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343Y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343Y1
KR200248343Y1 KR2019980020211U KR19980020211U KR200248343Y1 KR 200248343 Y1 KR200248343 Y1 KR 200248343Y1 KR 2019980020211 U KR2019980020211 U KR 2019980020211U KR 19980020211 U KR19980020211 U KR 19980020211U KR 200248343 Y1 KR200248343 Y1 KR 200248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lamp
lever
lever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498U (ko
Inventor
계 석 이
종 화 이
Original Assignee
이계석
주식회사 자동기
종 화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석, 주식회사 자동기, 종 화 이 filed Critical 이계석
Priority to KR2019980020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34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3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핸들을 조작하기가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또 물림부재에 의한 힘의 작용이 일측에서만 일어나므로 파지력도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는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대략 ㄷ자 형태의 측단면모양을 갖고 상하방으로 개구가 형성된 몸체, 몸체 상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레버, 몸체 하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회동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결정되는 적어도 한 쌍의 캠, 레버의 일측과 캠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한 쌍의 레버에 상호 회동 및 유동가능케 연결되어 승, 하강시 몸체 또는 연결구의 자중으로 한 쌍의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고 소정의 권상기구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손잡이의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시간도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고, 또 캠에 의한 힘의 작용이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되므로 파지력도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으며, 필요한 물건을 잡아서 들어올리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클램프
본 고안은 물건을 잡아서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중기 등의 권상기구에 설치하여 필요한 물건을 잡아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해주는 권상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기 등 물건을 잡아서 들어올리기 위한 권상용 기구에는 클램프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클램프들 중에는 클램프 자체의 자중을 이용해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클램프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는 종래의 클램프(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100)는 클램프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램프 본체(110)는 연직방향으로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 본체(110)의 개구부(112) 부근 일단에는 축(114)이 결합되어 있다. 이 축(114)의 바깥쪽 끝단에는 축(114)을 쉽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들(116)이 결합되어 있고, 안쪽 끝단에는 이동판(118)이 결합되어 있다. 이 이동판(118)과 핸들(116)은 개구(112)의 폭을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110)의 이동판(118) 맞은편으로는 대략 ㄱ자 형태의 링크(120)가 일측 지지점(121)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그 아래에 물림부재(130)가 타측 지지점(131)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120)와 물림부재(130)는 그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120)의 타측 끝단에는 고리부재(140)가 연결되어 있다.
즉, 취급하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핸들(116)을 돌려 이동판(118)을 이동시켜 들어올리고자 하는 물건이 클램프(100)에 물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고리부재(140)를 위쪽으로 잡아 당기면 링크(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에 따라 물림부재(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지지점(131)을 중심으로 지지점(131) 하방은 이동판(118)과 멀어지고 상방은 이동판(118)과 가까워지게 된다. 즉, 물림부재(130)와 이동판(118) 사이의 물건은 더욱 강하게 물려있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1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판(118)을 조정한 상태에서는 물림부재(130)에 의한 개구폭의 조정 정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필요한 물건을 잡아서 들어올리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클램프(100)로 물건을 잡고자 하는 경우에는 핸들(116)을 돌려 이동판(118)을 충분히 후진시킨 상태에서 물건을 개구부(112)에 삽입하고 다시 작업자가 핸들(116)을 돌려 이동판(118)을 전진시켜 이동판(118)이 물건의 표면에 어느 정도 밀착된 상태에서 들어올려야 클램프(100)가 물건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클램프(100)를 이용하는 경우 핸들(116)을 여러 바퀴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물림부재(130)에 의한 힘의 작용이 일측에서만 일어나므로 파지력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지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조정되는 개구폭의 조정정도가 크고 또 종래의 것에 비해 조작이 훨씬 간편한 물건 권상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레버와 커넥팅로드와 캠 및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내부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클램프 210 : 개구
214 : 플레이트 216 : 연결봉
218, 219 : 지지축 220 : 레버
222 : 장공 230 : 캠
240 : 연결구 242 : 연결축
244 : 몸통부 246 : 고리
250 : 커넥팅로드 260 : 스토퍼기구
