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240A - 판유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240A
KR20050049240A KR1020030083154A KR20030083154A KR20050049240A KR 20050049240 A KR20050049240 A KR 20050049240A KR 1020030083154 A KR1020030083154 A KR 1020030083154A KR 20030083154 A KR20030083154 A KR 20030083154A KR 20050049240 A KR20050049240 A KR 2005004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lass
air
support
feeder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379B1 (ko
Inventor
정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102003008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3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 C03B35/2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on a fluid support bed, e.g. on molten metal on a gas support b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2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0)와; 상기 각 지지대(30)에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축(32)과, 상기 각 회전축(32)에 축착되어 판유리(60)를 이송시키는 롤러(34)를 갖춘 이송기(36); 및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의 판유리(60)로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에어분사에 의해 부상력을 발생시켜 판유리의 롤러 접촉부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판유리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이송기의 롤러와 접촉되는 판유리 상에 스크래치 등의 상처발생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이송기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판유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본 발명은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분사에 의해 부상력을 발생시켜 판유리의 롤러 접촉부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판유리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이송기와 접촉되는 판유리 상에 스크래치 등의 상처발생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이송기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 이송장치는 두께가 얇은 대형 판유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소정의 작업라인으로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 접촉부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이송대(10)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축 회전되는 복수의 이송롤러(12)가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이송롤러(12)가 이송대(10) 상면 전체에 걸쳐 복잡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이송롤러(12) 이외에 판유리(14)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판유리(14)의 하중이 그대로 이송롤러(12)에 전달되어 이송이 용이하지 않고, 판유리(14) 접촉면에 상처 발생의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판유리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이송기의 롤러와 접촉되는 판유리 상에 스크래치 등의 상처발생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이송기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메인프레임 상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에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축과, 상기 각 회전축에 축착되어 판유리를 이송시키는 롤러를 갖춘 이송기; 및 상기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의 판유리로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에어토출기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양측면에 근접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에어토출기의 테두리 전체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각 지지대의 하부에 이 지지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또는 횡방향 지지대의 진입부인 메인프레임에 이송기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에서 축 회전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롤러 맞은편인 메인프레임에 이송기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에서 축 회전되는 보조가이드롤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기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을 갖는 에어토출판이 구비되고, 저면에 에어공급팬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기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을 갖는 에어토출판이 구비되고, 저면에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덕트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메인프레임(2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대(30)와, 상기 각 지지대(30)에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축(32)과 상기 각 회전축(32)에 축착되어 판유리(60)를 이송시키는 롤러(34)를 갖춘 이송기(36) 및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의 판유리(60)로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그 상부에 지지대(30)를 지지하기 위한 틀 형상으로, 각 모서리 하단에는 메인프레임(20)을 일정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바퀴(22)가 설치되고, 또한, 소정위치에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메인프레임(20)의 수평도를 유지하기 위한 레벨러(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메인프레임(2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상기 각 지지대(30) 사이에는 에어토출기(50)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30)의 상면에는 판유리(60)를 이송시키는 이송기(3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0)는 에어토출기(5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본원발명에서는 두 쌍의 지지대(30)가 에어토출기(50)의 테두리 전체에 근접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가 종, 횡방향 전체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각 