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22Y1 -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 Google Patents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22Y1
KR200287222Y1 KR2020020015101U KR20020015101U KR200287222Y1 KR 200287222 Y1 KR200287222 Y1 KR 200287222Y1 KR 2020020015101 U KR2020020015101 U KR 2020020015101U KR 20020015101 U KR20020015101 U KR 20020015101U KR 200287222 Y1 KR200287222 Y1 KR 200287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ed
sleeve
gas cock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20015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22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스호스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의 접속관에 결합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경사면이 구비된 슬리이브가 결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슬리이브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접속관의 주름부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 지지부를 구비한 이탈방지구가 설치된 구성으로, 본 고안은 연결구가 가스콕에 결합되었을 경우 연결구의 삽입부에 설치된 이탈방지구가 접속관에 견고하게 걸리게 되어 가스콕에 결합된 연결구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겨도 연결구가 가스콕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가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부와 슬리이브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탄력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연결구를 가스콕에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SEPERATION PREVENTER OF A CONNECTER COUPLING WITH A GAS COCK}
본 고안은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스호스가 연결된 연결구의 삽입부가 가스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가스기구의 가스공급관이나 가스콕의 접속관에 연결구로 가스호스를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는 가스호스가 삽입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가스콕의 접속관에 결합되고 끝단부에는 볼이 삽입 될 수 있게 볼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설치된 슬리이브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결구는 삽입부가 가스콕에 결합시 볼이 접속관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걸려 고정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연결구를 약간의 힘을 주고 잡아 당기면 걸림턱부에 걸려있는 볼이 쉽게 이탈되어 연결구가 가스콕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호스가 연결된 연결구의 삽입부가 가스콕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가스호스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의 접속관에 결합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경사면이 구비된 슬리이브가 결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슬리이브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접속관의 주름부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 지지부를 구비한 이탈방지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가 연결구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 이탈방지구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
도 6은 도 5에서 이탈방지구가 연결구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결구 101 : 결합부
103 : 삽입부 104 : 삽지공
106 : 슬리이브 107 : 경사면
120 : 이탈방지구 121 : 걸림부
123 : 지지부 130 : 가스호스
140 : 가스콕 142 : 접속관
143 : 주름부 200 : 연결구
201 : 결합부 203 : 삽입부
204 : 삽지공 206 : 슬리이브
207 : 경사면 220 : 이탈방지구
221 : 걸림부 223 : 지지부
225 : 연결부 230 : 가스호스
240 : 가스콕 242 : 접속관
243 : 주름부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제 1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구가 연결구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로써, 본 고안 이탈방지구(120)는 가스호스(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10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140)의 접속관(142)에 연결 설치될 수 있게 삽입부(103)가 형성된 연결구(100)에 결합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100)는 가스콕(140)과 가스호스(130)를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가스호스(130)가 삽입될 수 있게 일단에 다수의 걸림단를 구비한 결합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가스콕(140)에 형성된 접속관(142)에 결합될 수 있게 삽입부(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103)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탄성부재(109)가 설치된 슬리이브(106)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03)의 일측 단부에는 복수의 삽지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구(120)는 상기 삽입부(103)와 슬리이브(10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지공(104)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접속관(142)의 주름부(143)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121)의 양단에는 지지부(1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a와 2b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구(100)의 삽입부(103)에 이탈방지구(120)와 슬리이브(106)를 조립한다. 즉, 연결구(100)의 삽입부(103)에 이탈방지구(120)를 설치하되, 상기 삽지공(104)에 이탈방지구(120)의 걸림부(121)를 삽입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걸림부(121)는 삽지공(104)에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이탈방지구(120)의 지지부(123)는 삽입부(103)의 외주연에 접촉된다.
그런 다음 삽입부(103)의 외주연에 탄성부재(109)가 내설된 슬리이브(106)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슬리이브(106)가 삽입부(103)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방지구(120)의 걸림부(121)는 상기 슬리이브(106)의 경사면(107)에 접촉된다.(도 2a 참조)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연결구(100)의 결합부(101)에 가스호스(13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연결구(100)의 삽입부(103)를 가스콕(140)의 접속관(142)에 결합시킨다. 다시말해서 탄성부재(109)에 의해 탄성 설치된 슬리이브(106)를 일측 즉, 결합부(101)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이탈방지구(120)는 경사면(107)을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부(103)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구(120)는 삽입부(103)의 삽지공(104)을 통해 슬리이브(106)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2b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103)의 내부에 가스콕(140)의 접속관(142)이 위치할 수 있게 결합시킨 다음 슬리이브(106)를 놓는다. 그러면 슬리이브(106)는 탄성부재(10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이탈방지구(120)의 걸림부(121)는 접속관(142)에 형성된 주름부(143)와 주름부(143) 사이에 걸리게 되면서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연결구(100)가 가스콕(140)에 결합되었을 경우 연결구(100)의 삽입부(103)에 설치된 이탈방지구(120)가가스콕(140)의 접속관(142)에 견고하게 걸리게 되어 가스콕(140)에 결합된 연결구(100)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겨도 연결구(100)가 가스콕(14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써, 이는 연결구(100)의 삽입부(103)에 다수의 삽지공(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지공(104)에는 이탈방지구(120)가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그 작용은 도 1 및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로써, 이는 도 3에서 이탈방지구(120)의 지지부(123)가 슬리이브(106)의 경사면(107)에 접촉되어 탄력 지지될 수 있게 연장 형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조립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다만 연장된 지지부(123)가 슬리이브(106)의 경사면(107)에 탄력 설치된 것으로, 이탈방지구(120)가 삽입부(103)와 슬리이브(106)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연결구(100)를 가스콕(140)에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이고, 도 6은 도 5에서 이탈방지구가 연결구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이는 가스호스(2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20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240)의 접속관(242)에 결합되도록 삽입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3)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경사면(207)이 구비된 슬리이브(206)가 결합되는 연결구(20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03)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20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03)와 슬리이브(206)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204)에 끼워져 상기 접속관(242)의 주름부(243)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형성된 걸림부(221), 상기 걸림부(221)의 양단에 굴곡 형성되어 상기 슬리이브(206)의 경사면(207)에 접촉되는 지지부(223), 상기 지지부(223)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225)로 이루어진 “ㄷ”단면형상의 이탈방지구(220)가 탄력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부(221)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결구(200)의 삽입부(203)에 이탈방지구(220)와 슬리이브(206)를 조립한다. 즉, 연결구(200)의 삽입부(203)에 이탈방지구(220)를 설치하되, 상기 삽지공(204)에 이탈방지구(220)의 걸림부(221)를 삽입 설치한다.
