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725B1 - 배수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725B1
KR102013725B1 KR1020180062938A KR20180062938A KR102013725B1 KR 102013725 B1 KR102013725 B1 KR 102013725B1 KR 1020180062938 A KR1020180062938 A KR 1020180062938A KR 20180062938 A KR20180062938 A KR 20180062938A KR 102013725 B1 KR102013725 B1 KR 10201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member
inner space
couple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홍 filed Critical 김수홍
Priority to KR102018006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판이 결합된 지지부재를 본체에 결합시 상부를 통해 단순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밀착부를 절개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삽입시 밀착부는 본체의 상부에 비해 좁도록 구성된 하부에 억지끼움되면서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밀착부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내부공간 내주면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재가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구 조립체{Drain assembly}
본 발명은 배수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타공판이 결합된 지지부재를 본체에 결합시 상부를 통해 단순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실에서는 물 또는 오일의 선택적인 배출을 위해 배수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수구와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의 배수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 설치되고 물이 드레인되는 배수구(1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지지바(30)의 양단부가 상기 배수구(10)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0)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21)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20)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20)의 중앙을 지지바(30)의 중앙에 설치된 고정볼트(40)에 의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다공판(20)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지지바(30)의 경우 양 끝 상부와 하부를 용접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용접에 따른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출원인은 용접 작업없이 단순 조립으로 구성된 배수구 조립체를 출원하였는 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배수구 조립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40)와 지지부재(4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배수구 조립체는 용접 작업없이 조립으로 구성되어 제조에 따른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지지부재(40)를 본체(20')의 상부를 통해 조립시 지지부재(40)의 절곡부(44)가 본체(20')의 내주면과 맞닿아 삽입되면서 지지부재(40)가 수평으로 조립되지 아니하고 삐둘리게 조립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985호(2008년 05월 09일 등록)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특허문헌 2 : 국내특허 출원번호 제10-2018-0050624호(2018.05.02 출원) 배수구 조립체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타공판이 결합된 지지부재를 본체에 결합시 상부를 통해 단순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의 밀착부를 절개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삽입시 밀착부는 본체의 상부에 비해 좁도록 구성된 하부에 억지끼움되면서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밀착부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내부공간 내주면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재가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된 타공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지지부재(30)는 상부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11)가 형성된 원통체(31)와; 상기 원통체(3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밀착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상기 밀착부(32)는 설정된 간격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상기 밀착부(32)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공(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상기 본체(20)는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는 상기 본체(20)의 걸림턱(2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 의하면, 타공판이 결합된 지지부재를 본체에 결합시 상부를 통해 단순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밀착부를 절개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삽입시 밀착부는 본체의 상부에 비해 좁도록 구성된 하부에 억지끼움되면서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밀착부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내부공간 내주면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재가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1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30)와, 지지부재(3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된 타공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다.
지지부재(30)는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11)가 형성된 원통체(31)와, 원통체(3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밀착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밀착부(32)는 설정된 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물을 배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공(321)이 형성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의 밀착부(32)를 절개함으로써 지지부재(30)가 본체(20)의 상측을 통해 삽입시 밀착부(32)는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지지부재(30)가 본체(20)의 상측을 통해 내부공간(21)에 삽입되면 밀착부(32)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20)의 내부공간(21) 내주면과 맞닿게 되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타공판(40)은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되고, 지지부재(30)의 원통체(31)에 형성된 지지바(311)의 중심측에 체결부재(1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이와 같은 타공판(40)은 배수공(41)을 통해 물이 배수되고, 이물질 등이 지지부재(30)에 끼일 경우 체결부재(100)를 풀어 이물질을 제거 후 지지부재(30)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 의하면, 타공판이 결합된 지지부재를 본체에 결합시 상부를 통해 단순 끼움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밀착부를 절개함으로써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삽입시 밀착부는 본체의 상부에 비해 좁도록 구성된 하부에 억지끼움되면서 내측으로 접혀졌다가 지지부재가 본체의 상측을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밀착부는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내부공간 내주면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재가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에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체(20)는 상부의 직경이 하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내부공간(21)을 가지며,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턱(22)을 갖는다.
