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35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235Y1
KR200250235Y1 KR2020010020150U KR20010020150U KR200250235Y1 KR 200250235 Y1 KR200250235 Y1 KR 200250235Y1 KR 2020010020150 U KR2020010020150 U KR 2020010020150U KR 20010020150 U KR20010020150 U KR 20010020150U KR 200250235 Y1 KR200250235 Y1 KR 200250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angle control
hinge devic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KR2020010020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23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오크 발생부의 샤프트 끝단에 각도제어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축공에 각도제어대를 형성하여 토오크 발생부의 작동시 각도제어부가 각도제어대에 물리게 되어 각도제어가 가능하고 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여 힌지의 작동을 부드럽게 하며 토오크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힌지장치(10)는 일측에 축공이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축공(3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토오크 발생부(20)와; 상기 토오크 발생부(20) 외주에는 하우징(30)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50)과; 상기 토션 스프링(50) 외주면에 다수의 클립(40)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은 나사체결구(25a)가 형성된 고정편(31)과; 고정편(31) 타측에 축공(32)을 형성하되 이 축공(32) 끝부에 각도제어대(33)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토오크 발생부(20)는 일측에 복수개의 나사체결구(25)가 형성된 회전편(21)과; 회전편(21)에 일체화되어 있는 축부(22)와; 이 축부(22) 일측에 샤프트(23)를 형성하되 샤프트(23) 끝단에 각도제어대(33)에 의해 각도제어를 할 수 있는 각도제어부(24)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힌지장치{Hinge devices}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오크 발생부의 샤프트 끝단에 각도제어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축공에 각도제어대를 형성하여 작동시 각도제어부가 각도제어대에 물리게 되어 각도 제어가 가능하고 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여 힌지의 작동을 부드럽게 하며 토오크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힌지는 2개의 부품을 결합함에 있어서,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기계부품으로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장치(100)는 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300)이 형성되어지고 이 하우징(300) 측부에 토오크 발생부(200)가 설치되어 모니터 등의 회전체를 회전하게 되면 토오크 발생부(200)가 회동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진 것이다.
이때, 토오크 발생부(200)가 작동시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토오크가 발생하므로 각도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의 힌지장치(100)를 기계적인 가공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상승 및 작동시 토오크 편차가 크고 부드럽게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힌지장치의 토오크 발생부 샤프트 끝단부에 각도제어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축공내에 각도제어대를 형성하여 토오크 발생부의 회전시 각도제어대에 각도제어부가 걸리게 되어 각도제어가 가능하고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지며 토오크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일측에 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축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토오크 발생부와; 상기 토오크 발생부 외주에는 하우징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토션 스프링 외주면에 다수의 클립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나사체결구가 형성된 고정편과; 고정편 타측에 축공을 형성하되 이 축공 끝부에 각도제어대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토오크 발생부는 일측에 복수개의 나사체결구가 형성된 회전편과; 회전편에 일체화되어 있는 축부와; 이 축부 일측에 샤프트를 형성하되 샤프트 끝단에 각도제어대에 의해 각도제어를 할 수 있는 각도제어부가 형성된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종래 힌지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종래의 토오크 발생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힌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토오크 발생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도 7 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의 토션 스프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클립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장치 (20) : 토오크 발생부
(21) : 회전편 (22) : 축부
(23) : 샤프트 (24) : 각도제어부
(25,25a) : 나사체결구 (30) : 하우징
(31) : 고정편 (32) : 축공
(33) : 각도제어대 (40) : 클립
(41) : 슬롯 (50) : 토션 스프링
(51) : 스프링 부재 (52) : 돌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고안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 힌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토오크 발생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하우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도 7 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9 는 본 고안의 클립 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클립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10)는 모니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삽입되어 모니터 개폐시 회전이 가능한 토오크 발생부(20)와, 상기 토오크 발생부(20) 외주에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토오크 발생부(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50)과, 상기 토션 스프링(50)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40)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은 복수의 나사체결구(25a)가 형성된 고정편(31)이 형성되고 고정편(31) 타측에 축공(32)이 형성되어지되 이 축공(32) 끝부에 도 8 에서와 같이 각도제어대(3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진다.