지지대(30)의 하부에는 이 지지대(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38)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시 말해서, 상기 종방향 이송기(36)가 작동될 경우에는 횡방향 이송기(36)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횡방향 이송기(36)가 작동될 경우에는 종방향 이송기(36)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각 방향에 대해 판유리(60)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승된 각 이송기(36)의 롤러(34)가 에어토출기(50)의 상면 높이보다 더 높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판유리(60)가 에어토출기(50)에 방해받지 않고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 또는 횡방향 지지대(30)의 진입부인 메인프레임(20)에는 고정축(40) 상에서 축 회전되고 이송기(36)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대(30)의 이송기(36) 상에 용이하게 옮겨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가이드롤러(42) 맞은편인 메인프레임(20)에는 이송기(36)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를 갖고 고정축 상에서 축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기(36)를 통해 이송되는 판유리(60)가 소정의 작업라인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가이드롤러(4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가이드롤러(43)는 가이드롤러(42)와 동일 형상 및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기(36)는 각 지지대(30)에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축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축(32)과, 상기 각 회전축(32)에 축착되어 판유리(60)를 이송시키는 롤러(34)를 갖춘 형상으로, 상기 종축 또는 횡축 이송기(36)의 각 회전축(32) 중 롤러(34)의 타단부에는 피동자성롤러(35)가 결합되고, 이 피동자성롤러(35)의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구동기(46)에 의해 축 회전되면서 상기 피동자성롤러(35)를 회전시키는 구동자성롤러(3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피동자성롤러(35)는 소정의 회전축(39) 상에 상기 피동자성롤러(35)와 대응되는 복수의 구동자성롤러(3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9)은 벨트(44)에 의해 회전구동기(4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기(46)는 구동자성롤러(37)를 정, 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 구동자성롤러(37)의 정, 역회전에 따라 피동자성롤러(35)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정,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자력을 이용한 회전롤러 구동장치는 이미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서, 구동자성롤러(37)와 피동자성롤러(35)의 회전축(32,39)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례로, 상기 구동자성롤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동자성롤러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반대로 구동자성롤러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동자성롤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토출기(50)는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기(36)의 롤러(34) 상에 얹혀져 있는 판유리(60)의 저면으로 에어를 토출하여 이 판유리(60)가 에어토출압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토출기(50)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52)을 갖는 에어토출판(51)이 마련되고, 이 에어토출판(51)의 저면에 에어공급팬(54)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팬(54)은 에어가 토출되는 상부개방부(55)와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공급팬(54)의 직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밀폐된 사각박스 형상의 팬하우징(56) 내에 설치되고, 이 팬하우징(56)의 상부개방부(55)에 에어필터(53)가 장착되며, 이 에어필터(53)의 상면이 상기 에어토출판(51)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필터(53)는 토출되는 에어압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에어토출판(51)의 전체 에어토출공(52)으로 퍼져서 에어가 토출되도록 한다.
미 설명부호 57, 58은 에어토출판(51)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이고, 59는 팬하우징을 프레임(58)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토출판(51)은 원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에어토출기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52)을 갖는 에어토출판(51)이 마련되고, 이 에어토출판(51)의 저면에 상기와 같은 에어필터(53) 부착형 팬하우징(56)이 설치되며, 이 팬하우징(56)의 저면에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구조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우선 메인프레임(20)을 원하는 작업 장소에 배치시키고 나서, 로봇이나 인력으로 판유리를 상기 메인프레임(20) 상방으로 이동시키며, 일례로, 판유리(60)를 종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종방향 지지대(30)가 승강구동기(38)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지지대(30)는 그 상부의 이송기 롤러(34)가 가이드롤러(42)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판유리(60)가 상기 가이드롤러(42)를 타고 이송기(36)의 롤러(34) 상으로 옮겨지는 동시에 이 이송기의 롤러(34)가 축 회전되면서 판유리(60)를 소정의 작업라인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이송기의 롤러(34)를 타고 이송되는 판유리(60)는 이 이송기(30) 사이의 에어토출기(50)에서 토출되는 에어압에 의해 떠받쳐진 상태로 롤러(34)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42)와 대응되는 보조가이드롤러(43)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이송기(36)를 통과한 판유리(60)는 보조가이드롤러(43)를 타고 이송되어 작업라인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유리(60)는 직진 이송뿐만 아니라 직진되다가 직각 절곡되어 양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판유리(60)가 종방향 이송기(30)를 타고 이송되다가 횡방향 이송기(30) 상에 놓이게 되면 종방향 이송기(30)의 작동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횡방향 이송기(30)가 상승하여 판유리(6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종방향 이송기(30)가 하강하고 상기 횡방향 이송기의 롤러(34)가 작동하여 판유리(60)를 측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이송기(30)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판유리(50)가 