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783Y1 - 전해수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해수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783Y1
KR200250783Y1 KR2020010016585U KR20010016585U KR200250783Y1 KR 200250783 Y1 KR200250783 Y1 KR 200250783Y1 KR 2020010016585 U KR2020010016585 U KR 2020010016585U KR 20010016585 U KR20010016585 U KR 20010016585U KR 200250783 Y1 KR200250783 Y1 KR 200250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e
discharged
fixing member
electrolytic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
Priority to KR202001001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783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에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로 일정량 공급하여 흡입구에서 혼합한 후,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의 내부로 이동시켜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여 배출관으로 배출하고, 배출되는 양극수는 ORP센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연수부재를 설치하여 칼슘이온(Ca2+) 및 철분이온(Fe2+)을 여과시켜 전해조로 배출하므로 전기 분해시 발생하는 고형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해조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고, 상기 전해질 첨가액을 수용하는 물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물통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성함으로, 물통의 내부에 위치한 고정부재의 파이프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첨가제가 원활하게 혼합되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과, 상기 전해질 첨가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흡입구의 상단에 다이아프램을 내장한 역류방지부를 구성하며, 전해질 첨가액 흡입시 미세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를 구성하고, 시스템의 정지시 발생하는 진공압력에 의해 첨가액이 자연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흡입구의 양단에 설치함으로서, 첨가액이 자연흡입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과부하로 회로의 소자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작동시키며, 상기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에서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동시에제어하여 방향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를 구성함으로서, 전해조의 세정시,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이 변환되어 공급되므로,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물이 양극실에서는 음극수로, 음극실에서는 양극수로 변환하여 배출관을 통해 유로전환부의 내부로 이동되며, 이동된 양극수와 음극수가 유로전환부재를 통과하여 동시에 양극수 및 음극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세정시에 버리던 물조차도 정상적인 양극수와 음극수로 활용할 수 있어 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내부는 히타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내부 부품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해수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해수 생성시스템{system for generator of electrolyte}
본 고안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전기적 반응에 의해 물의 성질을 변환하여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수 생성시스템은,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염소계 전해질을 첨가하여 전해도를 높인 상태로 혼합한 후, 전기분해장치인 전해조를 통과하여 물을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양극수는, 수소이온농도(pH)가 낮고 산화환원전위(ORP)가 높아 소독 및 살균작용의 효과를 얻게 되며, 이는 소독 및 살균작용을 필요로 하는 식품, 의료분야 및 비료공장이나 축사 등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된 음극수는, 보일러나 목욕탕 및 세탁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일러에 사용되면 보일러의 효율을 높여주고, 목욕탕이나 샤워할 때 사용되면 사용자의 피부노화를 방지하며, 세탁기에 사용되면 적은 량의 세제로도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어 세제도 줄이고,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앙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20)가 내장된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유입관(10)으로 물이 유입되면, 물통(11)에 저장된 전해질 용액이 여과부(30)를 통과하여 정량펌프(12)로 공급되며, 상기 유입관(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정량펌프(12)로 배출된 전해질 용액이 혼합부(13)에서 혼합된 후, 전해조(14)의 양극실(141) 또는 음극실(142)로 유입된다. 