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15Y1 -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 Google Patents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15Y1
KR200290815Y1 KR2020020020092U KR20020020092U KR200290815Y1 KR 200290815 Y1 KR200290815 Y1 KR 200290815Y1 KR 2020020020092 U KR2020020020092 U KR 2020020020092U KR 20020020092 U KR20020020092 U KR 20020020092U KR 200290815 Y1 KR200290815 Y1 KR 200290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hose
groove
sleev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20020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15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스호스와 가스콕을 연결구로 연결 설치하고, 가스호스의 외경 끝단부에는 압착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구에 의해 가스호스를 가스콕에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삽입부 내부에 설치된 패킹에 의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구의 삽입부와 슬리이브에 형성된 지지단 사이에 안전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및 기타 외부의 물체가 접촉하여도 슬리이브가 안전구에 의해 유동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게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색채를 가지는 안전구를 형성하여 가스배관 연결작업시 배관과 배관을 구분할 수 있어 배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호스 연결구조물{STRUCTURE FOR CONNECTING GAS HOSE}
본 고안은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결구에 의해 가스호스와 가스콕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뿐만 아니라 연결구가 원터치로 가스콕에 연결 설치되어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가스기구의 가스공급관이나 가스콕의 접속관에 가스호스를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체결구가 결합된 가스호스를 가스콕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스호스를 가스콕의 접속관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가스콕을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킨 후 가스호스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구를 공구를 사용하여 가스콕에 나사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콕과 가스호스를 연결구로 연결시킴으로써 가스호스와 가스콕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뿐만 아니라 가스콕에 연결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콕과 가스호스를 연결하는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스호스가 삽입될 수 있게 일단에 체결단을 구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스콕에 형성된 접속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요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의 일단부에는 제 1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걸림단의 일측으로는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 2걸림단을 구비한 삽입부로 이루어진 연결구;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의 타측으로는 외주연에 상기 제 1걸림단에 걸릴 수 있게 이탈방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단의 타측으로는 이탈방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홈부의 타측 끝단부에는 스프링결합홈부가 형성된 슬리이브; 상기 이탈방지홈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 상기 스프링결합홈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가스호스의 외경 끝단부에 설치되는 압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로써 슬리이브와 삽지부 사이에 안전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안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콕 12 : 접속관
20 : 가스호스 30 : 연결구
31 : 결합부 32 : 체결단
34 : 삽입부 35 : 요홈부
36 : 제 1걸림단 37 : 제 2걸림단
38 : 경사면 40 : 슬리이브
41 : 지지단 42 : 이탈방지단
43 : 이탈방지홈부 44 : 스프링결합홈부
50 : 이탈방지구 60 : 스프링
70 : 안전구 90 : 압착구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압착구(90)가 설치된 가스호스(20)와, 가스콕(10)과, 압착구(90)와, 가스호스(20)와 가스콕(1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구(30)와, 슬리이브(40)와, 이탈방지구(50)와, 스프링(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30)는 가스콕(10)과 가스호스(20)를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가스호스(20)가 삽입될 수 있게 일단에 복수의 체결단(32)을 구비한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가스콕(10)에 형성된 접속관(1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요홈부(35)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35)의 일단부에는 제 1걸림단(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걸림단(36)의 일측으로는 일측면에 경사면(38)이 형성된 제 2걸림단(37)을 구비한 삽입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슬리이브(40)는 삽입부(34)의 내부에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하는 것으로, 일측 끝단부에는 지지단(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단(41)의 타측으로는 외주연에 상기 제 1걸림단(36)에 걸릴 수 있게 이탈방지단(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단(42)의 타측으로는 이탈방지홈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홈부(43)의 타측 끝단부에는 스프링결합홈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홈부(43)에는 이탈방지구(50)가 설치되고, 스프링결합홈부(44)에는 스프링(60)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4)의 내부에는 가스콕(10)의 접속관(12)에 연결구(30)의 삽입부(34)가 결합되었을 경우 접속관(12)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사용도중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패킹(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구(50)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가스콕(10)의 접속관(12)에 걸릴 수 있게 고정돌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돌부(52)의 양측 단부에는 이탈방지홈부(43)에 형성된 지지편(43a)에 면접촉될 수 있게 접촉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구(90)는 가스호스(20)의 외경 끝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와 같이 연결구(30)에 이탈방지구(50)와 슬리이브(40)를 조립한다. 즉, 슬리이브(4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부(43)에 이탈방지구(50)를 설치하되 이탈방지구(50)의 접촉부(54)가 지지편(43a)에 면접촉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삽입부(34)의 내주연에 스프링결합홈부(44)에 스프링(60)이 설치된 슬리이브(4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슬리이브(40)는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40)를 삽입부(34)에 결합시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슬리이브(40)의 이탈방지단(42)이 삽입부(34)에 형성된 제 1걸림단(36)에 걸리게 되어 슬리이브(40)가 의해 삽입부(3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탈방지구(50)는 제 2걸림단(37)의 일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4)의 내부에는 패킹(8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연결구(30)의 결합부(31)에 가스호스(20)를 결합시킨 후 상기 가스호스(20)의 외경에 결합되어 있는 압착구(90)를 결합부(31)로 밀고, 상기 압착구(90)가 결합부(31)와 가스호스(20)의 외경에 위치하면 프레스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압착구(90)를 압착 시킨다. 