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465Y1 -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465Y1
KR200251465Y1 KR2020010022798U KR20010022798U KR200251465Y1 KR 200251465 Y1 KR200251465 Y1 KR 200251465Y1 KR 2020010022798 U KR2020010022798 U KR 2020010022798U KR 20010022798 U KR20010022798 U KR 20010022798U KR 200251465 Y1 KR200251465 Y1 KR 200251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eawater
induction tunnel
kill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차경우
이봉충
김만억
Original Assignee
이광현
차경우
김만억
이봉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현, 차경우, 김만억, 이봉충 filed Critical 이광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465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의 선저 중앙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선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킬; 상기 킬의 전방 적정위치로부터 상기 킬의 후미까지 상향되게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그 외측으로 유선형의 곡면부가 상호 대칭되게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이 요홈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선체의 후미까지 상기 두 갈래로 갈라진 요홈이 합쳐지도록 반원형의 수평부를 갖는 해수유도터널;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그 타단이 상기 킬의 경사면을 통해 선체내의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의 진행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향키; 및 상기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의 경사면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의 차이로 상기 킬에 해수의 양력이 발생되어 킬을 선체의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킬을 밀어내면서 진행한 해수는 해수유도터널의 협소한 수평부를 통과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더해져 해수의 분출압력을 높여 선체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Vessel-driving apparatus using inducing tunnel of seawater}
본 고안은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해수의 양력이 킬에 전달되면서 선체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추진력 및 선체의 선저에 대해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모터,구동축 및 회전부재를 해수유도터널내에 수평상태로 설치한 후 회전부재의 회전시 해수의 분출압력에 의한 추진력이 더해지면서 선체의 추진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수면에서도 선체를 운항할 수 있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RP로 제작되는 소형어선의 추진장치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소형어선의 추진장치는 통상 선체의 선저로부터 하방향으로 킬(Kill,용골)이 돌출되고, 이 킬의 후방측 하단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갖는 위치에 회전부재와 방향키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재, 구동축 및 모터는 선체의 수평각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각도로 설치되어 선체를 추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회전부재로 전달될 경우, 상기 회전부재는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와 부딪히면서 밀음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선체의 추진은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와 선저의 킬사이로 흐르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차로 인해 킬의 측벽에 해수의 양력이 발생되어 킬을 선체의 전방측으로 밀어내면서 회전부재측으로 진행하여 회전부재의 회전력에따른 미는힘과 더해져 해수를 선체의 후방으로 분출시켜 선체를 추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어선의 추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먼저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회전부재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할 시 선체는 회전부재의 설치각도에 의해 선체의 전방측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해 해수를 밀어내기 위한 해수의 분출압력은 회전부재의 설치각도에 의해 선체의 전방측을 수평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야 하는 분출방향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해수의 분출방향에 따른 분출압력은 선체의 전방을 밀어올려야 하는 힘이 요구됨에 따라 회전부재에 전달되는 회전력에도 앞에서 언급한 힘이 요구되면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연료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선체의 진행방향에 대해 선체의 전방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야 하는 힘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선체의 추진력이 현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더욱이, 상기 선체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선체의 전방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이 더욱 요구됨에 따라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선저에 형성된 킬의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회전부재와 방향키가 설치됨에 따라 수심이 얕은 지역(예를 들면 간만의 차를 갖는 갯벌지역 등)에서 선체를 운항하고자 할 경우, 상기 회전부재 및 방향키의 하부측이 갯벌지역의 지면과 부딪히면서 파손됨에 따라 선체를 운항하는데 있어서 곤란함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해수의 