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741Y1 -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741Y1
KR200249741Y1 KR2020010022529U KR20010022529U KR200249741Y1 KR 200249741 Y1 KR200249741 Y1 KR 200249741Y1 KR 2020010022529 U KR2020010022529 U KR 2020010022529U KR 20010022529 U KR20010022529 U KR 20010022529U KR 200249741 Y1 KR200249741 Y1 KR 200249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insertion portion
fixing
outer periphera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20010022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741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름망 테두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는 철사를 엮어 이루어진 망체; 상기 망체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의 내측면을 고정시키는 내측고정부로 이루어진 테두리부재로 구성된 조리용 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는 상하 외주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2)의 내측고정부(33)는 상기 삽입부(32)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체(20)의 내측면을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부(32)의 상하 외주면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된 상기 망체(20)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리용 거름망에 의하면, 망체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부재가 동심원을 유지하고, 테두리부재의 삽입부 및 삽입홈이 수평을 유지하여 제작함으로써 망체의 외측 둘레부와 테두리부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스폿용접이 용이하게 되고, 테두리부로부터 망체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JOINTING STRUCTURE THE BRIM THROUGHT NET}
본 고안은 조리용 거름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체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부재가 동심원을 유지하고, 테두리부재의 삽입부 및 삽입홈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됨으로써 망체의 외측 둘레부와 테두리부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게 되어 스폿용접이 용이하게 되고, 테두리부로부터 망체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름망은 음식물의 조리후, 예컨대 채소 등을 살짝 되친후 건지거나, 튀김을 튀긴후 안전하게 건져 수분이나 기름 등이 쉽게 배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주방 용기(容器)로서, 이러한 거름망은 통상적으로 철사 등을 적정 간격으로 엮어서 만든 망체와 이 망체로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 및 테두리부재에 체결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거름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다른 타입 거름망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걸림망에 다른 타입 손잡이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100)은 망체(200)와 테두리부재(300) 및 손잡이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200)는 철사 등으로 가로 및 세로를 유지하여 등간격으로 제작되어 물 등이 쉽게 배출된다.
상기 테두리부재(300)는 동심원을 유지하여 제작되고, 만곡지게 말려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가 고정된다.
상기 손잡이부재(400)는 만곡지게 말린 테두리부재(30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410)와, 연결부(410)의 타단에 삽입되는 손잡이(420)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키는 테두리부재(500)는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511)이 연장 형성된 삽입부(510)와, 삽입부(510)의 내측에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망체(200)의 내측면을 고정시키는 내측고정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510)는 수평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일률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양측에 손잡이부재(600)가 리벳(700)으로써 체결 고정 된다.
즉, 테두리부재(500)의 삽입부(510) 양측에 리벳공(512)을 각각 천공하고, 이 리벳공(512)과 대응되게 손잡이부재(600) 일면에 통공(610)을 천공하여 이들을 통하여 리벳(700)을 고정시켜 손잡이부재(600)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조의 테두리부재(500)에 다른 타입의 손잡이부재(800)를 체결 고정한 것으로, 이는 테두리부(500)의 삽입부(510) 일측에 리벳공(513)을 천공하고, 이 리벳공(513)에 대응되게 손잡이부재(800)에 통공(810)을 천공하여 이들을 통하여 리벳(700)을 고정시켜 손잡이부재(800)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거름망의 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동심원을 유지하여 테두리부재(300)를 제작한 다음, 이 테두리부재(300)의 동심원상에 철사 등을 가로 및 세로로 등간격으로 엮어 제작된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를 말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동심원상의 테두리부재(300) 내부에망체(200)의 외측 둘레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두리부재(300)의 내부로 손잡이부재(400)의 연결부재(410)를 삽입시켜 손잡이부재(400)를 고정시킨 다음,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삽입된 손잡이(420)로써 거름망(100)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동심원을 유지하여 테두리부재(500)를 제작한 다음, 이 테두리부재(500)의 삽입부(510)에 형성된 삽입홈(511)에 철사 등으로 가로 및 세로를 유지하여 등간격으로 제작된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를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동심원상의 테두리부재(500)의 내부에 망체(200)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두리부재(500)의 삽입부(510) 양측에 천공된 리벳공(512)과 손잡이부재(600)의 통공(610)을 일치시켜 이들을 통하여 리벳(700)을 고정시켜 손잡이부재(600)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조의 테두리부재(500)에 다른 타입의 손잡이부재(800)를 체결 고정한 것으로, 이는 테두리부(500)의 삽입부(510) 일측에 리벳공(513)을 천공하고, 이 리벳공(513)에 대응되게 손잡이부재(800)에 통공(810)을 천공하여 이들을 통하여 리벳(700)을 고정시켜 손잡이부재(800)를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거름망은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동심원의 테두리부재에 망체의 외측 둘레부를 말아 고정시킴으로써 테두리부로부터 망체가 쉽게 이탈되었으며,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테두리부재의 삽입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망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삽입부 내측의 내측고정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망체의 외측둘레부와 내측부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망체의 이탈이 쉽게 되었으며, 또한 테두리부재에 리벳의 체결력으로써 손잡이부재를 체결 고정시키게 되어 작업 공정이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조리용 거름망의 테두리부재로부터 망체의 이탈이 방지되고, 손잡이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는 철사를 엮어 이루어진 망체; 상기 망체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의 내측면을 고정시키는 내측고정부로 이루어진 테두리부재로 구성된 조리용 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의 삽입부는 상하 외주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내측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망체의 내측면을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부의 상하 외주면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망체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타입 거름망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걸림망에 다른 타입의 손잡이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망체 30 : 테두리부재
31 : 삽입홈 32 : 삽입부
33 : 내측고정부 40 : 손잡이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름망(10)은 망체(20)와 테두리부재(30) 및 손잡이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20)는 철사 등으로 가로 및 세로를 유지하여 등간격으로 제작되어 물 등이 쉽게 배출된다.
