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991Y1 -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0991Y1 KR200250991Y1 KR2019980003218U KR19980003218U KR200250991Y1 KR 200250991 Y1 KR200250991 Y1 KR 200250991Y1 KR 2019980003218 U KR2019980003218 U KR 2019980003218U KR 19980003218 U KR19980003218 U KR 19980003218U KR 200250991 Y1 KR200250991 Y1 KR 2002509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 bending
- support member
- mold
- press mol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펀치(22) 및 그 내측으로 장착되는 스트리퍼(23)를 이용하여 베이스 역할을 하는 다이(21) 상에서 소재(18)를 벤딩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21) 상에서 소재(18)의 벤딩되는 부분에 밀착되면서 소재(18)의 버어링(18b)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지지부재(25); 그리고 상기 다이(21)의 외측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25)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 상단에 요홈부(24a)를 지니는 이젝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종 전자제품의 제조라인에서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으로 철판 소재를 절곡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재가 적절히 지지되도록 하여 가공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제품의 제조라인에서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으로 철판 소재를 절곡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재가 적절히 지지되도록 하여 가공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장치는 철판 소재의 펀칭, 블랭킹, 벤딩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전자제품의 제조현장에서도 이용되는데, 도 1은 케이스, 브라케트 등을 성형하는 종래의 금형장치에 대한 주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금형장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하부의 홀더(15) 상에 고정되는 다이(11)와, 상하 운동하는 상부의 홀더(16) 상에 고정되는 펀치(12)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다이(11)의 외측으로는 이젝터(14)가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펀치(12)의 내측으로는 스트리퍼(13)가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펀치(12)와 이젝터(14)는 실린더(도시 생략)의 가압력으로 운동하도록 연결된다. 스트리퍼(13)는 실린더의 램(17)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램(17) 대신에 탄성부재(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금형장치에 소재(18)가 피이딩되면 스트리퍼(13)가 소재(18)를 가압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펀치(12)가 하강하여 소재(18)의 양단을 절곡하면 케이스 등의 부품이 성형된다. 이후 이젝터(14)가 가공된 소재(18)를 밀어올리면 완성된 부품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러한 공정에 투입되는 소재(18)가 홀(18a)과 함께 버어링(18b)을 지니는 경우 버어링(18b)이 다이(11)의 측면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처럼 다이(11)에 도피부(11a)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3처럼 소재(18)가 이젝터(14)의 요홈부(14a)내에서 절곡되면서 버어링(18b)이 도피부(11a)에 안착되므로 소재(18)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그런데 다이(11)의 도피부(11a)는 성형된 소재(18)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도 있지만 도 4a에서 부호 1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의 중간에 미성형되는 부분이 생기므로 부품의 정도를 저하시키고 불량의 주요 요인이 되는 단점도 있다. 미성형부를 도 4b의 상태로 후처리해야 하므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공수를 증가시켜 생산성도 저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각종 전자제품의 제조라인에서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으로 철판 소재를 절곡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재가 적절히 지지되도록 하여 가공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금형장치에 대한 주요부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성형 전후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소재의 성형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다이 11a: 도피부
12, 22: 펀치 13, 23: 스트리퍼
14, 24: 이젝터 14a, 24a: 요홈부
15, 16: 홀더 17: 램
18: 소재 18a: 홀
18b: 버어링 25: 지지부재
25a: 선단부 25b, 25c: 경사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펀치(22) 및 그 내측으로 장착되는 스트리퍼(23)를 이용하여 베이스 역할을 하는 다이(21) 상에서 소재(18)를 벤딩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21) 상에서 소재(18)의 벤딩되는 부분에 밀착되면서 소재(18)의 버어링(18b)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지지부재(25); 그리고 상기 다이(21)의 외측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25)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 상단에 요홈부(24a)를 지니는 이젝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5)는 다이(21)의 측면보다 돌출되는 선단부(25a)와, 그 하방향으로 연속되는 경사부(25b)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는 바, 펀치(22) 및 그 내측으로 장착되는 스트리퍼(23)를 이용하여 베이스 역할을 하는 다이(21) 상에서 소재(18)를 벤딩하는 금형장치에 적용한다. 펀치(22), 스트리퍼(23) 등의 구성 및 작동은 도 1에서 설명한 것처럼 종래와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다이(21) 상에서 소재(18)의 벤딩되는 부분에 밀착되면서 소재(18)의 버어링(18b)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부재(25)를 설치한다. 도시에서는 지지부재(25)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었으나 지지부재(25)는 소재(18)의 절곡되는 부분과 동일하거나 그 보다 큰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지지부재(25)는 소재(18)와 가압 접촉되므로 다이(21)처럼 소정의 강도와 내마모성을 지니는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5)는 다이(21)의 측면보다 돌출되는 선단부(25a)와, 그 하방향으로 연속되는 경사부(25b)를 구비한다. 종래의 도피부(11a)보다 그 크기를 증가시킨 홈을 다이(21)에 형성하고 지지부재(25)가 안착되도록 한다. 선단부(25a)는 펀치(12)의 내측면과 일정한 틈새, 즉 소재(18)의 두께 정도의 치수를 유지하도록 돌출시킨다. 경사부(25b)는 소재(18)의 버어링(18b)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다이(21)의 측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구배로 형성한다.