양력이 킬에 전달되면서 선체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추진력 및 선체의 선저에 대해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모터,구동축 및 회전부재를 해수유도터널내에 수평상태로 설치한 후 회전부재의 회전시 해수의 분출압력에 의한 추진력이 더해지면서 선체의 추진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저수면에서도 선체를 운항할 수 있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체의 선저 중앙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선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킬; 상기 킬의 전방 적정위치로부터 상기 킬의 후미까지 상향되게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그 외측으로 유선형의 곡면부가 상호 대칭되게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이 요홈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선체의 후미까지 상기 두 갈래로 갈라진 요홈이 합쳐지도록 반원형의 수평부를 갖는 해수유도터널;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그 타단이 상기 킬의 경사면을통해 선체내의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의 진행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향키; 및 상기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의 경사면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의 차이로 상기 킬에 해수의 양력이 발생되어 킬을 선체의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킬을 밀어내면서 진행한 해수는 해수유도터널의 협소한 수평부를 통과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더해져 해수의 분출압력을 높여 선체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선체 후방에 구비된 회전부재의 회전시 선저의 해수유도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선체 2 : 선저
4 : 킬 10 : 해수유도터널
12 : 요홈 14 : 수평부
20 : 동력전달부 22 : 모터
24 : 구동축 26 : 회전부재
30 : 방향키 40 : 보호플레이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배면도로써. 선체(1)의 선저(2) 중앙에는 해수면에 대해 선체(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선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킬(4)이 구비되는데, 상기 킬(4)의 하단은 상기 선저(2)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킬(4)의 측벽에는 상기 킬(4)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폭이 커지는 유선형의 곡면부(6)가 소정의 위치에서 최대폭을 갖도록 볼록해지고, 이 최대폭으로부터 킬(4)의 후방까지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유선형의곡면부(6)가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킬(4)의 모양은 물고기의 몸체와 흡사한 유선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저(2)로부터 하향 절곡된 상기 킬(4)의 전방 적정한 위치로부터 선체(1)의 후미까지 선저(2)의 내측으로 해수유도터널(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전방측은 상기 킬(4)의 전방 적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킬(4)의 후방에 이르기까지 상기 킬(4)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두 갈래로 갈라지는 요홈(12)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도록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12)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선체(1)의 후미까지는 상기 두 갈래로 갈라진 요홈(12)이 합쳐지면서 협소해지는 반원형의 수평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모양은 나팔관과 유사한 형태의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저(2)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킬(4)의 하단위치와 상기 킬(4)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의 위치를 여러가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저(2)로부터 돌출되는 킬(4)의 하단길이(L1)를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후방부에 형성된 수평부(14)를 이루고 있는 반원형의 반경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가장 좋다.
그리고, 상기 킬(4)의 경사면 위치는 상기 선체(1)의 전체길이 중 선체(1)의 후미로부터 1/5길이를 갖는 제 1지점(P1), 및 상기 제 1지점(P1)으로부터 선체(1)의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1/10길이를 갖는 제 2지점(P2)의 구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지점(P1)(P2)을 상호 연결한 경사면을 갖도록 함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위치를 여러가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경사면은 상기 선체(1)의 전체길이중에서 선체(1)의 전방으로부터 1/5길이를 갖는 제 3지점(P3)과, 이 제 3지점(P3)으로부터 상기 선체(1)의 후미를 향해 3/5길이를 갖는 제 4지점(P4)까지의 직선구간에서 상기 제 3,4지점(P3)(P4)을 상호 연결한 경사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 길이는 상기 제 4지점(P4)으로부터 선체(1)의 후미를 향해 1/5길이를 갖는 제 5지점(P5)까지의 직선구간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에 대해 동력전달부(20)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는데, 상기 동력전달부(20)의 모터(22)는 선체(1)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이 모터(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22)의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구동축(24)의 일단에는 해수와의 부딪김에 의한 밀음력으로 선체(1)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26)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26)는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반경은 