상기 전해조(14)는 밀폐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이온 투과성 격막(143)에 의하여 분리되어 일측은 양전극(141a)이 삽입된 양극실(141)이 형성되고, 타측은 음전극(142a)이 삽입된 음극실(142)을 형성하며, 상기 양전극(141a)과 음전극(142a)에 전원공급부(15)를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음극실(142)의 상부에는 음극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6')이 구비되고, 양극실(141)의 상부에는 양극수를 배출관(16)으로 배출하면서 삼방밸브(17)와 ORP센서(18)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통(11)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질 첨가액을 여과하는 여과부(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31a)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내측으로 요입되어 수용공간(31b)을 형성하는 고정캡(31)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캡(31)의 수용공간(31b)에 안착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망(32)이 구성되며, 상기 여과망(3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캡(31)의 수용공간(31b)에 안착되는 몸체(33)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33)의 나사산에 끼워져 배출부재(34)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너트(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여과부(30)의 설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물통(11)의 하단부 일측에 여과부(30)를 설치하고, 물통(11)의 내부로 첨가액을 투입한 후, 물통(11)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물을 보충한다. 이때 첨가액과 물을 수작업으로 혼합하고, 상기 여과부(30)에서 여과된 첨가액이 배출부재(34)를 통해 정량펌프(12)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해수 생성장치는, 직수 부분을 여과시키는 여과장치가 없어 전기분해 작용시에 고형물의 석출현상이 발생하여 전해조 자체 및 격막에 응고되어 전해조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해질 첨가액이 수용된 물통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여과부에서 배출부재를 이탈시키고 이동한 후, 뚜껑을 개폐시키고 물을 공급하여 굳어진 첨가제를 수작업으로 혼합하여 원래의 상태로 설치함으로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배출부재가 쉽게 파손되어 취급이 난이하며, 전해질 첨가액을 여과하는 여과부가 망 휠터로 구성되어 있어 큰 찌꺼기는 여과하여 이동시키는데 반해 미세 먼지 등은 여과하지 않고 이동시켜 정량펌프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스템이 정지되어 물의 배출이 중단되면, 배출구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며, 이 진공압력이 첨가액을 빨아들여 첨가액이 배출되고, 첨가액이 배출된 상태에서 시스템이 작동하면, 회로의 소자들에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발생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해조의 세정시에 생성된 음극수와 양극수는 배수관을 통해 버려지게 되어 있어 물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연수부재를 설치하여 칼슘이온(Ca2+) 및 철분이온(Fe2+)을 여과시켜 전해조로 배출하여 전기 분해시 발생하는 고형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해조의 수명을 연장하고, 물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파이프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첨가제가 원활하게 혼합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파이프에 전해액 여과부를 연결하여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된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로 배출함으로서 정량펌프의 기능을 유지시키고, 배출된 전해질 첨가액은 역류방지부의 다이아프램에 의해 전해질 첨가액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전해질 첨가액의 정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던 물이 시스템 정지시에 발생되는 배출구의 진공압력의 영향으로 첨가액이 자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흡입구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첨가액 자연흡입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과부하로 회로의 소자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작동시키며, 전해조의 세정시,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이 변환되어 공급되므로,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물이 양극실에서는 음극수로, 음극실에서는 양극수로 변환하여 배출관을 통해 유로전환부의 내부로 이동되며, 이동된 양극수와 음극수가 유로전환부재를 통과하여 동시에 양극수 및 음극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세정시에 버리던 물조차도 정상적인 양극수와 음극수로 활용할 수 있어 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히타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내부 부품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해수 생성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전해수 생성장치는, CPU가 내장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에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로 일정량 공급하여 흡입구에서 혼합한 후,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의 내부로 이동시켜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여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되는 양극수는 ORP센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연수부재와; 상기 전해질 첨가액을 수용하는 물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연수부재에서 여과된 물을 물통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전해질 첨가액을 여과시키는 전해액 여과부와; 상기 전해액 여과부에서 여과된 전해질 첨가액이 정량펌프를 통과하여 흡입구의 내부로 공급시에, 상기 흡입구에서 정량펌프로 역류되지 않도록 다이아프램을 내장하여 흡입구의 상단에 안착되는 역류방지부와; 상기 흡입구의 양단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전해조의 양극실과 음극실에서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4°C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방열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해수 생성시스템을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해수 생성시스템에 설치되어 전해액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전해액을 수용하는 물통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전해액 여과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고정부재에 전해액 여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역류방지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유로전환부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a는 유로전환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고정된 것이고,
