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884Y1 - 가구용 단위부재 - Google Patents

가구용 단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884Y1
KR200251884Y1 KR2020010020989U KR20010020989U KR200251884Y1 KR 200251884 Y1 KR200251884 Y1 KR 200251884Y1 KR 2020010020989 U KR2020010020989 U KR 2020010020989U KR 20010020989 U KR20010020989 U KR 20010020989U KR 200251884 Y1 KR200251884 Y1 KR 200251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coating layer
transfer
layer
treatment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Original Assignee
남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식 filed Critical 남현식
Priority to KR202001002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884Y1/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이 조대한 재질로 구성된 PB의 표면 상에 접착성이 우수한 전사층이 형성된 가구용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용부재인 PB의 표면인 외면 상에 전처리공정으로 UV 코팅층을 조밀하게 형성하고, 상기 조밀하게 형성된 PB의 UV 코팅층 상에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하여 전사층이 형성된 가구용 단위부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가구용 단위부재{The unit material for furniture}
본 고안은 표면이 조대한 재질로 구성된 PB의 표면 상에 접착성이 우수한 전사층이 형성된 가구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또는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사무기기를 포함하는 각종 가구의 단위부재에는 원목 및 집성목 등이 있으나, 고가의 원목 보다는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가벼우며 내구성이 강한 집성목이 주로 사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집성목은 MDF 및 PB로 구분되어지며, 상기 MDF는 목분(木粉)과 종이 및 점착제를 혼합한 집성목이며, 상기 PB는 목분과 점착제를 혼합한 집성목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상기 집성목의 표면인 외면상에 외관의 보호 및 미려하게 보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해야 하지만, 집성목 중, PB의 경우는 입자가 조대하여 전사처리공정의 수행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단위부재의 입자가 미세한 MDF에만 전사처리공정이 수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사처리공정이 수행된 MDF의 외면에 부착된 전사층(전사지)이 약하기 때문에 적은 외부충격에도 가구용 단위부재가 훼손되어 미관상 좋지 않았으며, 더욱이 유아들이 사용하는 아동용 책상 같은 경우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가구용 단위부재가 훼손되었을 경우, 유아들이 다치게 되는 인명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규격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값비싼 MDF를 가구용 단위부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여 상대적으로 제품단가가 낮고, 전사처리공정 수행이 용이한 가구용 단위부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구용 단위부재인 전사처리공정이 수행이 된 MDF는 적은 외부충격에도 전사층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외면이 훼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DF의 제품 단가가 고가여서 큰 규격의 가구용 제품에는 높은 생산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단가가 낮은 가구용부재인 PB의 표면인 조대한 재질로 구성되는 외면상에 UV 코팅층을 형성하여 전사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가구용 부재인 PB의 표면인 외면 상에 UV 코팅층을 조밀하게 형성하고, 상기 조밀하게 형성된 PB의 UV 코팅층 상에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하여 전사층이 형성된 가구용 단위부재인 PB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구용 부재인 PB의 표면상에 형성된 UV 코팅층을 조밀하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형성된 UV 코팅층의 표면을 건조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건조작업이 수행된 UV 코팅층의 표면에 센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연마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표면이 조밀하게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PB 2 : UV 코팅층
3 : 전사층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구용 단위부재인 PB(1)는 종래에 전사처리 공정이 수행이 된 MDF보다 상대적으로 가격단가가 낮다는 이점이 있지만, 상기 PB(1)의 표면인 외면에 표시되는 재질의 입자가 조대하여 균일한 전사처리공정의 수행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가구용부재로 사용하기에 많은 제한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가구용부재로 가공되어진 PB(1)들의 표면인 외면을 조밀하게 구성하기 위해, 상기 PB(1)의 외면에 UV 코팅재를 도포하여 UV코팅층(2)을 형성하고, 상기 UV코팅층(2)이 형성된 PB(1)의 외면 상에 자외선(ultraviolet)을 조사(照射)하여 UV코팅층(2)을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UV코팅층(2)의 건조는 완전하게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약간의 습기가 남아있게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약간의 습기가 있게 건조되어진 PB(1)의 외면상의 UV코팅층(2)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센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한 표면연마작업을 수행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한다.