그러면 가스호스(20)가 결합부(31)에 이탈되지 않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연결구(30)와 가스호스(20)가 연결 설치되면, 상기 연결구(30)를 가스콕(10)의 접속관(12)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접속관(12)은 스프링(60)에 의해 탄력 설치된 슬리이브(40)의 내부로 끼워지고, 동시에 이탈방지구(50)의 고정돌부(52)는 접속관(12)에 형성된 주름부(13)와 주름부(13)사이에 걸리게 되면서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된다.(도 2b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스호스(20)와 연결구(30)를 결합시킨 다음 연결구(30)의 삽입부(34)를 가스콕(10)의 접속관(12)에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가스호스(20)와 연결구(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구(30)의 삽입부(34)가 가스콕(10)에 원터치로 결합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삽입부(34) 내부에 설치된 패킹(80)에 의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콕(10)에서 연결구(3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리이브(40)를 결합부(31)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이탈방지단(42)은 요홈부(35)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슬리이브(40)의 이동에 의해 이탈방지구(50)는 경사면(38)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요홈부(35)의 타단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이탈방지홈부(43)에서 출몰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50)의 고정돌부(52)는 접속관(12)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도 3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34)를 가스콕(10)에서 분리 시키면 연결구(30)가 가스콕(10)에서 분리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로써 슬리이브와 삽지부 사이에 안전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안전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슬리이브(40)의 지지단(41)과 연결구(30)의 삽입부(34) 사이에 슬리이브(40)가 유동되지 않게 안전구(70)를 고정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안전구(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끝단에는 고정홈부(7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부에는 고정홈부(72)에 결합되는 고정구(7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홈부(72)에 결합된 고정구(73)는 외부에서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홈부(7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안전구(70)는 사용용도를 구별할 수 있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은 사용자 및 기타 외부의 물체가 접촉하여도 슬리이브(40)가 안전구(70)에 의해 유동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게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안전구(70)에 색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가스배관 연결작업시 배관과 배관을 구분할 수 있어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따르면 가스호스와 가스콕을 연결구로 연결 설치하고, 가스호스의 외경 끝단부에는 압착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구에 의해 가스호스를 가스콕에 별도의 공구없이 원터치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삽입부 내부에 설치된 패킹에 의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구의 삽입부와 슬리이브에 형성된 지지단 사이에 안전구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및 기타 외부의 물체가 접촉하여도 슬리이브가 안전구에 의해 유동되지 않아 보다 안전하게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색채를 가지는 안전구를 형성하여 가스배관 연결작업시 배관과 배관을 구분할 수 있어 배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가스콕(10)과 가스호스(20)를 연결하는 가스호스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가스호스(20)가 삽입될 수 있게 일단에 체결단(32)을 구비한 결합부(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가스콕(10)에 형성된 접속관(1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요홈부(35)를 형성하되 상기 요홈부(35)의 일단부에는 제 1걸림단(36)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걸림단(36)의 일측으로는 일측면에 경사면(38)이 형성된 제 2걸림단(37)을 구비한 삽입부(34)로 이루어진 연결구(30);
    상기 삽입부(34)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는 지지단(4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41)의 타측으로는 외주연에 상기 제 1걸림단(36)에 걸릴 수 있게 이탈방지단(42)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단(42)의 타측으로는 이탈방지홈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부(43)의 타측 끝단부에는 스프링결합홈부(44)가 형성된 슬리이브(40);
    상기 이탈방지홈부(4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50);
    상기 스프링결합홈부(44)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40)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0);
    상기 가스호스(20)의 외경 끝단부에 설치되는 압착구(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41)과 상기 삽입부(34) 사이에는 상기 슬리이브(40)가 유동되지 않게 안전구(7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20020020092U 2002-07-04 2002-07-04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0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92U KR200290815Y1 (ko) 2002-07-04 2002-07-04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092U KR200290815Y1 (ko) 2002-07-04 2002-07-04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622 Division 2002-05-07 2002-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15Y1 true KR200290815Y1 (ko) 2002-10-07

Family

ID=7312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092U KR200290815Y1 (ko) 2002-07-04 2002-07-04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937B2 (en) Tube couplings
US7770940B2 (en) Coupling part for a plug connector arrangement
US7686349B2 (en) Tube couplings
JP2006138472A (ja) スナップ装着式の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GB2339873A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fluid pipelines
JP2001200963A (ja) コネクタ
US7850210B2 (en) Plug-in coupling for fluid systems
KR200290815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100459005B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100459004B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3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84622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
KR200296082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ATE308712T1 (de) Steckrastverbindung für wellrohrschläuche
CA2423658A1 (en) Handle and exhaust duct coupling assemblies for floor care machines
KR200287222Y1 (ko)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JP2897908B2 (ja) 配管接続構造
KR200211925Y1 (ko) 호스 연결장치
US20170152981A1 (en) Pipe fitting
KR200396607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379540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JP2003254486A (ja) 管継手構造
KR20039660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JP2010502902A (ja) 連結装置用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1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