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893Y1 -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 Google Patents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893Y1
KR200250893Y1 KR2020010022365U KR20010022365U KR200250893Y1 KR 200250893 Y1 KR200250893 Y1 KR 200250893Y1 KR 2020010022365 U KR2020010022365 U KR 2020010022365U KR 20010022365 U KR20010022365 U KR 20010022365U KR 200250893 Y1 KR200250893 Y1 KR 200250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ving
dimensional
tape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태
Original Assignee
(주)유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영산업 filed Critical (주)유영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2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89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실을 경사와 위사로 하여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을 1차 제직하고, 1차로 제직된 테이프형직물을 다시 경사와 위사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는 입체직물의 바닥면에 마감직물을 접착제로 합포하므로써, 테이프형 직물로 이루어진 위사와 경사에 의하여 현저한 돌출성과 굴곡성 및 색상의 대비에 의해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하여 다양한 직물디자인을 원하는 의류, 신발갑피, 가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소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있어서, 날실을 위사와 경사로서 1차제직하여 띠 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형 직물(20)을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제직기(1)에서 2차 제직하여 입체직물(30)을 제직하고, 상기의 제직된 입체직물(30)의 바닥면에 마감직물(11)을 접착제로서 합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직물의 제직구조{A weaving structure for cubic textile}
본 고안은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실을 위사와 경상로 하여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을 1차 제직하고, 1차로 제직된 테이프형직물을 다시 경사와 위사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는 입체직물의 바닥면에 마감직물을 접착제로 합포하므로써, 테이프형 직물로 이루어진 위사 및 경사에 의하여 현저한 돌출성과 굴곡성 및 색상의 대비에 의해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하여 다양한 직물디자인을 원하는 의류, 신발갑피, 가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소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날실을 경사와 위사로 하여 교호로 교차되게 제직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로 연속된 평면상으로 제직한 것으로서 그 적용범위는 의류, 신발갑피, 가방, 시트커버 및 액세서리 등의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직물 적용제품의 품위를 높이고 제품의 경쟁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입체적인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입체직물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또한 평면상으로 제직된직물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직물디자인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입체직물의 제직방법은 단순히 경사, 위사의 실 굵기를 조정하여 종광을 통과할 수 있는 최대 굵기로 입체감을 나타내거나, 종광의 수를 변화시키는 형태로 입체감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직패턴을 1차 제직내에서 만 구상하고 있으므로 소재 개발의 한계에 도달하여 새로운 형상의 직물구조를 얻기 힘든 상황에 직면하였고, 직물 원단을 먼저 제직한 후 그 위에 원하는 모양을 자수식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는 쟈카드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어 전체원단의 반복적인 색상무늬를 형성할 경우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된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 공보번호 제3536호(1987.10.16.공고)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185806호(2000.4.4.등록)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의 후면에서 결속사에 의한 봉합으로 입체적 돌출무늬를 형성하거나, 무늬형성판 또는 무늬롤러에 의한 직접적인 가열압축에 의하여 직물의 표면에 돌출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3536호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제 185806호에 기재되어 있는 입체무늬를 갖는 직물들은 1차 제직내에서 구상하던 종래의 제직패턴을 벗어나지 못하고, 1차 제직에서 형성된 직물 표면에 돌출무늬를 나타내므로서 신발갑피, 가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소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고안은 날실을 경사와 위사로 하여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을 1차 제직하고, 1차로 제직된 테이프형 직물을 다시 경사와 위사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는 입체직물의 바닥면에 마감직물을 접착제로 합포하므로써, 테이프형 직물로 이루어진 위사와 경사에 의하여 현저한 돌출성과 굴곡성 및 색상의 대비에 의해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하여 다양한 직물디자인이 요구되는 의류, 신발갑피, 가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소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있어서, 날실을 경사와 위사로서 1차로 제직하여 띠 형태의 테이프형 직물를 구비하고, 1차로 제직된 테이프형 직물을 다시경사와 위사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하여 입체직물을 제직하고, 상기의 제직된 입체직물의 바닥면에 마감직물을 접착제로 합포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물의 제직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직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형 직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입체직물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직기 2 : 경사 3 : 위사
4 : 종광틀 4a : 종광 4b : 종광눈
5 : 바디 6 : 북 7 : 직물빔
8 : 경사빔 9 : 경사 10 : 위사
11 : 마감직물 20 : 테이프형 직물 30 : 입체직물
이하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직물의 제직에 사용되는 통상의 제직기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형 직물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입체직물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입체직물은 통상의 제직기(1)로 날실을 위사와 경사로 하여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띠 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1차로 제직하고, 이 테이프형 직물(20)을 다시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통상의 제직기(1)로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함으로서 테이프형 직물(20)로 이루어진 위사(10)와 경사(9)에 의하여 요철부 및 굴곡부로 형성되어 입체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직물의 제직에 사용되는 통상의 제직기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테이프형 직물의 사시도로서 테이프형 직물(20)로 제직되는 과정은 일반적인 제직공정과 동일하며, 다만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띠형태로 제직된다.