상기 수평부(14)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반경은 상기 킬(4)의 제 1,2지점(P1)(P2)간의 수직거리 이내에서 회전을 이루도록 함이 가장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에 설치된 회전부재(26)로부터 선체(1)의 후미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선체(1)의 진행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향키(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방향키(30)의 상단은 상기 수평부(14)의 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선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로서, 상기 회전부재(26) 및 방향키(30)의 회전을 허용함과 동시에 회전부재(26) 및 방향키(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킬(4)의 하단부로부터 선체(1)의 후미까지 보호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보호플레이트(40)의 후방에는 상기 방향키(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방향키(30)의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체(1)의 내부에 설치된 동력전달부(20)인 모터(22)로부터의 회전력이 구동축(24)을 통해 회전부재(26)로 전달될 경우,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내에 설치된 회전부재(26)는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내에서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에 부딪기면서 해수를 선체(1)의 후미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부재(26)의 밀음력에 의해 선체(1)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해수의 분출압력에 의해 선체(1)가 전방으로 진행을 시작하게 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20)의 회전부재(26)의 초기작동에 의해 선체(1)가 전방으로 진행을 시작할 경우, 선체(1)의 진행속도에 의해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는 선저(2)에 형성된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면서 그 유속이 빠르게 진행되는데, 이때 상기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지 않는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와 상기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을 통과하는 해수의 밀도에는 유속에 의한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인해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을 통과하여 선체(1)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해수의 분출압력과 회전부재(26)의 회전력이 더해지면서 상기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져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 내부에서 회전부재(26)가 상기 선체(1)의 선저(2)에 대해 수평상태로 설치된 모터(22) 및 구동축(24)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경우, 상기 선체(1)는 해수면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시 정상적인 밀도를 갖는 해수를 선체(1)의 후방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상기 선체(1)의 선저(2)에 형성된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 사이로 해수가 유입된다.
즉,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전방으로 유입되는 해수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해수유도터널(10)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저(2)의 저면중앙에 형성된 킬(4)의 전방측과 절곡된 제 3지점(P3)의 양측을 통해 유입되어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요홈(12)이 끝나는 제 4지점(P4)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제 3,4지점(P3)(P4)을 통과하는 해수중 일부는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외측벽에 형성된 유선형의 곡면부를 따라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로 진행되고,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을 통과하는 해수중의 일부는 상기 킬(4)의 측벽을 이루고 있는 유선형의 곡면부(6)중 상기 킬(4)의 전방측에 최대폭을 갖는 볼록한 곡면부(6)로부터 킬(4)의 후방까지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유선형의 곡면부(6)로 해수의 양력이 발생되어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제 3,4지점(P3)(P4)을 통과한 해수는 연속해서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후방을 이루고 있는 수평부(14), 즉 제 4,5지점(P4)(P5)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3지점(P3)부터 제 4지점(P4)까지의 경사면을 갖는 요홈(12)으로부터 유입된 해수가 상기 제 4지점(P4)부터 제 5지점(P5)까지의 협소한 수평부(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 정리를 응용한 벤츄리관의 형태, 즉 나팔관의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인해 해수의 유속이 증가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부(14)를 통과하여 선체(1)의 후방으로 분출되는 해수의 분출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추진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를 통과하는 해수의 진행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경사진 요홈(12)을 통과한 해수는 수평부(14)내에 설치된 회전부재(26)로 도달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력에 의한 밀음력으로 인해 협소한 수평부(14)내의 제 4,5지점(P4)(P5)의 구간을 통과하여 선체(1)의 후방으로 분출되는데, 이때 상기 해수의 분출되는 압력에 의해 선체(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부재(26)의 