그런 다음 삽입부(203)의 외주연에 탄성부재(209)가 내설된 슬리이브(206)를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키면 되는데, 상기 슬리이브(206)가 삽입부(203)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방지구(220)의 걸림부(221) 양단에 형성된 지지부(223)와 연결부(225)는 상기 슬리이브(206)의 경사면(207)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면 연결구(200)의 결합부(201)에 가스호스(23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연결구(200)의 삽입부(203)를 가스콕(240)의 접속관(242)에 결합시킨다. 다시말해서 탄성부재(209)에 의해 탄성 설치된 슬리이브(206)를 일측 즉, 결합부(201)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이탈방지구(220)의 지지부(223)와 연결부(225)는 슬리이브(206)의 경사면(207)을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부(203)의 전방 내주면에 탄력되게 설치된다. 이때, 이탈방지구(220)는 삽입부(203)의 삽지공(204)을 통해 슬리이브(206)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03)의 내부에 가스콕(240)의 접속관(242)이 위치할 수 있게 결합시킨 다음 슬리이브(206)를 놓는다. 그러면 슬리이브(206)는 탄성부재(209)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이탈방지구(220)의걸림부(221)는 접속관(242)에 형성된 주름부(243)와 주름부(243)사이에 걸리게 되고, 지지부(223)와 연결부(225)는 슬리이브(206)의 경사면(207)에 탄력 설치되면서 조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탈방지구(220)가 삽입부(203)와 슬리이브(206) 사이에 탄력 설치되어 연결구(200)를 가스콕(240)에 더욱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5실시예로써,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의 삽입부(203)와 슬리이브(206) 사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220)를 다중 굴곡지게 형성된 것으로, 연결구(200)와 가스콕(240)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에 따르면 가스호스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의 접속관에 결합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슬리이브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접속관의 주름부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 지지부를 구비한 이탈방지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구가 가스콕에 결합되었을 경우 연결구의 삽입부에 설치된 이탈방지구가 접속관에 견고하게 걸리게 되어 가스콕에 결합된 연결구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겨도 연결구가 가스콕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가스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부와 슬리이브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탄력 설치되도록 함으로써,연결구를 가스콕에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가스호스(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10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140)의 접속관(142)에 결합되도록 삽입부(10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03)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경사면(107)이 구비된 슬리이브(106)가 결합되는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3)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03)와 슬리이브(106)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104)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접속관(142)의 주름부(143)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걸림부(121)와 상기 걸림부(121)의 양단에 지지부(123)를 구비한 이탈방지구(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120)의 지지부(123)가 상기 슬리이브(106)의 경사면(107)에 접촉되어 탄력 지지될 수 있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3. 가스호스(2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에 결합부(20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가스콕(240)의 접속관(242)에 결합되도록 삽입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03)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경사면(207)이 구비된 슬리이브(206)가 결합되는 연결구(20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03)의 일측 단부에 복수의 삽지공(20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03)와 슬리이브(206) 사이에는 상기 삽지공(204)에 끼워져 상기 접속관(242)의 주름부(243)에 걸릴 수 있게 중앙에 형성된 걸림부(221), 상기 걸림부(221)의 양단에 굴곡 형성되어 상기 슬리이브(206)의 경사면(207)에 접촉되는 지지부(223), 상기 지지부(223)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225)로 이루어진 “ㄷ”단면형상의 이탈방지구(220)가 탄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1)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KR2020020015101U 2002-05-17 2002-05-17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KR200287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01U KR200287222Y1 (ko) 2002-05-17 2002-05-17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01U KR200287222Y1 (ko) 2002-05-17 2002-05-17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22Y1 true KR200287222Y1 (ko) 2002-08-27

Family

ID=7307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01U KR200287222Y1 (ko) 2002-05-17 2002-05-17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P1092907B1 (en) Swivel coupling for a hose
JP4529658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090008927A1 (en) Coupling part for a plug connector arrangement
NZ564100A (en) Tube coupling with wedge action as collet moves away from coupling
JP2006138472A (ja) スナップ装着式の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WO2001023798A1 (fr) Connecteur rapide
JP2004526927A (ja) 防護スリーブを備えた着脱可能な差込みカップリング
KR20160073850A (ko) 자동차용 호스연결용 커넥터
KR20050038618A (ko)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JP2006266472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287222Y1 (ko) 가스콕에 결합되는 연결구용 이탈방지구
KR100459005B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0815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3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100459004B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200296084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KR200296082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SI1167856T1 (sl) Vticnozaskocna vez za valovitostenske gibke cevi
JP3007299B2 (ja) 配管用コネクタ
JP5836159B2 (ja) 誤接続防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84622Y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
KR200211925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201760Y1 (ko) 진공청소기의 스트레치 호스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