상기의 제직기(1)를 구성하고 있는 종광틀(4)의 상하운동에 의해 날실의 경사(2) 사이에 북(6)이 지나갈 수 있도록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 사이로 북(6)을통과시켜 날실의 위사(3)를 공급하는 북침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북침운동과정에서 개구 안에 공급된 날실의 위사(3)를 바디(5)로 직물(7a)까지 밀어주므로서 경사(2)와 위사(3)의 조직을 완성하는 바디침운동을 반복 실행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제직한 다음, 이 제직된 테이프형직물(20)은 직물빔(7)에 권취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경사빔(1)에 길이 방향으로 날실인 경사(2)가 감겨져 있어 제직시에 필요한 양의 경사(2)를 풀어 주게 되며, 종광(4a)은 와이어 또는 금속제의 스트립으로 만들어져 있어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종광눈(4b)을 통하여 경사(2)가 꿰어지게 된다.
또한, 종광틀(4)은 필요한 종광(4a)들을 엮고 있는 틀로서 제직기(1) 마다 최소한 두 매의 종광틀(4)로 이루어져 있고, 이 종광틀(4)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개구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개구 사이로 북(6)이 통과하면서 위사(3)가 삽입되어 경사(2)와 위사(3)가 교호로 교차되면서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만들어 지게 된다.
이때, 바디(5)는 종광틀(4)과 평행으로 배열되어 있어 경사(2)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북침운동으로 경사(2) 사이에 걸쳐진 위사(3)를 적절한 위치까지 바디침하여 밀어주며, 이 결과로 만들어진 테이프형 직물(20)은 제직기(1)의 앞쪽에 위치한 직물빔(7)으로 옮겨져 감기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직된 테이프형 직물(20)을 이용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입체직물(30)을 제직하는 과정을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체직물(30)의 평면도로서, 상기 제직기(1)에 의하여 제직할 경우에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각각 횡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사(9)와, 상기 경사(9)의 배열방향과 직각방향인 종방향으로 배치하는 위사(10)로 사용하되, 상기 테이프형 직물(20)로 이루어진 경사(9)와 위사(10)를 제직기(1)에서 서로 교호로 교차되도록 하여, 직물의 삼원조직(三原組織)인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소정 폭과 두께로 입체직물(30)을 제직한다.