상기, 토오크 발생부(20)는 일측에 회전편(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샤프트(23)가 형성되며 회전편(21)과 샤프트(23) 사이에 축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편(21)에는 복수의 나사체결구(25)가 형성되어 이 나사체결구(25)를 통해 체결되는 나사가 노트북 컴퓨터의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23) 끝단부에는 토오크 발생부(20)가 회전시 축공(32)내에 삽입되어 각도제어대(33)에 의해 각도제어가 가능하게 각도제어부(24)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토오크 발생부(20)의 샤프트(23) 외주면에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50)이 형성되고 이 토션 스프링(50) 외주에는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클립(40)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토션 스프링(50)은 끝단에 돌출부(52)가 형성되는 대략 반원통형의 한쌍의 스프링부재(51)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40)은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슬롯(41)을 구비하며 원주방향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은 모니터를 개폐시 모니터의 회전으로 토오크 발생부(20)가 회전하게 되고 토오크 발생부(20)의 샤프트(23) 외주에 끼워진 토션 스프링(50)이 하우징(30)에 대해서 토오크 발생부(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3)가 하우징(30)의 축공(32)에 삽입되고 각도제어부(24)는 축공(32) 끝부에 삽입되어 토오크 발생부(20)의 회전으로 샤프트(23)가 회전하게 되고 샤프트(23)가 회전하면서 각도제어대(33)에 각도제어부(24)가 물리게 되어 임의대로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힌지장치(10)를 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여 종래의 힌지장치보다 제조원가를 50%정도 절감할 수 있으며 작동시 토오크 편차가 적고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1만회 신뢰성시 토오크의 감소를 5% 이내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힌지장치를 아연 다이캐스팅으로 제조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부드럽고 토오크의 편차가 적으며 회전체에 의해 작동되는 토오크 발생부의 샤프트 끝단에 각도제어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축공내에 각도제어대를 형성하여 토오크 발생부의 작동시 각도제어부가 회동하면서 각도제어대에 걸리게 되어 각도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컴퓨터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10)는 모니터의 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삽입되어 모니터 개폐시 회전이 가능한 토오크 발생부(20)와, 상기 토오크 발생부(20) 외주에는 하우징(30)에 대하여 토오크 발생부(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50)과, 상기 토션 스프링(50)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40)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은 복수의 나사체결구(25a)가 형성된 고정편(31)이 형성되고 고정편(31) 타측에 축공(32)이 형성되어지되 이 축공(32) 끝부에 각도제어대(3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발생부(20)는 일측에 회전편(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샤프트(23)가 형성되며 회전편(21)과 샤프트(23) 사이에 축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샤프트(23) 끝단부에는 축공(32)내에 삽입되어 토오크 발생부(20)가회전시 각도제어대(33)에 걸려 각도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각도제어부(24)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50)은 끝단에 돌출부(52)가 형성되는 대략 반원통형의 한쌍의 스프링부재(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10020150U 2001-07-04 2001-07-04 힌지장치 KR200250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50U KR200250235Y1 (ko) 2001-07-04 2001-07-04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50U KR200250235Y1 (ko) 2001-07-04 2001-07-04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235Y1 true KR200250235Y1 (ko) 2001-11-16

Family

ID=7308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50U KR200250235Y1 (ko) 2001-07-04 2001-07-04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2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840A (ko) * 2002-08-27 2004-03-04 이미지퀘스트(주) Lcd 모니터 내부의 회전지지체 제조방법
KR100451803B1 (ko) * 2001-12-27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03B1 (ko) * 2001-12-27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KR20040018840A (ko) * 2002-08-27 2004-03-04 이미지퀘스트(주) Lcd 모니터 내부의 회전지지체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081B2 (en) Pop-up friction hinge having multiple levels of torque
US20170275935A1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JPH07113416A (ja) 可動体の開閉抑制装置
US20050235459A1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JPH04203517A (ja) 軸の枢着装置
JPH10299760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242148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US20070283534A1 (en) Hinge
US20060213030A1 (en) Hinge
WO2011058615A1 (ja) ヒンジ装置
RU2339163C2 (ru) Шарнирный узел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шарнирным узлом
KR200250235Y1 (ko) 힌지장치
US20100000049A1 (en) Interference assembly, hinge utilizing the same, and collapsible device utilizing the hinge
JP2001065543A (ja) 開閉トルク変動可能なチルトヒンジ
JP2002227824A (ja) スナップフィットヒンジ
US11675396B2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H10294572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JPH06330668A (ja) ヒンジ
JPH0936563A (ja) 電子機器の扉開閉機構
KR200328910Y1 (ko) 스프링 경첩
JPH0658231U (ja) ヒンジ機構
JPH0631522Y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用周辺機器の蓋回転角度調整機構
JP3236733U (ja) ロック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TW20101526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modul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