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26Y1 -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26Y1
KR200253926Y1 KR2020010023009U KR20010023009U KR200253926Y1 KR 200253926 Y1 KR200253926 Y1 KR 200253926Y1 KR 2020010023009 U KR2020010023009 U KR 2020010023009U KR 20010023009 U KR20010023009 U KR 20010023009U KR 200253926 Y1 KR200253926 Y1 KR 200253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fire extinguisher
main body
extinguishing ag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길
Original Assignee
심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길 filed Critical 심재길
Priority to KR2020010023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26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의 본체내 충진된 약품을 분출하기 위하여 본체내에 구성되는 방출관에 관한 것으로, 일정하게 소화약품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출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방출관의 선단부에 원주를 따라 경사면을 갖는 원뿔형상의 약품 유입단을 두어 360° 각 방향으로 부터 경사면에 형성되는 유입구로 부터 소화약품이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본체의 기울어짐과 상관없이 소화약품이 일정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내의 약품이 완전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Structure of discharge guide of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의 본체내 충진된 약품을 분출하기 위하여 본체내에 구성되는 방출관에 관한 것으로, 일정하게 소화약품을 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출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소화액이 신속하게 방출되어짐과, 방출시 일정하게 방출되는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소화기 본체내에 구성되는 방출관의 역할에 따라 약품의 방출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약품의 방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소화기의 방출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방출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소화기 본체(1)내에 구성되는 방출관(2)의 선단면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 소화기의 방출관 구조는 소화 약품이 방출관(2)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방출관(2)으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소화 약품이 방출관(2)과 연결되는 상부의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소화기의 방출관 구조는 본체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경사면을 통해 소화 약품이 원활하게 방출관(2)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나, 본체가 기울어지게 될때, 소화 약품의 방출은 압력이 낮은 곳부터 방출되는 바,
따라서 방출량이 일정하지 않는 맥동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후에도 소화약품이 완전하게 방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방출관의 선단부에 원주를 따라 경사면을 갖는 원뿔형상의 약품 유입단을 두어 360° 각 방향으로 부터 경사면에 형성되는 유입구로 부터 소화약품이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본체의 기울어짐과 상관없이 소화약품이 일정하게 방사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내의 약품이 완전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화기의 방출관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방출관이 본체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본체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는,
소화기 본체내에 충진된 소화약품을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 방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의 방출관에 있어서,
360° 각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의 경사곡면을 갖는 원뿔형상을 이루며, 상기 경사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이상의 소화 약품 유입홀을 형성하는 방출관유입부를 상기 방출관의 선단부에 결합하며, 방출관에 결합된 방출관유입부는 본체하단 내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소화기의 본체(10)와 결합되는 본체결합부(21)의 타측, 방출관(20)의 선단에는 방출관 유입부(30)가 결합된다.
방출관유입부(30)는 상측으로는 방출관(20)의 선단에 결합되기 위하여 방출관(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방출관 결합부(31)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원뿔형상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경사곡면(3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곡면(32)에는 소화약품의 유입을 위한 소화약품 유입홀(33)이 하나이상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개의 소화약품 유입홀(33)이 일정한 간격으로 삼각형으로 이루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출관 유입부(33)의 선단은 소화기의 본체(10) 내부 하부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원주를 따라 동일하게 경사곡면(32)을 갖고 있어, 소화기가 기울어져도 항상 일정하게 소화약품이 경사곡면에 형성된 소화약품 유입홀(33)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방출관유입부(30)의 선단이 상기에서와 같이 본체(10) 내부 하부에 밀착되어 있어, 진동시에도 핸들 플러그로 부터 풀려나오지 않게 되므로, 자동차용 소화기에서와 같이, 진동이 심한곳에 설치되는 소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할 경우, 소화 약품을 방사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맥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체내의 소화약품이 완전히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진동시에도 방출관이 플러그로 부터 풀려나오지 않게 됨에 따라서, 자동차와 같이 진동이 심한 위치에 설치되는 소화기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Claims (1)

  1. 소화기 본체내에 충진된 소화약품을 플러그를 통해 외부로 방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의 방출관에 있어서,
    360° 각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의 경사곡면을 갖는 원뿔형상을 이루며, 상기 경사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하나이상의 소화 약품 유입홀을 형성하는 방출관유입부를 상기 방출관의 선단부에 결합하며, 방출관에 결합된 방출관유입부는 본체하단 내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KR2020010023009U 2001-07-28 2001-07-28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KR200253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09U KR200253926Y1 (ko) 2001-07-28 2001-07-28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009U KR200253926Y1 (ko) 2001-07-28 2001-07-28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26Y1 true KR200253926Y1 (ko) 2001-11-22

Family

ID=7306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009U KR200253926Y1 (ko) 2001-07-28 2001-07-28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7938T3 (es) Boquilla vertical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CA2358744C (en) Vacuum dry sprinkler system containing a sprinkler head with expulsion assembly
US20200061402A1 (en) Fire suppression spray nozzle
JP2003514638A (ja) 消火器
US6450265B1 (en) Large orifice ESFR sprinkler arrangement
JP2006213350A (ja) 滴下用のノズル孔構造、このノズル孔構造を有する滴下ノズル
KR200253926Y1 (ko) 소화기의 방출관 방사 장치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US11305142B2 (en) End cap agent nozzle
BR122014019243A2 (pt) método de operar um emissor adaptado para operar em dois modos diferentes, método de operar um sistema de supressão de incêndio e emissor
US9482503B2 (en) Paintball grenade
WO2015003162A1 (en) Self-sealing sprinkler seal and methods
KR101947067B1 (ko) 소방용 스프링클러
US20060185859A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nozzle
US4154304A (en) Fire extinguisher nozzle
JP2005185807A (ja) 消火器
KR20020055338A (ko) 소화기
GB2255015A (en) Fire extinguisher valve and siphon assembly
KR200225348Y1 (ko) 간이소화기
JP3400654B2 (ja) 消火用手動式ポンプ
JPH02236094A (ja) 圧力流体用ホース
JPH11285655A (ja) パイプ閉塞防止部およびパイプ閉塞防止機構
KR200312628Y1 (ko) 천정부착형 소화기의 약제 확산 밸브
KR200280730Y1 (ko) 자동 확산 소화기의 압력계 결합 구조
KR102168394B1 (ko) 소화기용 약제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