본체(20)에 걸림턱(22)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40)는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지지부재(30)의 하부는 본체(20)의 걸림턱(22)에 안착되기 때문에 지지부재(30)는 더욱 안정적으로 본체(20)에 결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조립체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수구 조립체
20 : 본체 21 : 내부공간
22 : 걸림턱 30 : 지지부재
31 : 원통체 311 : 지지바
32 : 밀착부

Claims (5)

  1.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측에 위치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상측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배수공(41)이 형성된 타공판(40)을 포함하는 배수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상부 중심측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바(311)가 형성된 원통체(31)와; 상기 원통체(3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에 맞닿아 밀착되는 밀착부(32)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32)는 설정된 간격으로 절개되고, 물을 배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배수공(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내부공간(21)의 상측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턱(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부는 상기 본체(20)의 걸림턱(2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조립체.
KR1020180062938A 2018-05-31 2018-05-31 배수구 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201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38A KR102013725B1 (ko) 2018-05-31 2018-05-31 배수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938A KR102013725B1 (ko) 2018-05-31 2018-05-31 배수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725B1 true KR102013725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93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3725B1 (ko) 2018-05-31 2018-05-31 배수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08A (ko) * 2002-08-28 2004-03-06 주식회사 태평양금속 모터용 마그네트 고정구, 그 고정구를 이용한 마그네트고정방법 및 마그네트 고정장치
US20040173136A1 (en) * 2003-03-04 2004-09-09 Rivas Frank J. Marine deck drain repair/replacement assembly
KR200439985Y1 (ko) 2007-02-21 2008-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20170020018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장치
KR20180050624A (ko) 2018-04-30 2018-05-15 배용태 식물 추출물로부터 엽록소 또는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08A (ko) * 2002-08-28 2004-03-06 주식회사 태평양금속 모터용 마그네트 고정구, 그 고정구를 이용한 마그네트고정방법 및 마그네트 고정장치
US20040173136A1 (en) * 2003-03-04 2004-09-09 Rivas Frank J. Marine deck drain repair/replacement assembly
KR200439985Y1 (ko) 2007-02-21 2008-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20170020018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장치
KR20180050624A (ko) 2018-04-30 2018-05-15 배용태 식물 추출물로부터 엽록소 또는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2721A1 (en) Sink stopper assembly
RU99124770A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одержащая отдель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элементы
KR20120127456A (ko) 암거 필터 블록 고정 장치 및 방법
KR102013725B1 (ko) 배수구 조립체
KR200439985Y1 (ko)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102013727B1 (ko) 오일용 배수구 조립체
KR102040487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이 그레이팅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조립체
EP2074921B1 (en) A screen filter for a liquid-condu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hwashing machine
KR100824593B1 (ko) 여과기 어셈블리
KR102013723B1 (ko) 배수구 조립체
JP2005248945A (ja) エンジンフィルタ又はトランスミッションフィルタにおけるフィルタ媒体の支持装置又は方法
US4301557A (en) Nonclogging drain structure
JP2004132317A (ja) オイルパン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JPH09105556A (ja) 貯湯式電気温水器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WO2005079949A1 (en) Drain valve insert
JPH0639768Y2 (ja) 水中ポンプ用ストレーナ
JP5189538B2 (ja)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屋上の排気管貫通部防水構造
JPS646127Y2 (ko)
KR200258876Y1 (ko) 맨홀뚜껑과 프레임의 고정구조
KR200472463Y1 (ko) 선박
KR0136058Y1 (ko) 세탁기 배수호스
JP4274670B2 (ja) オイルストレーナ
JPH09195349A (ja) 排水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