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00Y1 -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00Y1
KR200207400Y1 KR2019980025720U KR19980025720U KR200207400Y1 KR 200207400 Y1 KR200207400 Y1 KR 200207400Y1 KR 2019980025720 U KR2019980025720 U KR 2019980025720U KR 19980025720 U KR19980025720 U KR 19980025720U KR 200207400 Y1 KR200207400 Y1 KR 200207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unting hole
attachment structure
rivet
protru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892U (ko
Inventor
천병열
Original Assignee
천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병열 filed Critical 천병열
Priority to KR2019980025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0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00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구(110) 대향면에 소정 치수의 돌출벽(126)이 형성된 손잡이(120)를 조리기구(110) 측면에 부착하고 돌출벽(126)의 외주에는 조리기구(110)와 손잡이(120) 결합부의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커버(130)를 끼우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리기구(110)의 양측 대칭되는 복수개 소정 개소에 소정의 각을 갖는 리벳팅용 장착공(112)을 형성하고, 중심에 상기 장착공(112)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장착공(132)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철재 보강부재(130)를 손잡이(120)의 돌출벽(126) 중심부에 회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하고, 커버(140)의 내주에는 리벳(150)이 관통되도록 함과 아울러 보강부재(130)의 냄비측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42)(144)(148)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다수개의 장착공(112)(132)의 내주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대폭 감소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손잡이가 유동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본 고안은 냄비와 후라이팬등의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착 공정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손잡이의 부착 상태가 열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나 후라이팬등의 철제 조리기구에는 사용자가 뜨거운 조리기구를 들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제 손잡이를 부착하는데, 그 부착 구조를 냄비를 일 예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종래의 냄비의 손잡이 부착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냄비(10)의 양측 외주에는 철제 연결부재(20)를 리벳팅하여 부착한 후, 상기 연결부재(20)에는 손잡이(30)를 나사(40)를 사용하여 체결하되, 이 과정에서 연결부재(20)와 손잡이(30)의 결합부 외주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위하여 양종단이 손잡이(30)와 냄비(10)의 외주와 각각 접하는 커버(50)를 커버링하는데, 이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상기 냄비(10)와 연결부재(20)의 부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냄비(10)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리벳팅용 장착공(12a)(12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중심부에 소정의 장착공(24)이 형성되고 양측종단에는 냄비(10)의 장착공(12a)(12b)에 대응되는 다른 장착공(22a)(22b)이 형성된 철편을 중심부는 냄비(10)의 외향으로 돌출되도록하고 양측종단은 각 장착공(22a)(22b)이 냄비(10)의 장착공(12a)(12b)과 동심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한 것으로써, 상기 냄비(10)의 복수개 장착공(12a)(12b)과 연결부재(20)의 복수개 장착공(22a)(22b)이 동심상이 되도록 위치시킨 후 리벳(60a)(60b)을 상기 대응되는 1쌍의 장착공(12a)(22a)과 다른 장착공(12b)(22b)에 각각 삽입하여 리벳팅함으로써, 냄비(10)에 연결부재(20)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와 손잡이(30)의 부착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상기 손잡이(30)의 연결부재(20)측면에는 연결부재(20)의 중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2)을 정의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50)의 내주와 그 외주가 접하도록 소정 형상의 돌출부(34)를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20)의 중심부가 삽입홈(32)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재(20)의 장착공(24)과 대응되는 손잡이(30)의 소정 개소에는 내주에 나사홈이 형성된 다른 장착공(36)을 형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30)의 장착공(36)을 상기 연결부재(20)의 장착공(24)과 동심상이 되도록 한 후 나사(40)를 복수개의 장착공(24)(36) 내주로 나합하여 손잡이(30)를 연결부재(20)에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구조는 리벳팅 과정과 나사체결과정의 이중 공정이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나사의 체결상태가 열화되어 손잡이가 회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냄비와 후라이팬등의 조리기구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공정이 대폭 간소화되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의 부착 상태가 열화되지 않도록 하여 손잡이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종래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b는 종래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냄비 112, 132, 132a, 146 : 장착공
