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00Y1 -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00Y1
KR200249500Y1 KR2020010019049U KR20010019049U KR200249500Y1 KR 200249500 Y1 KR200249500 Y1 KR 200249500Y1 KR 2020010019049 U KR2020010019049 U KR 2020010019049U KR 20010019049 U KR20010019049 U KR 20010019049U KR 200249500 Y1 KR200249500 Y1 KR 200249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trusion
extension pipe
fixing
insertion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호
임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9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00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의 연결구조는, 일부가 개방되고 중앙부와 개방단(42) 사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41)를 갖는 링커넥터(40)와, 고정돌기(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20)을 가지며 그 내부에 링커넥터(40)가 삽입되는 제 1 연장관(20)과, 고정돌기(41) 및 삽입공(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31)을 가지며 그 내부에 제 1 연장관(20)이 삽입되는 제 2 연장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악세서리들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Accessory connecting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주로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흡입구 또는 호스 등의 악세서리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세서리 상호 간의 연결을 위한 링커넥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들은 사용자가 청소기의 수납부피를 줄여 용이하게 비치할 수 있도록 결합/분리되는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악세서리의 연결을 위해 특히 구성이 단순하여 비교적 조립이 간편한 링커넥터(Ring Connector)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는, 일부가 개방되어 그 개방부 양단에 개방단(12)이 형성되고 외면 중앙부에 고정돌기(11)가 형성된 링커넥터(10)와, 고정돌기(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링커넥터(10)가 삽입ㆍ고정되는 제 1연장관(20)과, 고정돌기(11) 및 삽입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제 1연장관(20)이 삽입ㆍ고정되는 제 2연장관(30)으로 구성된다. 링커넥터(1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의하면, 고정돌기(11)가 링커넥터(10) 외주면의 중앙부에 형성됨으로써, 제 1 연장관(20)과 제 2 연장관(30)의 조립을 위하여 번거로운 조립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는 링커넥터(10)의 양 끝단을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여 양 개방단(12) 사이의 폭을 줄인 후, 개방단(12)이 제 1 연장관(20) 내부를 향하도록 링커넥터(10)를 약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제 1 연장관(20)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고정돌기(11)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연장관(20) 상단에 걸리게 되므로, 링커넥터(10)는 개방단(12) 쪽의 일부분만이 제 1 연장관(20) 내에 삽입되게 된다.
그 후, 작업자는 제 1연장관(20) 상단에 걸려 있는 고정돌기(11)를 제 1 연장관(20)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고정돌기(11)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화살표 'C' 방향으로 약간 밀어 넣는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링커넥터(10)의 상단을 화살표 'C' 방향으로 더 밀어 넣음으로써 고정돌기(11)가 삽입공(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3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비로서 링커넥터(10)가, 도 1의 상태와 같이, 제 1 연장관(20) 내에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링커넥터(10)와 제 1 연장관(20)의 조립이 끝난 후에, 작업자가 제 1 연장관(20)의 끝단을 제 2연장관(30)에 삽입하면, 삽입공(21) 위로 올라온 고정돌기(11)가 고정공(31)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연장관(20)은 제 2 연장관(30)에 삽입ㆍ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링커넥터(10)에 의한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의하면 그 조립과정이 번거로우며, 이로 인하여 조립공정에서 다수의 작업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악세서리 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실행하여야 할 조립공정의 횟수를 줄임으로써 작업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세서리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구조에서 악세서리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악세서리 연결구조에서 링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서 악세서리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제 1 연장관 21 : 삽입공
30 : 제 2연장관 31 : 고정공
40 : 링커넥터 41 : 고정돌기
