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127Y1 - 두더지 덫 - Google Patents

두더지 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127Y1
KR200249127Y1 KR2020010020164U KR20010020164U KR200249127Y1 KR 200249127 Y1 KR200249127 Y1 KR 200249127Y1 KR 2020010020164 U KR2020010020164 U KR 2020010020164U KR 20010020164 U KR20010020164 U KR 20010020164U KR 200249127 Y1 KR200249127 Y1 KR 200249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
harpoon
guide
crypt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준
Original Assignee
양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준 filed Critical 양희준
Priority to KR2020010020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127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에 해를 가하는 두더지를 포획하기 위한 두더지 덫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더지 덫 내부에 작살을 작동시키는 작동간이 설치되어 오동작 없이 정확한 포획이 가능하고, 두더지의 생활환경과 유사하게 내부에 토굴을 형성한 후 두더지가 다니는 길목과 연통되게 설치하여 포획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두더지 덫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단이 하부 내향으로 경사진 원통형 몸체 와, 상기 몸체상단에 입설된 안내대 상부에 탄설되는 탄성손잡이와,
상기 탄성손잡이 저면에 설치되고 안내대 및 몸체를 관통하여 통로로 진입된 두더지를 포획하는 작살과,
상기 작살 하부에 일측이 고정된 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몸체 외주 고정브라켓에 지지판이 걸리게 지지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 내부로 일측이 돌설되고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 고정부재가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작동간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두더지 덫{A mole trap}
본 고안은 농작물에 해를 가하는 두더지를 포획하기 위한 두더지 덫에 관한것으로, 특히 두더지 덫 내부에 작살을 작동시키는 작동간이 설치되어 오동작 없이 정확한 포획이 가능하고, 두더지의 생활환경과 유사하게 내부에 토굴을 형성한 후 두더지가 다니는 길목과 연통되게 설치하여 포획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두더지 덫에 관한 것이다.
통상 두더지는 볕에 견디지 못하고 땅속을 헤집고 다니면서 벌레나 밭작물 등을 먹으며 농가에 상당한 피해를 주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신안출원 제 2000-25715호 명칭 두더지 포획기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은 두더지가 지나가면서 스토퍼를 터치함에 따라 포획간을 작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로 두더지가 활동하는 땅속에 포획기가 매설되는 특성상 저항력에 의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해 오동작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이었다.
또한 두더지가 지나가는 땅속 길목에 설치시 포획기의 재질이 땅속과 이질감을 주어 두더지가 접근을 꺼림에 따라 포획력이 매우 떨어지는 무용지물인 것이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땅속 매설시 두더지가 다니는 길목과 연통되게 원통형의 몸체를 구비하고, 몸체 내부에 두더지를 포획하기 위한 작살을 작동시키는 작동간을 설치하여 보다 작동이 원활하게 하며, 몸체 내부에 토굴을 형성하여 땅속과 같은 환경을 설정함에 따라 두더지의 진입을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강구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두더지 덫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탄성손잡이 및 작살의 상승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몸체 내부에 토굴이 형성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작살의 장전상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작동간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작동간 작동시 작살의 하강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작살공과 스톱핑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4: 토굴 15: 토굴성형관
20: 안내대 30: 탄성손잡이 32: 스프링
40: 작살 50: 와이어 60:고정부재
61: 지지판 70: 작동간 71: 걸림부
상기 기술적 구성을 토대로 실제작 가능한 형태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저지가 지나다니는 땅속 길목과 연통되게 매설되는 몸체(10)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통로(11)가 형성되고 땅속에 매설이 용이하게 양측 선단이 하부 내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돌기(12)가 형성되는 한편 내면 저부에는 포획되는 두더지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1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여기에서 내면에 보강돌기(12)가 형성된 이유는 몸체(10) 내면에 형성되는 토굴(14)이 붕괴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토굴(14) 형성과정은 우선적으로 도 3과 같이 보강돌기(12) 내측으로 토굴성형관(15)을 내삽한다.