b는 유로전환부재를 90°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방열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수부재 200: 고정부재
210: 고정구 230: 파이프
300: 연결부재 310: 연결구
320: 연결관 400: 전해액 여과부
420: 여과캡 421: 여과필터
500: 역류방지부 510: 다이아프램
600, 600': 솔레노이드밸브 700: 유로전환부
713: 안착홈 720: 유로전환부재
721, 721': 배출공간 800: 방열부
810: 히타 820: 방열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개략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전해액을 수용하는 물통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전해액 여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4의 고정부재에 전해액 여과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역류방지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유로전환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전해수 생성시스템의 방열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해수 생성장치는 통상에서와 같이, CPU(20)가 내장된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유입관(10)으로 유입된 물에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12)로 일정량 공급하여 흡입구(13')에서 혼합한 후, 전해조(14)의 양극실(141)과 음극실(142)의 내부로 이동시켜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여 배출관(16)(16')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되는 양극수는 ORP센서(1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연수부재(100)가 구성되고, 상기 전해질 첨가액을 수용하는 물통(1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00)에 연결되고 연수부재(100)에서 여과된 물을 물통(11)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30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0)를 통해 배출되는 전해질 첨가액을 여과시키는 전해액 여과부(400)가 구성되며, 상기 전해액 여과부(400)에서 여과된 전해질 첨가액이 정량펌프(12)를 통과하여 흡입구(13')의 내부로 공급시에, 상기 흡입구(13')에서 정량펌프(12)로 역류되지 않도록 다이아프램(510)을 내장하여 흡입구(13')의 상단에 안착되는 역류방지부(500)가 구성되고, 상기 흡입구(13')의 양단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600)(600')가 구성되며, 상기 전해조(14)의 양극실(141)과 음극실(142)에서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700)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4°C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방열부(800)가 구성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211)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몸체(211)의 하부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편(212)이 형성된 고정구(210)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210)의 하부에 끼워져 물통(11)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230)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230)의 단부에 끼워지는 결합구(240)는 내부가 관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구(210)가 끼워지도록 내부가 관통된 몸체(311)가 구비되고, 이 몸체(311)의 내측에 안착되는 고무 오링(312)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311)의 외부 양단에 상기 고정구(210)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지지구(313)가 결합된 연결구(310)가 구비되고, 이 연결구(310)의 일측에 유입되는 물을 이동시키는 연결관(320)이 구비된다.
상기 전해액 여과부(400)는, 물통(11)의 내부에 저장되어 고정부재(200)로 배출되는 전해질 전해액이 여과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4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관통공(412)이 형성된 몸체(4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하부에 여과필터(421)가 고정된 여과캡(420)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필터(421)의 상단에 안착되는 고무링(422)이 구비된다.
상기 유로전환부(700)는, 내부에 배출관(16)(16')과 연결되는 통로(711)(712)가 구비되고, 이 통로(711)(712)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711')(712')가 대칭되게 구비되며, 이 통로(711)(712)(711')(712')의 중심에 안착홈(713)이 구비된 몸체(710)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713)에 안착되어 유로를 전환하도록 양측이 절단된 배출공간(721)(721')이 구비된 유로전환부재(720)가 구성된다.