42 : 개방단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중앙부와 개방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갖는 링커넥터와,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링커넥터가 삽입되는 제 1 연장관과,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제 1 연장관이 삽입되는 제 2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중앙부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개방단까지의 거리가 더 짧은 위치의 링커넥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악세서리 연결구조에서, 링커넥터(40)는 일부분이 개방되어 그 양 끝단에 개방단(42)이 형성된 스냅링 형상의 탄성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그 개방단(42)과 중앙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41)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41)는 중앙부까지의 거리보다 개방단(42)까지의 거리가 더 가까운 위치의 링커넥터(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청소기의 악세서리의 조립공정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링커넥터(40)를 제 1 연장관(20)에 삽입하는 과정과 고정돌기(41)를 눌러주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의한 연장관의 조립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링커넥터(40)는 그 외주면 중앙부와 개방단(42) 사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고정돌기(41)와 고정돌기(41) 반대측의 링커넥터(40) 외주면을 화살표 'X'방향으로 동시에 가압하여 링커넥터(40)의 상하부 폭을 좁아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링커넥터(40)를 화살표 'Y' 방향으로 제 1 연장관(20)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고정돌기(41)는 하방향으로 눌려진 상태이므로, 제 1 연장관(20) 상단에 걸리지 않게 된다. 작업자가 링커넥터(10)를 제 1연장관(20) 내부로 계속 밀어 넣으면, 고정돌기(41)가 삽입공(21)에 삽입됨으로써,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링커넥터(40)와 제 1 연장관(20)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 후, 작업자가 제 1 연장관(20)을 제 2 연장관(30)에 삽입하면, 삽입공(21)을 통하여 제 1 연장관(20) 밖으로 빠져나온 고정돌기(41)가 제 2연장관(30)의 고정공(31)에 삽입됨으로써, 제 1 연장관(20)이 제 2 연장관(30)에 삽입ㆍ고정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한 악세서리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악세서리들을 조립하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비하여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결국 그 생산성에 있어서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의하면,고정돌기(41)가 링커넥터(40)의 외주면 중앙부와 개방단(12) 사이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악세서리 연결구조에 비하여 그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특히 대량생산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제품에 있어서는 작업시간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생산원가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 기술되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관의 연결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연장관과 흡입관의 연결구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의 중앙부와 개방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를 갖는 링커넥터;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링커넥터가 삽입되는 제 1 연장관; 및
    상기 고정돌기 및 상기 삽입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제 1 연장관이 삽입되는 제 2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중앙부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개방단까지의 거리가 더 짧은 위치의 링커넥터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연결구조.
KR2020010019049U 2001-06-25 2001-06-25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KR200249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49U KR200249500Y1 (ko) 2001-06-25 2001-06-25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49U KR200249500Y1 (ko) 2001-06-25 2001-06-25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00Y1 true KR200249500Y1 (ko) 2001-11-16

Family

ID=7306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49U KR200249500Y1 (ko) 2001-06-25 2001-06-25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9774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を相互接続するアダプタ組立体
US5601458A (en) Electric terminal
JP2567134Y2 (ja) 二重係止コネクタ
NZ509931A (en) Method of coupling component parts of power tool with mating parts having respectively spigot with recess(es) and receiving portion with chamfered rib(s)
JPH08109978A (ja) 配管/ケーブル用ブラケット
KR200249500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서리 연결구조
JP2002350677A (ja) プラグ挿着具、プラグ抜脱具及びそれらを備えたプラグ着脱具
JPH0810914Y2 (ja) 照明器具
CN2888682Y (zh) 端子卡合结构
KR200202667Y1 (ko) 튜너의 핀 블럭 결합구조
CN108542307B (zh) 插拔模块及具有该插拔模块的吸尘器
CN216529514U (zh) 一种新型led连接器
JP2002329549A (ja) 電源プラグ
KR200367867Y1 (ko) 진공청소기의 연결관 결합구조
KR200144974Y1 (ko) 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KR20000021021U (ko) 열쇠고리
CN209990606U (zh) 一种空压机固定装置
JPS5929524Y2 (ja) スナツププロング
KR200166971Y1 (ko)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JPH06104050A (ja) 治具締めコネクタ
KR200290815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3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JP2589349Y2 (ja) ジャック型コネクタ
JPS63188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