토굴성형관(15)은 몸체(10)에 내삽시 중앙에 설치되는 작동간(70)에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0) 양측에서 중앙으로 한쌍을 내삽하고 상기 몸체(10)와 토굴성형관(15) 사이에 반죽상태의 흙을 채운 후 일정기간 경화시켜 견고한 상태의 토굴(14)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토굴(14)은 보강돌기(12)에 의해 붕괴됨 없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몸체(10) 선단 양측에는 두더지를 포획하는 작살(4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안내하는 안내대(20)가 입설되고 안내대(20) 상부에는 탄성손잡이(30)가 안치되며 탄성손잡이(30)는 양단에 고정돌기(31)가 돌설되어 이 고정돌기(31)와 안내대(20) 하부 양측 고정판(21)이 스프링(32)으로 연결되므로써 탄성손잡이(30)가 일정한 탄성력을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손잡이(30)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작살(40)이 설치되고 작살(40)은 안내대(20)에 형성된 안내공(22)을 관통하여 상, 하 작동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며 몸체(10)에 형성된 작살통공(16)을 관통하여 통로(11)로 진입된 두더지를 포획하게 된다.
상기 작살(40)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는 와이어(50)는 안내공(22)을 하부에서 상부로 경유하여 안내대(20)에 걸쳐진 상태로 타측에 고정부재(60)가 연결되는 것으로 장전상태의 작살(40)이 두더지가 건드리지 않는 이상 작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와이어(5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60)는 일측 선단에 지지판(61)이 형성되어 작살(40)의 장전시 지지판(61)을 도 4와 같이 몸체(10) 외주 일측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7) 상부에 축설된 지지봉(18)에 걸리게 하여 작살(40)이 장전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한편 상기 지지봉(18) 하측 고정브라켓(17)에 축설된 회동축(19)에는 몸체(10)의 통로(11)로 진입된 두더지를 감지하여 작살(40)을 작동시키는 작동간(7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작동간(70)은 고정브라켓(17) 하부에 연접되게 몸체(10)에 형성되는 통공(10a)을 관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일측이 돌설되고 타측에는 절곡된 형태의 걸림부(7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60)의 일측선단이 걸림부(71)에 걸려 걸림상태가 이루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설치상태 및 작동상태를 통해 두더지의 포획과정을 살펴 보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두더지의 포획이 가능하도록 작살(40)을 장전하기 이전에 몸체(10) 내부 통로(11)에 두더지의 자연스런 진입을 유도하도록 두더지의 생활환경과 근접하게 토굴(14)을 형성시킨다.
토굴(14)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작살(40)이 도 1과 같이 몸체(10) 내부에 관통된 상태이므로 토굴성형관(15)의 삽입이 곤란하므로 탄성손잡이(30)를 상부로 당겨 작살(40)의 뾰족한 날끝이 작살통공(16)을 이탈되게 한 후 도 3과 같이 작살통공(16) 양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스톱핑홀(16a)에 작살(40)을 끼워 일시정지 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체(10) 내부 통로(11)에 토굴(14)을 형성시킨 후 고정부재(60)의 지지판(61)을 지지봉(18)에 걸은 상태에서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60)가 상부로 제껴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60)를 손으로 누른다.
그리고 탄성손잡이(30)를 상부로 살짝 당겨 작살(40)의 날끝이 스톱핑홀(16a)을 이탈하여 작살통공(16)으로 원위치되게 하여 몸체(10) 내부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손으로 누르고 있던 고정부재(60)의 일측 선단을 작동간(70)의 걸림부(71)에 걸리게 하면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와이어(50)가 작살(40)을 당겨주므로 스프링(3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탄성손잡이(30) 및 작살(40)이 하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즉 인위적인 작동에 의하지 않고서는 작살(40)에 일정한 탄성력이 구비된 상태이더라도 작살(40)이 하부로 작동하지 않고 두더지가 작동간(70)을 건드려야만 작동하는 장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살(40)의 장전상태가 완료되어 본 고안을 도 6과 같이 두더지가 다니는 길목에 설치하면 몸체(10) 내의 토굴(14)이 두더지굴과 연통되므로써 두더지가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몸체(10)로 진입하게 된다.
토굴(14)내로 진입한 두더지는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도 5와 같이 작동간(70)을 건드리게 되고 이로 인해 작동간(70)이 회전하면서 걸림부(71)에 걸려 있던 고정부재(60)가 걸림부(71)를 이탈하고 순차적으로 고정부재(60)가 지지봉(18)에서 이탈하므로써 작살(40)이 장전상태에서 벗어나면서 자연적으로 도 6과 같이 스프링(32)의 엄청난 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작동되어 두더지를 포획하게 된다.
