중지 버튼; 녹음되어 있는 음성을 재생시키는 녹음 재생버튼; 마이크;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컨넥터;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스위치; 및 룸미러 전면에 부착되어 차량의 후방 감시 기능을 담당하는 미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배터리 전원 감지부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이동전화 핸드셋에 연결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와 이동전화 핸드셋 간의 양방향 통신 또는 단방향 통신을 이루기 위한 동작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핸즈프리 장치를 룸미러에 적용한 외관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핸즈프리 장치를 다른 룸미러에 적용한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차량용 전원부 112: 배터리
113: 충전부 114: 마이크로폰
115: 오디오 AMP 필터 116: 스피커폰
117: 에코 필터 118: 음성녹음부
119: 제어부 120: 멀티잭
100: 핸즈프리 장치 200: 핸드셋
100': 제1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
501: 배터리 충전 및 외부전원 작동 컨넥터
502: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
503: 배터리 전원 스위치
504: 배터리 전원 잔량표시 LED
505: 외부전원 사용 표시 LED
506: 녹음버튼
507: 녹음재생 중지 버튼
508: 재생버튼
509: 녹음/재생/정지 표시 LED
510: 마이크
511: 이어폰
512: 볼륨 조절 스위치
520: 미러
100': 제2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
601: 볼륨 조절 스위치
602: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
603: 배터리 전원 스위치
604: 녹음버튼
605: 녹음재생 중지 버튼
606: 재생버튼
607: 마이크
608: 미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100)는 차량용 전원부(111), 배터리(112), 충전부(113), 마이크로폰(114), 오디오 AMP 필터(115), 스피커폰(116), 에코 필터(117), 음성녹음부(118), 제어부(119), 멀티잭(120)으로 구성되며, 다수 기종의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상기 멀티잭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는 실내등이나 차량의 시거 잭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차량으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전원부(111)가 선택되면 차량으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이용하여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차량 이외의 건물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가정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112)는 충전형 배터리, 예를 들어 7.2V 600mA의 축전지를 사용하며, 상기 배터리(112)가 선택되는 경우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되어 사용한다. 상기 배터리(112)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로부터의 전원이 내부에 공급되도록 전원 패스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부(113)는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가 온 되어 있으면 충전 모드를 동작하여 이동전화 핸드셋(200)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14)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오디오 AMP 필터에 (115)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 AMP 필터(Audio AMP Filter)(115)는 상기 차량용 전원부(111) 또는 상기 배터리(1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마이크로폰(114)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상기 에코 필터(117)로 보내며, 상기 에코 필터(117)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폰(116)을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에코 필터(117)는 상기 오디오 AMP 필터(115)로부터 증폭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 하므로 써 에코(Echo) 문제를 해결하며, 이렇게 필터링한 신호를 상기 멀티 잭(120)으로 보낸다. 또한 상기 에코 필터(117)는 상기 멀티 잭(120)으로부터 들어오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상기 오디오 AMP 필터(115) 또는 음성 녹음부(118)로 보낸다.
상기 음성 녹음부(118)는 외부에서 통화 음성 녹음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9)의 제어 하에 구동하여 상기 에코 필터(117)를 통해 필터링된 음성 신호를 녹음하며, 상기 제어부(119)의 제어 하에 구동하여 녹음된 음성을 재생 및 삭제한다.