상기 방열부(800)는, 상기 제어부(19)의 CPU(20)와 연결되는 히타(810)가 구비되고, 이 히타(8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히타(81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판(82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물통(11)에 물을 충진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300)와 연결시키고,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12)로 공급시킬 경우에는 전해액 여과부(400)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연수부재(100)를 유입관(10)의 일측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200)의 고정구(210) 하부에서 상부로 지지구(220)를 결합시키고, 지지구(220)의 상면이 상기 고정구(210)의 고정편(212)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파이프(230)를 상기 고정구(210) 몸체(211)의 저면에서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시키며, 상기 파이프(230)의 단부에 내측으로 결합구(240)를 회전하여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200)의 파이프(230)를 물통(11)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지지구(220)가 물통(11)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구(210)의 몸체(211)에 연결되어 세정된 물을 물통(11)에 충진시킬 때의 연결부재(300)는, 상기 고정구(210)의 몸체(211)를 오링(312)이 장착된 몸체(311)의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지지구(313)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며, 타측은 연결관(320)을 지지구(313')로 결합한 후, 배수밸브(330)의 단부에 연결하면 물통(11)의 내부로 세정된 물을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통(11)에 물이 충진되면, 연결구(310)의 몸체(311)를 고정부재(200)와 분리한 후, 배수관에 연결하면 세정된 물을 배수구를 통해 버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과필터(421)가 고정된 여과캡(4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고무링(422)을 삽입시키고, 상기 여과필터(421)를 몸체(410)의 수용공간(411)에 안착시키면 전해액 여과부(400)가 완성되고, 이 전해액 여과부(400)를 고정부재(200)의 고정구(210)에 삽입하여 연결하고, 파이프(230)의 하단에 결합된 결합구(240)의 상부 가까이에 연결호스(250)를 여과부(400)의 관통공(412)을 수용하도록 연결한 후, 내린다. 또한, 전해질 첨가액을 일정량 공급하는 정량펌프(12)의 일측에 구비된 흡입구(13')의 상단에 다이아프램(510)이 내장된 역류방지부(500)를 안착하고, 상기 흡입구(13')의 양측에 솔레노이드밸브(600)(600')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유로전환부(700)의 안착홈(713)에 유로전환부재(720)를 안착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 후, 상기 전해조(14)의 양극실(141)과 음극실(142)에서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몸체(710)의 통로(711)(712)로 이동되어 통로(711')(712')로 배출하고,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양극수는 ORP센서(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연결하고, 음극수는 몸체(710)의 통로(712)로 유입되어 통로(7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연결한 후, 시스템의 하단부에 히타(810)를 위치시키고, 제어부(19)의 CPU(20)와 연결하며, 이 히타(810)의 상부에 방열판(820)을 시스템에 결합하면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전해수 생성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CPU(20)가 내장된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전해수 생성장치의 유입관(10)으로 물이 유입되면, 휠터를 통해 1차적으로 물을 여과시키고, 이를 다시 연수부재(100)를 통해 물을 여과시키며, 연수부재(100)를 통해 정상적으로 세정된 물은 솔레노이드밸브(600)를 통해 흡입구(13')의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연수부재(100)를 통해 세정된 물을 버릴 경우는, 배수밸브(330)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300)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재(300)를 통과한 물은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물통(11)에 첨가제를 넣고 첨가액을 만들 경우는, 연결부재(300)를 고정부재(200)에 연결시키고, 연수부재(100)를 통해 세정된 물을, 연결부재(300)를 통해 고정부재(200)의 내부로 이동되고, 고정부재(200)를 통과한 물은 물통(11)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부재(200)의 내부로 이동되는 물은, 고정부재(200)의 파이프(230)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강하게 이동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통(11)의 내부에 충진된 첨가제가 원활하게 혼합되며, 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연결부재(300)를 고정부재(200)에서 이탈시켜 배수구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구(210)는 전해액 여과부(400)의 몸체(410)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물통(11)에 저장된 전해질 용액이 정량펌프(12)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해액 여과부(400)의 관통공(412)에 연결된 연결호스(250)의 내측으로 전해질 용액이 흡입되고, 흡입된 전해질 용액은 수용공간(411)을 통해 여과필터(421)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량펌프(12)로 유입된다. 이때, 정량펌프(12)를 통과한 전해질 첨가액은 역류방지부(500)의 다이아프램(510)으로 배출되어, 흡입구(13')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10)로 유입된 물과, 상기 다이아프램(510)를 통과한 전해질 첨가액이 흡입구(13')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솔레노이드밸브(600')을 통과해 전해조(14)의 양극실(141) 또는 음극실(142)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해조(14)의 양극실(141) 또는 음극실(142)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에 양전극(141a)과 음전극(142a)에 전원공급부(15)에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양극실(141)에서는 양극수가 음극실(142)에서는 음극수가 배출관(16)(16')을 통해 유로전환부(7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700)의 내부로 이동되는 양극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A(711)를 통해 