이때 두더지는 작살(40)에 살짝 찍힌 상태이더라도 몸체(10) 내부 저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봉(13)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작동간(70)이 땅속에서 작동되지 않고 몸체(10) 내부 공간에서 작동되므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아 설치시 마다 매번 두더지를 포획하는 성과를 올리게 된다.
본 고안은 두더지의 생활환경과 밀접하게 토굴을 형성시킨 두더지 덫을 두더지가 다니는 길목과 연통되게 설치하므로써 두더지를 쉽게 유인할 수 있고, 두더지 덫 내부로 진입한 두더지를 감지하여 작살을 작동시키는 작동간을 내부에 설치하므로써 두더지의 미세한 접촉에도 즉각적으로 원활하게 작살을 작동시켜 두더지를 완벽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통로(11)가 형성되고 땅속 매설 용이하게 양단이 하부 내향으로 경사진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몸체(10) 상단에 입설되는 안내대(20) 상부에 안치되고 양단이 안내대(20) 하부 고정판(21)과 스프링(32)으로 연결되는 탄성손잡이(30)와,
    상기 탄성손잡이(30)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안내대(20) 및 몸체(10)를 관통하여 통로(11)로 진입된 두더지를 포획하는 작살(40)과,
    상기 중앙 작살(40)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안내대(20)의 안내공(22)을 경유하여 타측에 고정부재(60)가 연결되는 와이어(50)와,
    상기 와이어(50)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몸체(10) 외주 고정브라켓(17) 상부에 축설된 지지봉(18)에 지지판(61)이 걸리게 지지되는 고정부재(60)와,
    상기 고정브라켓(17) 하부 통공(10a)을 관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일측이 돌설되고 고정브라켓(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 고정부재(60)가 걸리는 걸림부(71)가 형성되는 작동간(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덫.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0) 양측 내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돌기(12)가 형성되고, 내면 저부에는 두더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13)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돌기(12) 선단 내측으로 한쌍의 토굴성형관(15)이 내삽되는 한편, 상기몸체(10)와 토굴성형관(15) 사이에 반죽상태의 흙이 채워진 후 경화되어 토굴(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더지 덫.
KR2020010020164U 2001-07-04 2001-07-04 두더지 덫 KR200249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4U KR200249127Y1 (ko) 2001-07-04 2001-07-04 두더지 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64U KR200249127Y1 (ko) 2001-07-04 2001-07-04 두더지 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127Y1 true KR200249127Y1 (ko) 2001-10-17

Family

ID=7306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64U KR200249127Y1 (ko) 2001-07-04 2001-07-04 두더지 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1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714A (ko) * 2020-03-25 2021-10-06 한덕영 지중에 매설되는 두더지 포획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714A (ko) * 2020-03-25 2021-10-06 한덕영 지중에 매설되는 두더지 포획 장치
KR102320414B1 (ko) 2020-03-25 2021-11-02 안승호 지중에 매설되는 두더지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89200A1 (en) Trap for Animals
US7779574B1 (en) Mole trap
US20110289821A1 (en) Humane racoon restraint
US7726063B2 (en) Snake trap
US7908790B2 (en) Mouse and rodent trap
KR101137592B1 (ko) 두더지 덫
KR200437121Y1 (ko) 두더지 사살장치
KR200249127Y1 (ko) 두더지 덫
JP2012005400A (ja) モグラ捕獲装置
US4308683A (en) Trap anchoring stake
US10273643B1 (en) Waste collection and isolating device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isolating waste thereof
US9781917B1 (en) Animal trap
JP5153739B2 (ja) 小動物捕獲装置
US6647658B1 (en) Fishing rod support for semi-auto hooking
KR200476968Y1 (ko) 두더지 덫
JPH0564536A (ja) 埋め込み式熊捕獲用罠装置
US20110088308A1 (en) Mole Trap
JP2003180227A (ja) モグラ取り器
JP6600773B1 (ja) 虫取り器
KR200355919Y1 (ko) 두더지용 덫
JP5249154B2 (ja) 小動物捕獲装置
JP5859602B2 (ja) 動物罠用トリガー装置、それを備えた動物罠及び動物罠の空作動防止方法
KR102281264B1 (ko) 두더지 포획용 덫
JP2001352845A (ja) 雪吊り駒と該駒用押上げ竿
CN210746390U (zh) 一种地膜固定插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