120 : 손잡이 122, 122a : 고정공
126, 126a : 돌출벽 130 : 보강부재
140 : 커버 142, 144 : 돌기
148 : 차단벽 150 : 리벳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조리기구(110) 대향면에 소정 치수의 돌출벽(126)이 형성된 손잡이(120)를 조리기구(110)에 부착하되, 상기 돌출벽(126)의 외주로는 조리기구(110)와 손잡이(120) 결합부의 외관을 위하여 커버(130)를 끼우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110)의 양측 대칭되는 복수개 소정 개소에는 소정의 각을 갖는 리벳(150)이 삽입되는 리벳(150)과 동일한 각의 장착공(112)을 형성하고, 중심에 상기 장착공(112)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장착공(132)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철재 보강부재(130)를 상기 손잡이(120)의 돌출벽(126) 중심부에 회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하고, 내주에 상기 보강부재(130)의 냄비측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리벳(150)이 관통되도록 소정 형상의 고정부재(142)(144)(148)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140)를 상기 돌출벽(126)의 외주로 끼운 후, 상기 다수개의 장착공(112)(132)의 내주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보강부재(130)는 손잡이(12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는 데 있고,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보강부재(130)를 커버(140)에 일체로 형성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동일한 부분의 부호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하게 나타낸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냄비를 사용함. 이하 냄비)의 손잡이 부착 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냄비(110)의 양측 대칭되는 복수개 소정 개소에 소정의 각(사각 혹은 육각)을 갖는 리벳팅용 장착공(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손잡이(120)의 하측 중심부에는 소정각(상기 보강부재가 손잡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정의 각,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으로 한다)의 고정공(122)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20)의 냄비측 고정공(122) 외측에는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고정공(122)보다 다소 큰 삽입홈(124)이 형성되도록 돌출벽(126)을 돌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고정공(122)의 내주에는 상기 장착공(112)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장착공(132)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22)의 내주로 긴밀하게 삽입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된 철제 보강부재(130)를 삽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0)를 고정공(122)에 삽입한 후, 상기 돌출벽(126)의 외주에는 외관을 위하여 양종단이 손잡이(120)와 냄비(110)의 외향면과 접하는 커버(140)를 체결하는데, 상기 커버(140)에는 상기 고정공(122)의 내주로 삽입되는 보강부재(130)가 리벳팅과정에서 냄비(110)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복수개의 고정부재(이하 돌기라 함; 142, 144)를 리벳(1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돌출벽(126)의 삽입홈(124)으로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140)를 끼운 후, 상기 냄비(110)의 장착공(112)과 커버(140)의 돌기(142)(144)사이 및 보강부재(130)의 장착공(132)의 내주로 장착공(122)(132)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함으로써 손잡이(120)를 냄비(110)에 체결한다.
그리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의 손잡이 부착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손잡이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우선, 손잡이(120)의 성형과정에서 손잡이(120)의 하측 중심부에는 중심에는 내주에 냄비(110)의 장착공(112)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장착공(132)이 형성된 보강부재(130)를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하되 상기 보강부재(130)는 손잡이(120)를 냄비(110)에 체결할 경우 상기 냄비(110)의 외주면과 닿을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손잡이(120)와 냄비(110)의 결합부 외주로 끼워지는 커버(140)는 그 양단이 냄비(110)와 손잡이(120)와 각각 접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돌출벽(126a)의 외주에 커버(140)를 끼운 후, 상기 냄비(110)의 장착공(112)과 보강부재(130a)의 장착공(132a) 내주로 장착공(112)(132a)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함으로써 손잡이(120)를 냄비(110)에 체결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우선, 손잡이(120)의 하측 중심부에는 중심에 사각형의 고정공(122a)이 관통 형성된 소정 치수의 돌출벽(126a)을 돌출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벽(126a)의 외주로 끼워지는 커버(140)의 내주에는 돌출벽(126a)의 외주로 끼워졌을 경우 돌출벽(126a)의 외주와 접하도록 차단벽(148)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148)의 중심에는 고정공(122a)의 내주로 삽입되어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공(122a)에 대응되는 형상의 보강부재(130b)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차단벽(148)과 