상기 과정에서 테이프형 직물(20)을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종, 횡방향으로 서로 교호로 교차되게 제직된 입체직물(30)의 바닥면에는 마감직물(11)을 접착제로서 합포함에 따라 상기 테이프형 직물(20)인 경사(9)와 위사(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입체직물(30)의 제직을 완료하게 되며, 상기 마감직물(11)은최종적으로 제직되는 입체직물(30)을 이루는 경사(9)와 위사(10)는 접착된 마감직물(11)에 의하여 교차조직이 풀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격자모양으로 얽힌 천이나 부직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직된 본 고안의 입체직물(30)은 도 4에 도시된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에서와 같이 입체직물(30)을 구성하고 있는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경사(9) 와 위사(10)로 하여 교호로 교차되게 제직되므로 요철부 및 굴곡부가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입체감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경사(9)와 위사(10)로 이루어지는 테이프형 직물(20)은 일반적인 직물인 경우와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 밴드형으로 제직되며, 테이프형 직물(20)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제직기(1)에 의해 제직되는 것으로서 두께 1~3㎜, 폭4~20㎜로 제직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심미감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형 직물(20)을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제직하는 방법으로서는 적용되는 대상물에 따라 통상의 제직기(1)를 사용하여 평직과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할 수 있으며, 형상은 사각형, 원통형 등으로 용도에 따라 제직이 가능하며, 그 형상 자체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입체직물(30)은 날실을 경사(2)와 위사(3)로 하여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1차로 획득하고, 이 테이프형 직물(20)을 다시 위사(10)와 경사(9)로 하여 통상의 제직기(1)로 2차 제직하여 입체직물(30)을 제직한 후, 제직된 입체직물(30)의 바닥면에 마감직물(11)를 접착제로 합포함으로써, 위사(10)와 경사(9)로 된 테이프형 직물(20)에 의하여 현저한 굴곡성과 돌출성에 의해 입체감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경사(9)와 위사(10)에 표현되는 색상과 무늬모양을 달리할 경우 색상의 대비에 의한 입체감과 미적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입체직물의 제직구조는 날실을 경사와 위사로 하여 띠형태의 테이프형 직물을 1차 제직하고, 1차로 제직된 테이프형 직물을 다시 경사와 위사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으로 제직되는 입체직물의 바닥면에 마감직물을 접착제로 합포하므로써, 테이프형 직물의 위사와 경사에 의하여 현저한 돌출성과 굴곡성 및 색상의 대비에 의해서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하여 다양한 직물디자인이 요구되는 의류, 신발갑피, 가방, 액세서리 등에 사용되는 소재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입체직물의 제직구조에 있어서,
    날실을 위사와 경사로서 1차로 제직하여 띠 형태의 테이프형 직물(20)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형 직물(20)을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통상의 제직기(1)에서 2차 제직하여 입체직물(30)을 제직하고,
    상기의 제직된 입체직물(30)의 바닥면에 마감직물(11)을 접착제로서 합포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형 직물(20)을 경사(9)와 위사(10)로 하여 평직, 능직 또는 주자직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KR2020010022365U 2001-07-24 2001-07-24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KR200250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65U KR200250893Y1 (ko) 2001-07-24 2001-07-24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365U KR200250893Y1 (ko) 2001-07-24 2001-07-24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162A Division KR100411618B1 (ko) 2001-03-09 2001-03-09 입체 직물지의 제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893Y1 true KR200250893Y1 (ko) 2001-11-22

Family

ID=7310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365U KR200250893Y1 (ko) 2001-07-24 2001-07-24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8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278B1 (ko) * 2018-02-06 2019-04-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스형 3차원 텍스타일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레이스형 3차원 텍스타일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278B1 (ko) * 2018-02-06 2019-04-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스형 3차원 텍스타일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레이스형 3차원 텍스타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782B2 (ja) 凹凸模様装飾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57541B2 (ja) 帯体
US7131466B2 (en) Patterned scarf, method and loom for producing the same
CN108842280B (zh) 一种孔洞互连双层经编织物的织造方法
CN111607881B (zh) 用于织造绒头织物的方法和通过本方法织造的绒头织物
KR200250893Y1 (ko) 입체직물의 제직구조
KR20160018205A (ko) 사각 장식패턴이 형성된 직물 가방
CN110923937A (zh) 凹凸花型效果双层贾卡经编织物
KR100411618B1 (ko) 입체 직물지의 제직구조
JPH05176804A (ja) 運動靴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076405A1 (en) Weaving method for producing reversible labels on a Jacquard loom
CN211645568U (zh) 凹凸花型效果双层贾卡经编织物
TW200303388A (en) Open-ended base fabric for papermaking press felt and papermaking press felt
JP3300667B2 (ja) ギャザー付ストレッチ織物
KR20030008821A (ko) 무늬가 형성된 매직테이프 및 그 직조방법
JPS6026086Y2 (ja) ズボン等の腰芯
JPS6235035Y2 (ko)
JPS6310739Y2 (ko)
JP5238460B2 (ja) 織物
CN211227562U (zh) 一种不同网孔组成图案的织带
KR200380644Y1 (ko) 이중 구조의 일체형 직조 원단
JPS6129739Y2 (ko)
KR200222924Y1 (ko) 주름직물
JPS5835671Y2 (ja) 巾が変化するベルト地
JP3054975U (ja) 多重織によるファンシー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