ORP센서(18)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음극수는 통로B(7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ORP센서(18)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19)의 CPU(20)로 입력되어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한 후, 설정된 데이터보다 낮게 측정되면, 제어부(19)의 작동으로 전원을 조절하여 혼합액의 농도를 높여 배출하며, 설정된 데이터와 비슷하게 측정되면, 전원을 원래의 값으로 복귀시킨 후, OPR센서(18)를 통해 양극수가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전해조(14)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정 및 세척을 해야되며, 전해조(14)의 극성을 변환하여 세척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전해조(14)의 극성을 변환하여 공급하면, 전해조(14)에서 배출되는 양극수는 음극수로, 음극수는 양극수로 변환하여 배출되므로, 유로전환부(700)의 유로전환부재(720)를 일정각도(예: 90°)로 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실(141)에서 배출되는 음극수는, 배출관(16)을 통해 통로(711)로 유입되어 통로(712')로 배출되고, 음극실(142)에서 배출되는 양극수는, 배출관(16')을 통해 통로(712)로 유입되어 통로(711')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는 모두 정상적인 양극수와 음극수가 배출되어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을 겨울철에 사용할 때는, 시스템 외부의 온도를 제어부(19)의 CPU(20)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4°C 이하가 되면,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히타(810)에서 열을 발산하고, 발산되는 열은, 방열판(820)을 통해 시스템의 내부로 발열되어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즉, 4°C 이상으로 유지시켜 내부 부품의 동파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전해수 생성시스템은, 물통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파이프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강하게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첨가제가 원활하게 혼합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부를 설치하여 칼슘이온(Ca2+) 및 철분이온(Fe2+)을 여과시켜 전해조로 배출하여 전기 분해시 발생하는 고형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해조의 수명을 연장하며, 상기 파이프에 여과부를 연결하여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된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로 배출함으로 정량펌프의 기능을 유지시키고, 배출된 전해질 첨가액은 역류방지부의 다이아프램에 의해 전해질 첨가액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전해질 첨가액의 정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던 물이 시스템 배출정지시에 발생되는 배출구의 진공압력의 영향으로 첨가액이 자연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혼합부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첨가액이 자연흡입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과부하로 회로의 소자들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전해조의 세정시에,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이 변환되어 공급되므로,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물이 양극실에서는 음극수로, 음극실에서는 양극수로 변환하여 배출관을 통해 유로전환부의 내부로 이동되며, 이동된 양극수와 음극수가 유로전환부재를 통과하여 동시에 양극수 및 음극수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세정시에 버리던 물조차도 정상적인 양극수와 음극수로 활용할 수 있어 물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내부의 온도를 히타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켜 내부 부품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CPU(20)가 내장된 제어부(19)의 제어에 의해 유입관(10)으로 유입된 물에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12)로 일정량 공급하여 혼합부(13)에서 혼합한 후, 전해조(14)의 양극실(141)과 음극실(142)의 내부로 이동시켜 양극수와 음극수를 생성하여 배출관(16)(16')으로 배출하고, 배출되는 양극수는 ORP센서(18)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해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여과시키는 연수부재(100)와;
    상기 전해질 첨가액을 수용하는 물통(11)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에 연결되고 연수부재(100)에서 여과된 물을 물통(11)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고정부재(200)를 통해 배출되는 전해질 첨가액을 여과시키는 전해액 여과부(400)와;
    상기 전해액 여과부(400)에서 여과된 전해질 첨가액이 정량펌프(12)를 통과하여 흡입구(13')의 내부로 공급시에, 상기 흡입구(13')에서 정량펌프(12)로 역류되지 않도록 다이아프램(510)을 내장하여 흡입구(13')의 상단에 안착되는 역류방지부(500)와;
    상기 흡입구(13')의 양단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600)(600')와;
    상기 전해조(14)의 양극실(141)과 음극실(142)에서 배출되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동시에 제어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로전환부(700)와;