보강부재(130b)의 중심에는 상기 냄비(110)의 장착공(112)과 동심상의 다른 장착공(132b)을 관통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커버(140)를 돌출벽(126a)의 외향면과 커버(140)의 차단벽(148)이 접하도록 끼운 후, 상기 냄비(110)의 장착공(112)과 보강부재(130b)의 장착공(132b)의 내주로 장착공(112)(132b)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함으로써 손잡이(120)를 냄비(110)에 체결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부재(130)를 손잡이(120)에 유동되지 않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도 2a내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130)와 고정공(122)(122a)을 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보강부재(130)의 외주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고정공(122)(122a) 내주로 강제끼움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한번의 리벳팅 과정으로 손잡이를 냄비에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과정이 간단하게 되고, 리벳과 장착공이 각져있고 장착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사각형으로 각져있으므로 사용 중에 손잡이가 유동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한번의 리벳팅 과정으로 손잡이를 냄비에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과정이 간단하게 되고, 리벳과 장착공이 각져있고 장착공이 형성된 보강부재가 사각형으로 각져있으므로 사용 중에 손잡이가 유동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리기구(110) 대향면에 돌출벽(126)이 형성된 손잡이(120)를 조리기구(110)에 부착하되, 상기 조리기구(110)와 손잡이(120) 사이에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130)를 유동되지 않도록 끼우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110)의 양측 대칭되는 복수개 소정 개소에는 소정의 각을 갖는 리벳(150)이 삽입되는 리벳(150)과 동일한 각의 장착공(112)을 형성하고, 중심에 상기 장착공(112)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장착공(132)이 형성된 소정 형상의 철제 보강부재(130)를 상기 손잡이(120)의 돌출벽(126) 중심부에 회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하고, 내주에 상기 보강부재(130)의 냄비측 이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리벳(150)이 관통되도록 소정 형상의 고정부재(142)(144)(148)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140)를 상기 돌출벽(126)의 외주로 끼운 후, 상기 다수개의 장착공(112)(132) 내주로 리벳(150)을 삽입하여 리벳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0)는 손잡이(120)에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30)는 철제 커버(14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KR2019980025720U 1998-12-15 1998-12-15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KR200207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20U KR200207400Y1 (ko) 1998-12-15 1998-12-15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720U KR200207400Y1 (ko) 1998-12-15 1998-12-15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92U KR19990011892U (ko) 1999-03-25
KR200207400Y1 true KR200207400Y1 (ko) 2001-01-15

Family

ID=6950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720U KR200207400Y1 (ko) 1998-12-15 1998-12-15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89B1 (ko) * 2011-06-20 2013-10-11 정광순 이중조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5412A1 (en) * 2021-02-01 2022-08-04 Unified Brands, Inc. Molded collection bas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89B1 (ko) * 2011-06-20 2013-10-11 정광순 이중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892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8637A1 (en) Barbecue grill and support frame assembly
KR101170831B1 (ko) 가림판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싱크대 다리
US5595108A (en) Fast assembled oil-collecting through and clip ring structure
US4965907A (en) Utensil having a detachable handle member
KR200207400Y1 (ko) 조리기구의 손잡이 부착 구조
US5170695A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s
KR20080060259A (ko) 손잡이가 있는 요리 용기
GB2322073A (en) Cover for domestic appliance
CN211155426U (zh) 手柄组件和锅具
CN216494900U (zh) 一种炒菜机的锅盖结构及炒菜机
CN213721590U (zh) 把手组件、锅具和烹饪器具
KR920003235Y1 (ko) 가스레인지의 측면장식판 취부구조
JP3596030B2 (ja) 扉装置
CN213464774U (zh) 锅具的烹饪配件、用于烹饪器具的锅具和烹饪器具
CN213488231U (zh) 多功能食物夹
CN212465777U (zh) 炊具
KR100395943B1 (ko) 전자레인지 컨트롤패널의 체결 구조
CN215777484U (zh) 烹饪器具
CN218942993U (zh) 后加热组件和烹饪器具
CN216364834U (zh) 把手和烹饪器具
KR102294663B1 (ko) 조리 기구용 잠금구 및 조리 기구
KR100690186B1 (ko) 조리 용기
KR0151242B1 (ko) 배열 칸막이의 스터드와 패널의 연결구조
KR0130236Y1 (ko) 전자유도가열밥솥의 뚜껑결합구조
KR200163611Y1 (ko) 주방가구용 마감재의 설치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