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052Y1 -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52Y1
KR200253052Y1 KR2019980008434U KR19980008434U KR200253052Y1 KR 200253052 Y1 KR200253052 Y1 KR 200253052Y1 KR 2019980008434 U KR2019980008434 U KR 2019980008434U KR 19980008434 U KR19980008434 U KR 19980008434U KR 200253052 Y1 KR200253052 Y1 KR 200253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late
conveyor
guide pane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529U (ko
Inventor
양인수
Original Assignee
양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인수 filed Critical 양인수
Priority to KR2019980008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5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5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52Y1/ko

Links

Landscapes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레이트 본체의 증설부 전방측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평판상의 가이드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부피가 작은 운반물도 안정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체인 또는 로울러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판형상의 증설부(110)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하여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본체(100)의 상부면에 덮여지게 되어 다른 본체(100)와의 사이공간이 막아지게 하는 가이드 패널(200)로 구성된다.
[색인어]
컨베이어, 분체, 증설부, 본체, 가이드 패널

Description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
본 고안은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레이트 본체의 증설부 전방측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평판상의 가이드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부피가 작은 운반물도 안정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는 수평 운반을 주목적으로 하는 연속 작업의 이송 기계를 말한다.
종래의 슬레이트 컨베이어(slate conveyor)는 슬레이트와 슬레이트의 사이공간이 비어 있어 부피가 작은 운반물 즉, 슬레이트 사이공간보다 작은 운반물들을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슬레이트 본체의 증설부 전방측에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된 평판상의 가이드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부피가 작은 운반물도 안정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슬레이트가 트랙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사이공간에서 체인 또는 로울러에 의해 이동하며, 분체를 운반하게 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체인 또는 로울러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어느 일 측에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증설부가 형성되며, 이 증설부에 개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이에 연장되어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하여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체로 형성되고, 어느 일 측 단부에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여 착탈되는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본체의 상부면에 덮여 지게 되어 다른 본체와의 사이공간이 막아지게 하는 가이드 패널로 구성되는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레이트 컨베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레이트 컨베이어의 주요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레이트의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증설부
120 : 끼움홈 130 : 개방홈
140 : 구멍 200 : 가이드 패널
210 : 끼움 돌기 300 : 베이스
310 : 프레임 320 : 지지측
330 : 체인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및 제2도 그리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는 본체(100)와, 가이드 패널(200) 및 베이스(300) 그리고 프레임(3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직사각체로 어느 일 측에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증설부(110)가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되는 구멍(140)들이 형성되며, 상기 증설부(110)의 전방측에는 개방홈(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홈(130)에 연장되어 원형의 끼움홈(12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개방홈(130)은 전방측과 상기 끼움홈(120) 그리고 양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20)은 상기 개방홈(130)과 양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패널(200)은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하여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어느 일 측 단부에 상기 끼움홈(120)과 대응하는 끼움 돌기(210)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증설부(110)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을 지니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패널(200)은 상기 본체(100)의 개방홈(130)과 끼움홈(120)에 상기 끼움 돌기(210)가 끼움 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 된다.
상기 프레임(310)은 트랙 형상을 갖는 판체로 한 쌍이 구비되며, 역시 트랙의 형상을 구비하는 체인(330)이 모터(도시 없음)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프레임(310)의 일 측을 다른 일 측보다 높게 하는 지지축(320)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31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본체(100)의 증설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패널(200)이 다른 본체(10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사이공간을 막아 주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부피가 작은 분체들도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증설부 전방측에 가이드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다른 본체의 상부면에 적층되게 하여서 본체의 사이공간을 막아 주게 됨으로써, 부피가 작은 분체들을 보다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슬레이트가 트랙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사이공간에서 체인 또는 로울러에 의해 이동하며, 분체를 운반하게 되는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체인 또는 로울러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어느 일측에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형상의 증설부(110)가 형성되며, 이 증설부(110)에 개방홈(130)이 형성되는 한편, 이에 연장되어 원형의 끼움홈(120)이 형성되는 본체(100)와;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하여 일정한 면적을 구비하는 판체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 단부에 상기 끼움홈(120)에 대응하여 착탈되는 끼움돌기(21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정방측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본체(100)의 상부면에 덮여지게 되어 다른 본체(100)와의 사이공간이 막아지게 하는 가이드 패널(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운반용 슬레이트 컨베이어.
KR2019980008434U 1998-05-21 1998-05-21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KR200253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34U KR200253052Y1 (ko) 1998-05-21 1998-05-21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34U KR200253052Y1 (ko) 1998-05-21 1998-05-21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29U KR19990041529U (ko) 1999-12-15
KR200253052Y1 true KR200253052Y1 (ko) 2001-12-28

Family

ID=6951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434U KR200253052Y1 (ko) 1998-05-21 1998-05-21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29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2406B1 (en) Modular conveyor system with side flexing belt having roller support
KR970706189A (ko) 보관장치(storage apparatus)
JPH02243408A (ja) コンベヤ装置
US5782340A (en) Tapered side support for conveyor belts
AU1663299A (en) An articulated conveyor
FR2800779B1 (fr) Poteau support pour cloture
DK1655243T3 (da) Modulær transportörkonstruktion med lavt baglinjetryk
KR200253052Y1 (ko) 분체운반용슬레이트컨베이어
KR20050012436A (ko) 적재 및 이송을 위한 유동바닥 구조
CA2135001A1 (en) Return pipe conveyer
DE8913409U1 (ko)
PT979778E (pt) Palete
ATE33476T1 (de) Foerdervorrichtung.
ATE358082T1 (de) Palette für eine förderkette
CN214933048U (zh) 一种自动放板设备
DE60201812D1 (de) Förder-Kettengliedstruktur
JP2788720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式スラットコンベヤ
CN215665703U (zh) 一种槽楔用多功能定位机构
CN219905294U (zh) 一种物流输送箱
CN113120503A (zh) 一种自动放板设备
ES2194153T3 (es) Transportador de cadenas.
JP3309488B2 (ja) 転換装置
KR20050049240A (ko) 판유리 이송장치
JP2002316711A (ja) 案内装置
EP1050463A3 (de) Umreifungsmaschine zum Umreifen eines Gutstap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