상기 제어부(119)는 본 고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멀티 잭(120)은 이동전화 핸드셋의 기종에 맞도록 운용되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과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과 일반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은 양방향 통화가 가능한 카-모드(Car-Mode)가 구동되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단방향 통신만 기능한 이어폰 모드로 동작하는 헤드셋-모드(Headset-Mode)가 구동된다. 이 경우 GSM 방식의 이동전화 핸드셋(200)에는 현재 단말기의 변경 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로부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이중 통신방식이 구현되며, 더욱이 이 전원을 이용하여 핸드셋(2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100)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서의 전원 수신 여부에 따라 양방향 통신이나 단방향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화 품질을 향상시켜 최상의 통화 품질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회로 구성의 구체적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외에 다른 회로 구성으로서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의 배터리 전원 감지부의 회로 구성도로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배터리의 전원을 감지하여 이를 표시부인 다수의 LED를 통해 전원 출력 레벨에 따라 외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 전원이 얼마나 소모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100)를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연결한 설치 구성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100)는 멀티 잭(120)을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부분에 접속하여 연결함으로써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준비를 한다.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에는 마이크(MIC)와 고출력 스피커(SPK) 및 이어폰을 구비하며, 차량 내의 차량용 시거 잭에 연결하여 차량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시거 잭(111')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와 이동전화 핸드셋 간의 양방향 통신 또는 단방향 통신을 이루기 위한 동작 구성도로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멀티 잭(120)을 통해 301A 단계에서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전원, 예를 들어 2.4V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은 302B 단계에서 전이중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카-모드(210)로 동작하여 이후 양방향 통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의 멀티 잭(120)을 통해 401A 단계에서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전원, 예를 들어 2.4V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은 401B 단계 또는 401b 단계에서 단방향 통신을 사용하는 헤드셋-모드(220)로 동작한다.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이 카-모드(210)로 동작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에서 원격의 통화자와 양방향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이 헤드셋-모드(220)로 동작하여 단방향 통신만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는 원격의 통화자와 단방향(송신만 또는 수신만 가능한 통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100)의 동작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1의 핸즈프리 장치(100)로부터의 전원이 내부의 차량용 전원부(111) 또는 배터리(112) - 오디오 AMP 필터(115) - 에코 필터(117) - 멀티 잭(120)을 거쳐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공급되면 상기 GSM 방식의 이동전화 핸드셋(200)이 카-모드(210)로 구동하여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와 양방향 통화를 할 수 있는 전이중 통신이 상기 멀티 잭(120)을 통해 형성된다. 물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종래 핸즈프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통신방식과 같이 단방향 통화를 수행하도록 운전자(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스위칭 되도록 외부에 스위치를 구비한다.
즉, 본 고안은 GSM 방식의 이동전화 핸드셋(200)의 경우 이미 카-모드와 헤드셋-모드를 모두 구비하고 있어 별도로 이동전화 핸드셋(200)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상기 핸즈프리 장치(100)에서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200)에 내장되어 있는 전이중 통신방식의 카-모드를 불러 양방향 통화를 구현한 것으로, 저가형 회로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핸즈프리 장치를 제1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100', 이하 '룸미러'라고 약칭함.)에 적용한 외관도로서, 차량의 앞좌석에 설치되는 상기 룸미러에 본 고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내장한 형태이다. 각 구성부의 명칭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조부호 501은 배터리 충전 및 외부전원 작동 컨넥터(Connector)로서 배터리의 충전 또는 외부 전원을 작동하는 컨넥터이다.
참조부호 502는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H.F/E.P)로서,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핸즈프리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이어폰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참조부호 503은 배터리 전원(PWR) 스위치로서, 축전지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참조부호 504는 배터리 전원 잔량표시 LED(Power Indicator)로서, 상기 배터리 전원 스위치 동작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의 현재 소모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LED이다.
참조부호 505는 외부전원 사용 표시 LED로서 현재 외부 전원이 사용중인가 내부 배터리 전원이 사용중인가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참조부호 506은 녹음버튼으로, 상기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도 1의 음성녹음부(118)가 동작되어 통화 음성을 녹음하게 된다.
참조부호 507은 녹음재생 중지 버튼으로 녹음된 음성의 재생을 중지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참조부호 508은 재생버튼으로 상기 음성 녹음부에 녹음되어 있는 음성을 재생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참조부호 509는 녹음/재생/정지 표시 LED로서, 음성 녹음중/재생중/정지중임을 표시한다.
참조부호 510은 마이크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내부의 음성 회로들에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는 상기 룸미러(100')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시되지 않은 스피커와 함께 스피커폰을 구현한다.
참조부호 511은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컨넥터이다.
참조부호 512는 볼륨 조절 스위치로서,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한다.