한편 지지부재(25)는 내측으로 다이(21)와 접촉하는 면에 경사부(25c)를 추가로 지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트리퍼(23)의 가압력이 소재(18)에 작용하는 동안 지지부재(25)의 선단부(25a)가 다이(1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지만 소재(18)가 다이(21)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지지부재(25)가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어 선단부(25a)를 상승시키므로 소재(18)를 취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25)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 상단에 요홈부(24a)를 지니는 이젝터(24)가 상기 다이(21)의 외측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젝터(24)의 기본적 구성 및 작동은 종래와 동일성을 유지하는데 요홈부(24a)는 이젝터(24)의 상승시 소재(18)의 하단부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나치게 크게 형성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는 바, 인용하지 않은 부호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처럼 소재(18)가 다이(21) 상에 놓이게 되면 스트리퍼(23)가 소재(18)를 가압하고 이 상태에서 펀치(22)가 하강을 시작한다. 펀치(22)가 소재(18)에 접촉하면 지지부재(25)의 상면이 수평상태로 되고 소재(18)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절곡된다. 소재(18)의 버어링(18b)은 지지부재(25)의 경사부(25b) 때문에 손상되지 않을 뿐더러 지지부재(25)의 선단부(25a)로 인하여 도 4a와 같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도 4b의 상태로 된다.
이후 스트리퍼(23)와 펀치(22)가 먼저 상승된 다음 이젝터(24)가 상승하면서 성형이 완료된 소재(18)를 밀어올린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5)가 회전하여 선단부(25a)가 상승되면 버어링(18b)이 경사부(25b)를 지나 상부로 이탈되기 용이해진다. 지지부재(25)의 회전각도 범위는 지지부재(25)의 돌출량 등 관련부의 치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은 각종 전자제품의 제조라인에서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으로 철판 소재를 절곡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재가 적절히 지지되도록 하여 가공에 따른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펀치(22) 및 그 내측으로 장착되는 스트리퍼(23)를 이용하여 베이스 역할을 하는 다이(21) 상에서 소재(18)를 벤딩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상기 다이(21) 상에서 소재(18)의 벤딩되는 부분에 밀착되면서 소재(18)의 버어링(18b)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지지부재(25); 그리고상기 다이(21)의 외측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25)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 상단에 요홈부(24a)를 지니는 이젝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는 다이(21)의 측면보다 돌출되는 선단부(25a)와, 그 하방향으로 연속되는 경사부(2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5)는 내측으로 다이(21)와 접촉하는 면에 경사부(25c)를 추가로 지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218U KR200250991Y1 (ko) | 1998-03-06 | 1998-03-06 |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3218U KR200250991Y1 (ko) | 1998-03-06 | 1998-03-06 |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481U KR19990037481U (ko) | 1999-10-05 |
KR200250991Y1 true KR200250991Y1 (ko) | 2002-01-17 |
Family
ID=6971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3218U KR200250991Y1 (ko) | 1998-03-06 | 1998-03-06 |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0991Y1 (ko) |
-
1998
- 1998-03-06 KR KR2019980003218U patent/KR2002509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7481U (ko) | 1999-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46948A1 (en) | Sequential forming device | |
KR100667196B1 (ko) | 부각 성형 다이 | |
KR200250991Y1 (ko) | 무결함 벤딩을 위한 프레스 금형 | |
KR20180135539A (ko) | 사각 파이프 피어싱 금형 | |
KR20200033528A (ko) | 전철 창틀 성형방법 | |
KR200455029Y1 (ko) | 프레스 금형의 평면벤딩과 경사면포밍 동시성형장치 | |
KR100255313B1 (ko) | 복합 성형용 금형 | |
KR950001704Y1 (ko) | 랜싱 및 벤딩 성형장치 | |
KR200235125Y1 (ko) |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 |
JP2534356B2 (ja) | 絞り成形装置 | |
KR101719900B1 (ko) | 금속박판의 엠보싱돌기 성형금형 | |
KR890009041Y1 (ko) | 밴딩 및 해밍가공용 복합금형 | |
JP2000317525A (ja) | プレス曲げ型 | |
KR102538966B1 (ko) | 버(burr) 커팅부가 구비된 프레스 성형장치 | |
JP7317699B2 (ja) | プレス型 | |
JPS6327861Y2 (ko) | ||
KR0134621Y1 (ko) | Z밴딩 및 피어싱, 노칭 타발 복합성형장치 | |
KR19990010196U (ko) |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 |
KR200250992Y1 (ko) |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 |
KR100435900B1 (ko) | 프레스의 구조 | |
KR870000927Y1 (ko) | 성형 프레스의 제품 취출장치 | |
JP2002346646A (ja) | プレス装置 | |
KR910005332Y1 (ko) | 도전성 고무접점판의 금형 | |
KR19990021310A (ko) | 벤딩 성형용 프레스 금형 장치 | |
JP2523920Y2 (ja) | バルジ成形用金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