절반정도가 반원의 형상을 갖는 수평부(14)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해수를 선체(1)의 후방으로 분출시킬 경우,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전방측에 두 갈래로 갈라진 요홈(12)을 통해 진행중이던 해수는 하나의 터널을 형성하고 있는 수평부(14)로 집중적으로 합쳐지면서 진입함에 따라 수평부(14)내의 해수분출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수의 분출압력이 정상적인 밀도를 갖고 있는 해수를 밀어내면서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인해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을 통과하여 선체(1)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해수의 분출압력과 회전부재(26)의 회전력이 더해지면서 상기 해수유도터널(10)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빨라져 상기 선체(1)를 전방으로 더욱 빠르게 추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해수유도터널(10)를 통과하는 해수중 상기 킬(4)의 곡면부(6)를 밀어내는 밀음력이 함게 작용하여 선체(1)의 추진력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에 의한 선체(1)의 추진시 상기 선체(1)는 회전부재(2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24) 및 모터(22)가 선체(1)의 선저(2)에 대해 수평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인해 선체(1)는 직선방향으로 진행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선체(1)를 추진시키기 위한 과정 즉, 앞에서 언급한 킬(4) 및 해수유도터널(10)을 통과하는 해수가 선체(1)의 후방으로 분출되면서 선체(1)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선체(1)의 전방이 상방향으로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회전부재(26)에 가해졌던 과부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제 3,4지점(P3)(P4)의 경사면을 통해 유입된 해수를 수평부(14)로 원활하게 진입시켜 상기 회전부재(26)의 회전력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상기 킬(4)의 후방에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킬(4)의 경사면이 상기 해수유도터널(10)의 수평부(14)가 시작하는 제 4지점(P4)과 동일한 위치를 갖는 제 1지점(P1)으로부터 선체(1)의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1/10길이를 갖는 제 2지점(P2)의 구간에서 상기 제 1,2지점(P1)(P2)을 연결한 경사면에 의해 수평부(14)로 진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따른 흐름이 원활해져 회전부재(26)의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6) 및 방향키(30)의 회전을 허용함과 아울러, 외부충격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26) 및 방향키(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킬(4)의 하단부로부터 선체(1)의 후미까지 보호플레이트(40)가 설치됨에 따라 수심이 얕은 지역(예를 들면 간만의 차가 있는 갯벌지역 등)에서도 회전부재(26) 및 방향키(30)의 파손없이 선체(1)를 운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저의 내측으로 경사면과 수평면을 갖는 해수유도터널을 형성하고, 이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면에 대해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 구동축 및 회전부재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해수의 양력이 킬의 곡면부를 따라 전달되면서적은 연료로 선체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선체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인 모터,구동축 및 회전부재를 선체의 선저에 대해 해수유도터널내에 수평상태로 배치함에 따라 선체를 해수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추진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종래의 선체 진행방향에 대해 선체의 전방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기 위해 소모되었던 회전력을 제거함으로써 저마력을 가지고서 선체의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회전부재 및 방향키의 회전을 허용함과 아울러, 외부충격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 및 방향키를 보호할 수 있도록 킬의 하단부로부터 선체의 후방까지 보호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수심이 얕은 지역(예를 들면, 간만의 차를 갖는 갯벌지역 등)에서 회전부재 및 방향키의 파손없이 선체를 운항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선체의 추진시 선저에 형성된 해수유도터널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로 진입되어 선체의 후방으로 분출될 경우, 상기 반원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수평부를 통과하는 해수를 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회전부재와 해수의 마찰시 발생되었던 소음은 수평부 내측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회전부재가 회전되므로 인해 해수와 회전부재간의 마찰소음은 수평부내에서 감쇠되어 저소음으로 선체를 운항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선체의 선저 중앙에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하단이 상기 선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후방에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킬;
    상기 킬의 전방 적정위치로부터 상기 킬의 후미까지 상향되게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그 외측으로 유선형의 곡면부가 상호 대칭되게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요홈이 형성되고, 이 요홈의 경사면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선체의 후미까지 상기 두 갈래로 갈라진 요홈이 합쳐지도록 반원형의 수평부를 갖는 해수유도터널;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회전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중심축에 일단이 결합되면서 그 타단이 상기 킬의 경사면을 통해 선체내의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의 진행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방향키; 및