참조부호 520은 미러로서 상기 룸미러(100') 전면에 부착되어 차량의 후방 감시 기능을 담당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핸즈프리 장치를 다른 룸미러에 적용한 외관도로서, 참조부호 100'의 제2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 참조부호 601의 볼륨 조절 스위치, 참조부호 602의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 참조부호 603의 배터리 전원 스위치, 참조부호 604의 녹음버튼, 참조부호 605의 녹음재생 중지 버튼, 참조부호 606의 재생버튼, 참조부호 607의 마이크, 참조부호 608의 미러 및 다수의 LED를 구비한다. 상기 각 구성부의 기능은 상술한 도 6에서 대응되는 구성부의 기능과 동일하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는 핸즈프리 장치를 통해 양방향 통화도 구현할 수 있고, 차량 앞좌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에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의 설치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이 우수하며, 핸즈프리 장치의 이용시에도 마이크와 스피커가 운전자의 입과 귀와 근접한 룸미러에 장착되므로 통화 품질 역시 우수하다. 또한, 상기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디자인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자의 취향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를 상기 차량 앞좌석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도록 디자인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 중에도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이동전화에 접속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하여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양방향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통화 쌍방에 원활한 통화 및 우수한 통화품질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차량 내에서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 없이 룸미러 내에 내장 하므로써 차량 내 공간을 확보하고 핸즈프리 장치의 최적의 사용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전이중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카-모드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전원이 선택되면 차량용 전원을 내부에 공급하는 차량용 전원부;
    배터리 전원이 선택되면 배터리 전원을 내부에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
    상기 차량용 전원에 연결되어 충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차량용 전원부 또는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전달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전달하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폰을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 오디오 증폭 필터; 및
    이동전화 핸드셋의 기종에 맞도록 운용되며,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과 접속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과 일반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에 접속시 상기 전원단을 통해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를 통과한 전원을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 공급하여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 전이중 통신을 적용할 수 있는 카-모드를 동작시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싱 하는 멀티 잭;을 적어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와 상기 멀티 잭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로부터 증폭된 디지털 신호를 필터링 하여 상기 멀티 잭으로 전달하며, 상기 멀티 잭으로부터 들어오는 상기 이동전화 핸드셋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오디오 증폭 필터에 전달하는 에코 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외부에서 통화 음성 녹음이 선택되면 구동하여 상기 에코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음성 신호를 녹음하며, 녹음된 음성을 재생 및 정지하는 음성녹음부와;
    상기 음성 녹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감지하여 배터리 전원의 잔량 여부를 외부에 표시하는 배터리 전원 감지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의 룸미러에 내장되어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외부 전원을 작동하는 배터리 충전 및 외부 전원 작동 커넥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핸즈프리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한 이어폰 기능을 선택하는 핸즈프리/이어폰 스위치;
    상기 배터리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스위치;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전원 잔량 표시기;
    외부 전원이 현재 사용중인가를 표시하는 외부 전원 사용 표시기;
    통화 음성을 녹음 선택하는 녹음버튼;
    녹음된 음성의 재생을 중지하는 녹음재생 중지 버튼;
    녹음되어 있는 음성을 재생시키는 녹음 재생버튼;
    마이크;
    이어폰을 연결하는 이어폰 컨넥터;
    스피커;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스위치; 및
    룸미러 전면에 부착되어 차량의 후방 감시 기능을 담당하는 미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20010025613U 2001-08-23 2001-08-23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54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613U KR200254506Y1 (ko) 2001-08-23 2001-08-23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613U KR200254506Y1 (ko) 2001-08-23 2001-08-23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725A Division KR20010088952A (ko) 2001-08-22 2001-08-22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506Y1 true KR200254506Y1 (ko) 2001-11-24

Family

ID=7306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613U KR200254506Y1 (ko) 2001-08-23 2001-08-23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5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8875B1 (en) A handsfree kit for a mobile telephone
JP2944925B2 (ja) ハンドフリー式電話変換装置
KR200254506Y1 (ko)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CN202508032U (zh) 车载蓝牙免提系统
US20110319142A1 (en) Helmet communication device
CN201197139Y (zh) 电话车载接听装置
KR20010088952A (ko) 전이중 통신방식을 적용한 핸즈프리 장치
US20040142675A1 (en) Multifunctional safety rear mirror for cars
CN202218368U (zh) 一种嵌入式蓝牙耳机
KR200434061Y1 (ko) 블루투스 기술과 알에프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룸미러장치
JPH10145470A (ja) オーディオ機能付携帯電話
CN113949405B (zh) 一种警用多通道通讯设备
KR200249979Y1 (ko)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폰 경보장치
JPH1159283A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JP2005311768A (ja) イヤホン及びマイクが装備されるオーディオ機器用リモコン
KR200291410Y1 (ko) 핸즈프리 편의장치
JP3109986U (ja) 音声入出力手段を備えたミラー装置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JPH1127382A (ja) 携帯電話用カーキット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TW448635B (en) Adapter for portable telephone handsfree talk
KR200222381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전화기
JP3139580U (ja) ハンズフリー装置
JP3139580U6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200253130Y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KR20020033279A (ko)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