이동되면 다시 소정 공정의 로봇이나 롤러 등의 장치가 상기 판유리(50)를 인수받아 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판유리 이송장치는 에어분사에 의해 부상력을 발생시켜 판유리의 롤러 접촉부에 발생되는 접촉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판유리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이송기의 롤러와 접촉되는 판유리 상에 스크래치 등의 상처발생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이송기 구조가 단순화되어 전반적으로 제조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서 에어토출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 중 지지대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B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서 보조가이드롤러가 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서 판유리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로 판유리가 진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서 판유리가 각자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대 12 : 이송롤러
14 : 판유리 20 : 메인프레임
22 : 바퀴 24 : 레벨러
30 : 지지대 32 : 회전축
34 : 롤러 35 : 피동자성롤러
36 : 이송기 37 : 구동자성롤러
38 : 승강구동기 39 : 회전축
40 : 고정축 42 : 가이드롤러
43 : 보조가이드롤러 44 : 벨트
46 : 회전구동기 50 : 에어토출기
51 : 에어토출판 52 : 에어토출공
53 : 에어필터 54 : 에어공급팬
55 : 상부개방부 56 : 팬하우징
57, 58 : 프레임 59 : 지지브라켓
60 : 판유리

Claims (7)

  1. 메인프레임(20) 상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30);
    상기 각 지지대(30)에 직교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축 회전되는 복수의 회전축(32)과, 상기 각 회전축(32)에 축착되어 판유리(60)를 이송시키는 롤러(34)를 갖춘 이송기(36); 및
    상기 지지대(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방의 판유리(60)로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50);
    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에어토출기(50)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 양측면에 근접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에어토출기(50)의 테두리 전체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각 지지대(30)의 하부에 이 지지대(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3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또는 횡방향 지지대(30)의 진입부인 메인프레임(20)에 이송기(36)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에서 축 회전되는 가이드롤러(4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롤러(42) 맞은편인 메인프레임(20)에 이송기(36)의 상승된 높이와 동일 높이에서 축 회전되는 보조가이드롤러(4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기(50)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52)을 갖는 에어토출판(51)이 구비되고, 이 에어토출판(51)의 하방에 에어공급팬(5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토출기(50)는 상면에 복수의 에어토출공(52)을 갖는 에어토출판(51)이 구비되고, 저면에 외부에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덕트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KR1020030083154A 2003-11-21 2003-11-21 판유리 이송장치 KR10058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54A KR100580379B1 (ko) 2003-11-21 2003-11-21 판유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54A KR100580379B1 (ko) 2003-11-21 2003-11-21 판유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240A true KR20050049240A (ko) 2005-05-25
KR100580379B1 KR100580379B1 (ko) 2006-05-15

Family

ID=3724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154A KR100580379B1 (ko) 2003-11-21 2003-11-21 판유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3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844B1 (ko) * 2006-03-31 2007-04-23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KR100711712B1 (ko) * 2006-01-25 2007-04-25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817B1 (ko) * 2008-11-27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머 장치
KR101821370B1 (ko) 2015-06-22 2018-01-25 주식회사 가나지앤텍 판 유리 이송 가이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12B1 (ko) * 2006-01-25 2007-04-25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KR100710844B1 (ko) * 2006-03-31 2007-04-23 주식회사 태성기연 판유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379B1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811B1 (ko) 판유리 방향전환장치
KR101067709B1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JP5152469B2 (ja) 基板搬送装置
KR100595111B1 (ko) 기판 이송 장치
JP5168594B2 (ja) 基板搬送設備
KR101365074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KR20050001482A (ko) 기판의 수평 및 상하 이송장치
TWI393205B (zh) 基板搬送裝置及基板搬送方法
KR20020070780A (ko) 판형상체 반송장치
JP2008172046A (ja) 基板浮上搬送装置
KR100962362B1 (ko) 기판세정장치
KR1005803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100567136B1 (ko) 멀티형 기판이송장치
KR100699028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130017443A (ko) 기판 도포 장치, 부상식 기판 반송 장치 및 부상식 기판 반송 방법
KR101051416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140144236A (ko) 반송 장치
KR20100058148A (ko) 수평형 기판 이송장치
JP4289200B2 (ja) 搬送設備
CN221115524U (zh) 变向传输装置和传输设备
KR20100055761A (ko) 기판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12101897A (ja) 搬送装置
KR20100035518A (ko) 기판처리장치
JP2000084510A (ja) 基板用搬送除塵装置
JPH10250812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この基板搬送装置を有する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