상기 테두리부재(30)는 망체(20)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동심원으로 제작되고, 망체(20)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31)이 형성된 삽입부(32)와, 삽입부(32)의 내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망체(20)의 내측면을 고정시키는 내측고정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32)는 상하 외주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되고, 그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홈(31)이 형성된다. 즉, 삽입부(32)는 'ㄷ'자 형상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측에 내측고정부(33)가 수직을 유지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망체(20)의 내측면을 안정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를 스폿용접으로 용착하여 망체(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테두리부재(3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손잡이부재(40)를 일치시킨 다음, 이를 스폿용접으로 고정시켜 손잡이부재(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망체(20)의 외측둘레부와 손잡이부재(40) 및 테두리부재(30)를 함께 스폿용접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타입의 손잡이부재(50)를 테두리부재(30)의 일측에 스폿용접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작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동심원을 유지하여 테두리부재(30)를 제작한 다음, 이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에 형성된 삽입홈(31)에 철사를 가로 및 세로로 등간격으로 엮어 제작된 망체(20)의 외측 둘레부를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동심원상의 테두리부재(30)의 내부에 망체(20)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되고, 삽입부(32)의 내측에 일체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내측고정부(33)에 의해 망체(20)의 내측부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 상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스폿용접을 하게 된다. 그러면, 삽입부(32)의 삽입홈(31) 내부에 망체(20)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된다.
이때,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 상하 외주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삽입홈(31)이 수평으로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부재(30)의 외측 둘레부와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내측고정부(33)가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망체(20) 내측부를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테두리부재(30)로부터 망체(20)의 이탈이 방지되고, 이와 동시에 스폿용접이 용이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 테두리부재(30)의 하부 외주면 양측에 손잡이부재(40)를 일치시킨 다음, 이를 스폿용접으로 고정시켜 손잡이부재(40)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다른 타입의 손잡이부재(50)를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 하부 외주면에 일치시킨 다음, 스폿용접으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조리용 거름망에 의하면, 망체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부재가 동심원을 유지하고, 테두리부재의 삽입부 및 삽입홈이 수평을 유지하여 제작함으로써 망체의 외측 둘레부와 테두리부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삽입부 내측에 내측고정부를 수직으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망체의 내측부의 고정이 용이하여 테두리부로부터 망체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스폿용접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가는 철사를 엮어 이루어진 망체; 상기 망체의 외측 둘레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의 내측면을 고정시키는 내측고정부로 이루어진 테두리부재로 구성된 조리용 거름망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30)의 삽입부(32)는 상하 외주면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삽입홈(3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2)의 내측고정부(33)는 상기 삽입부(32)와 수직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망체(20)의 내측면을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부(32)의 상하 외주면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삽입홈(31)에 삽입된 상기 망체(20)의 외측 둘레부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20)의 외측둘레부를 상기 손잡이부재(40)와 함께 상기 테두리부재(30)에 스폿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KR2020010022529U 2001-07-25 2001-07-25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KR200249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29U KR200249741Y1 (ko) 2001-07-25 2001-07-25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529U KR200249741Y1 (ko) 2001-07-25 2001-07-25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741Y1 true KR200249741Y1 (ko) 2001-11-22

Family

ID=7310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529U KR200249741Y1 (ko) 2001-07-25 2001-07-25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7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876Y1 (ko) * 2009-04-10 2012-08-10 전순희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
KR102097985B1 (ko) * 2019-02-20 2020-04-07 최영근 깔때기 체결기능을 구비한 거름망
KR200492972Y1 (ko) * 2020-07-01 2021-01-08 김재근 항균 가열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876Y1 (ko) * 2009-04-10 2012-08-10 전순희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
KR102097985B1 (ko) * 2019-02-20 2020-04-07 최영근 깔때기 체결기능을 구비한 거름망
KR200492972Y1 (ko) * 2020-07-01 2021-01-08 김재근 항균 가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0563A (en) Shaped sieve body
CA1279495C (en) Lid for cooking utensils
US5992306A (en) Structure of a hand holding net basket for frying
KR200249741Y1 (ko) 거름망의 테두리 결합구조
US6029584A (en) Furniture assembly
JP7145489B2 (ja) 組立式コンロ
EP2074921A2 (en) A screen filter for a liquid-condu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hwashing machine
EP1252849A1 (en) Reversible cutting board and colander combination
USD466369S1 (en) Curved insert for a barbecue grill
KR200197650Y1 (ko) 조리용 뜰채
US2795335A (en) Basket
JP2001149240A (ja) 骨切り用まな板
KR200207400Y1 (ko)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KR200362601Y1 (ko) 해머 결합형 푸드쵸퍼
CN212691892U (zh) 防螺钉脱落卡环式结构及油烟机
CN213605885U (zh) 上盖及烹饪器具
JP3120070U (ja) まな板およびまな板の載置台
KR200313912Y1 (ko) 튀김뜰체
CN217743979U (zh) 烹饪器具
KR100684652B1 (ko) 구이판
KR200243000Y1 (ko) 소쿠리의 보강구조
KR102013725B1 (ko) 배수구 조립체
KR200199908Y1 (ko) 주방용품의 열전도판구조
JP3118211U (ja) 煮物用落し蓋
KR200377903Y1 (ko) 싱크대 바스켓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