그리고, 표면연마처리가 된 PB(1)의 외면상의 UV코팅층(2)에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하여 전사층(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처리공정시, 상기 UV코팅층(2)에 흡착되어지는 전사지는 상기 UV코팅층(2)이 건조시, 완전하게 건조가 되지 않고 약간의 습기가 남아 있기 때문에 상기 UV코팅창(2)과 상기 전사층(3)을 흡착시, 양자간의 층들이 뜨는 부분 없이 완전하게 흡착이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종래 PB(1) 재질의 조대함으로 흡착성이 낮아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하지 못했던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가의 가구용부재인 PB의 외면상에 전처리공정으로 UV코팅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전사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PB 재질의 조대함으로 접착성이 낮아 전사처리공정을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신체부분이 직접 접촉하여 지는 가구용부재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써, 가구제작시 생산단가가 절감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용부재인 PB에 형성된 강도가 우수한 UV 코팅층에 의해, 일정한 충격에도 제품이 훼손되지 않아 장기간 외관이 보호될 수 가 있어서 미관상 좋으며, 또한 아이들이 사용하는 책상등에 응용할 경우, 제품의 훼손에 의한 인명사고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집성목을 이용한 가구용부재에 있어서,
    가구용 부재의 표면 상에 UV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가구용부재 표면상의 UV코팅층 상에 전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부재는 PB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구용 부재의 표면상에 UV 코팅층 형성후, 상기 형성된 UV 코팅층의 표면을 건조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건조작업이 수행된 UV 코팅층의 표면에 표면연마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부재.
KR2020010020989U 2001-07-11 2001-07-11 가구용 단위부재 KR200251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9U KR200251884Y1 (ko) 2001-07-11 2001-07-11 가구용 단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89U KR200251884Y1 (ko) 2001-07-11 2001-07-11 가구용 단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884Y1 true KR200251884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89U KR200251884Y1 (ko) 2001-07-11 2001-07-11 가구용 단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7762A1 (en) Filler-containing polymer dispersion,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CA2413504A1 (en) Polyurethane coated resilient surface covering having improved fidelity of texture and process of manufacture
EP1167462A4 (en) COSMETIC PREPARATION, METALLIC OXIDE PARTICLES COATED WITH HYDROPHOBIC HYDROPHOBIC SURFACE SILICA SOIL, SILICA SOIL COATED METAL OXIDE,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CA2203906A1 (en) Artificial stone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stones
PL331003A1 (en) Method of improving superficial strength of workpieces made of woodem materials
DE202009018018U1 (de) Ein Substrat mit zumindest einem Dekorpapier oder Overlay
KR200251884Y1 (ko) 가구용 단위부재
JP5787203B2 (ja) より自然な木目を木材表面に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902599B1 (ko) 호마이카에 내장된 무늬를 형성한 장식용 판재 및 그제조방법
CA2143095A1 (en) A method of electron-beam curing of varnished board
KR100710722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855351B1 (ko) 백색 파티클 보드 제조방법
WO2003037584A3 (en) Methods for finishing top surfaces of concrete filled access floor panels
CA2211903A1 (en) Dielectric curing
PT1173523E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um material estratificado e material estratificado assim obtido
KR200187281Y1 (ko) 황토를 이용한 가구용 부재
Tate et al. Performance of composite finishing and polishing instruments after sterilization
US3146499A (en) Wall panel
JP3393537B2 (ja) 化粧板の製造法
JPS594108Y2 (ja) すべり止めを施した木製階段
JP2002225191A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RU94000253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ых плит с двухсторонней облицовкой
JP3225844B2 (ja) 金属溶射木材及びその製法
KR20050024132A (ko) 유해파차단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화장판
JPH026878A (ja) 家具に使用する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