    상기 선체의 추진시 정상적인 압력을 갖는 해수와 해수유도터널의 경사면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에 의한 압력의 차이로 상기 킬에 해수의 양력이 발생되어 킬을 선체의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킬을 밀어내면서 진행한 해수는 해수유도터널의 협소한 수평부를 통과하면서 회전부재의 회전력이 더해져 해수의 분출압력을 높여 선체의 추진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킬은 길이방향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폭이 커지는 유선형의 곡면부가 소정의 위치에서 최대폭을 갖도록 볼록해지고, 이 최대폭으로부터 킬의 후방까지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유선형의 곡면부가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선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킬의 길이를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부를 이루고 있는 반원형의 최대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킬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면의 위치는 상기 선체의 후방으로부터 1/5길이를 갖는 제 1지점과, 이 제 1지점으로부터 선체의 전방을 향해 직선으로 1/10길이를 갖는 제 2지점의 구간에서 상기 제 1,2지점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길이중에서 경사면의 위치는 선체의 전체길이중 전방으로부터 1/5길이를 갖는 제 3지점과, 이 제 3지점으로부터 선체의 후방을 향해 직선으로 3/5길이를 갖는 제 4지점의 구간에서 상기 제 3,4지점을 상호 연결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해수유도터널의 수평길이는 상기 제 4지점으로부터 선체의 후방을 향해 직선으로 1/5길이를 갖는 제 5지점까지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킬의 하단부로부터 선체의 후방까지 상기 회전부재 및 방향키의 회전을 허용함과 아울러, 외부충격에 대해 상기 회전부재 및 방향키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플레이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KR2020010022798U 2000-11-03 2001-07-27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KR20025146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63 2000-11-03
KR2020000030763U KR200218546Y1 (ko) 2000-11-03 2000-11-03 추진효율이 향상된 선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465Y1 true KR200251465Y1 (ko) 2001-11-22

Family

ID=73080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63U KR200218546Y1 (ko) 2000-11-03 2000-11-03 추진효율이 향상된 선체구조
KR2020010022798U KR200251465Y1 (ko) 2000-11-03 2001-07-27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63U KR200218546Y1 (ko) 2000-11-03 2000-11-03 추진효율이 향상된 선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185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19B1 (ko) * 2019-05-23 2020-08-06 고호남 중소형 선박
KR102187069B1 (ko) * 2020-07-14 2020-12-04 (유)태진엔지니어링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938B1 (ko) * 2002-04-09 2005-05-24 이 주 철 고무보트용 선체장치
KR101431497B1 (ko) 2012-08-24 2014-08-20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이 선박
KR101930208B1 (ko) * 2018-06-01 2018-12-17 조영효 속도향상 및 전복방지 기능을 갖는 어선용 선체
KR20200036170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해상기술 선저용골판을 갖는 선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19B1 (ko) * 2019-05-23 2020-08-06 고호남 중소형 선박
KR102187069B1 (ko) * 2020-07-14 2020-12-04 (유)태진엔지니어링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546Y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8792C (en) Icebreaking method and icebreaker
AU2007202451A1 (en) Propeller driven surfing device
KR200251465Y1 (ko) 해수유도터널을 이용한 선체추진장치
EP3523194B1 (en) Tugboat having azimuthal propelling units
KR101941061B1 (ko) 유동 저항감소를 위한 선박의 선미구조
NZ583881A (en) Shrouded recessed propeller reaction drive for boat
FI8265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ar foer avlaegsnande av is fraon raenna.
KR19990071711A (ko) 방위각 추진부재를 갖춘 예인선
US1795596A (en) Boat propelling and steering apparatus
JP2012006556A (ja) ツインスケグ船
EP3368405B1 (en) Ice breaking vessel
JP2002087389A (ja) 船舶のサイドスラスター装置
RU2225327C2 (ru) Колесный движительно-рулевой комплекс
US20090130925A1 (en) Marine propulsor with inlet fluid inducer
EP2658771A2 (en) Watercraft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for travel in ice
US3371637A (en) Paddle wheel boat
KR102000107B1 (ko) 선박용 워터제트추진장치 및 선박용 방향전환 유닛
KR102541780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0295417B1 (ko) 소형선박용 추진기
KR101431497B1 (ko) 선박
JP2000280985A (ja) 船舶のバウスラスタ
JPH0640396A (ja) ウォータジェット式離着岸用補助装置
KR200184135Y1 (ko) 모터 보트
JP2635524B2 (ja) ウオータジェット推進機の後進装置
EP1253074A1 (en) Tug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