    상기 제어부(19)의 CPU(20)와 연결되는 히타(810)가 구비되고, 이 히타(810)를 내부에 수용하며 히타(81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판(820)이 구비된 방열부(8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부가 관통된 몸체(211)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몸체(211)의 하부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편(212)이 형성된 고정구(210)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210)의 하부에 끼워져 물통(11)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230)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230)의 단부에 끼워지는 결합구(240)의 내부가 관통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구(210)가 끼워지도록 내부가 관통된 몸체(311)가 구비되고, 이 몸체(311)의 내측에 안착되는 고무 오링(312)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311)의 외부 양단에 상기 고정구(210)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지지구(313)가 결합된 연결구(310)가 구비되고, 이 연결구(310)의 일측에 유입되는 물을 이동시키는 연결관(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여과부(400)는,
    물통(11)의 내부에 저장되어 고정부재(200)로 배출되는 전해질 전해액이 여과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4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관통공(412)이 형성된 몸체(4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0)의 상면에 안착되며 하부에 여과필터(421)가 고정된 여과캡(420)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필터(421)의 상단에 안착되는 고무링(4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700)는,
    내부에 배출관(16)(16')과 연결되는 통로(711)(712)가 구비되고, 이 통로(711)(712)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711')(712')가 대칭되게 구비되며, 이 통로(711)(712)(711')(712')의 중심에 안착홈(713)이 구비된 몸체(710)가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713)에 안착되어 유로를 전환하도록 양측이 절단된 배출공간(721)(721')이 구비된 유로전환부재(72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물통(11)에 물을 충진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300)와 연결시키고, 전해질 첨가액을 정량펌프(12)로 공급시킬 경우에는 전해액 여과부(400)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시스템.
KR2020010016585U 2001-06-04 2001-06-04 전해수 생성시스템 KR200250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85U KR200250783Y1 (ko) 2001-06-04 2001-06-04 전해수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585U KR200250783Y1 (ko) 2001-06-04 2001-06-04 전해수 생성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77A Division KR20020094226A (ko) 2001-06-04 2001-06-04 전해수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783Y1 true KR200250783Y1 (ko) 2001-10-19

Family

ID=7306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585U KR200250783Y1 (ko) 2001-06-04 2001-06-04 전해수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7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01B1 (ko) * 2002-01-29 2005-03-17 (주)한국마이옥스 수처리용 혼합산화수 공급장치
KR100582653B1 (ko) 2004-06-07 2006-05-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기의 배수시스템
KR100735905B1 (ko) * 2006-06-07 2007-07-04 한국수자원공사 유비쿼터스 기법을 이용한 이동식 원격제어 재염소투입시스템
KR101508672B1 (ko) * 2013-01-29 2015-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급수관에 시공이 용이한 약품투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01B1 (ko) * 2002-01-29 2005-03-17 (주)한국마이옥스 수처리용 혼합산화수 공급장치
KR100582653B1 (ko) 2004-06-07 2006-05-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기의 배수시스템
KR100735905B1 (ko) * 2006-06-07 2007-07-04 한국수자원공사 유비쿼터스 기법을 이용한 이동식 원격제어 재염소투입시스템
KR101508672B1 (ko) * 2013-01-29 2015-04-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한누리 급수관에 시공이 용이한 약품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8847A (ko) 수처리 장치
CN208328132U (zh) 具有在线精确配比功能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109019785B (zh) 一种含有可自动清洗电解装置的水槽及使用方法
AU2015268102A1 (en) Improved chemical management for swimming pools
WO2014050865A1 (ja) 電解水製造装置、電解水の製造方法及び電解槽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KR101915717B1 (ko) 전해기능을 갖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변기
KR200250783Y1 (ko) 전해수 생성시스템
JP3605644B1 (ja) 洗剤槽装着型石灰軟化式硬水用洗濯機
WO2008032946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KR20020094226A (ko) 전해수 생성시스템
JP4590668B2 (ja) 水改質装置
KR200441983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장치
JP2004223309A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04223306A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769773B1 (ko) 석회 성분 제거 기능을 갖는 이온수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3373285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200462705Y1 (ko) 의료기기 소독용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JP4278491B2 (ja) 洗濯機
JP3584765B2 (ja) 殺菌装置及び殺菌装置を備えた浴槽水循環浄化装置
JP2003220296A (ja) 洗浄機器
KR20070075624A (ko) 산화전위수 생성장치
CN115490301B (zh) 一种过滤装置、自清洁方法及净水机
JPH04222688A (ja) 電解イオン水の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