262 : 걸림핀 264 : 손잡이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물체를 잡아서 들어올리는데 사용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대략 ㄷ자 형태의 측단면모양을 갖고 상하방으로 개구가 형성된 몸체, 몸체 상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레버, 몸체 하단 부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회동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결정되는 적어도 한 쌍의 캠, 레버의 일측과 캠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한 쌍의 레버에 상호 회동 및 유동가능케 연결되어 승, 하강시 몸체 또는 연결구의 자중으로 한 쌍의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고 소정의 권상기구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몸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ㄷ자 형상을 하고 있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과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레버와 캠을 제자리 회동가능케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고, 레버의 끝단에는 연결축과 유동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장공을 각각 형성하여두는 것이 좋으며, 레버와 캠은 소정 간격 이격하여 두 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연결구는 두 쌍의 레버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연결축에 결합된 몸통부와 몸통부를 통해 연결축에 결합된 고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위 몸체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연결구가 일정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레버와 커넥팅로드와 캠 및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내부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2∼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200)는 몸체(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210)는 대략 ㄷ자 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하방으로 개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210)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2∼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ㄷ자 형상을 하고 있는 한 쌍의 플레이트(214)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 한 쌍의 플레이트(214)를 다수의 연결봉(216)으로 연결하고, 또 뒤에서 설명되는 레버(220)와 캠(230)을 제자리 회동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축(218)을 연결봉(216)과 대략 평행하게 여러 개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에는 레버(220)가 지지축(218)을 통해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레버(220)로는 몸체(210)의 일측으로 한 쌍, 그 반대편 몸체(210)의 타측으로 다른 한 쌍이 즉, 두 쌍이 지지축(218)을 통해 각각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용량이 작은 클램프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레버(220)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레버(220)는 그 지지축(218)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일측 끝단 연결구(240)에 상호 회동가능케 연결되는 부분에는 장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하단 부근에는 캠(230)이 지지축(219)을 통해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캠(230)은 집게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들어올리고자 하는 물건 등에 직접 접촉되는 그 내측 표면은 곡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캠(230)은 양측에 각각 한 쌍씩 두 쌍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와 캠(230) 사이에는 커넥팅로드(25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커넥팅로드(250)는 레버(220)의 동력을 캠(23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220)와 캠(230)에 소정 각도 회동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레버(220)에는 연결구(24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구(240)는 기중기 등의 권상기구에 클램프(200)를 매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두 쌍의 레버(220)를 연결하는 연결축(242)과 연결축(242)에 결합된 몸통부(244)와 몸통부(244)를 통해 연결축(242)에 결합된 고리(246)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210)의 일측으로는 스토퍼기구(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기구(260)는 연결구(240)가 일정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경우 연결구(240)의 몸통(244)에 걸리는 걸림핀(262)과 걸림핀(262)을 필요에 따라 전후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264)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고리(246)를 기중기 등의 권상기구에 연결한 상태에서 클램프(200)를 들어올리고자하는 물건쪽으로 하강시키면 캠(230)의 안쪽면이 들어올리고자하는 물건의 양측 표면에 각각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200)를 더 하강시키면 캠(230)은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면서 마주보는 두 캠(230) 사이의 간격은 넓어지고, 이에 따라 들어올리고자 하는 물건은 두 캠(230) 사이로 진입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도 두 캠(230)의 내측면은 물건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클램프(200)를 충분히 내린 상태에서 권상기구 등으로 클램프(200)를 들어올리면 고리(246)와 연결축(242)에 몸체(210)의 자중이 걸리게 된다. 그러면 연결축(242)은 레버(220)의 일측단을 위쪽으로 당겨주고, 양측의 레버(220)는 지지축(218)을 중심으로 각각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커넥팅로드(250)를 아래쪽 내측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캠(230) 역시 하단의 지지축(21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게 된다. 그러면 캠(230)의 양끝단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고 그 사이의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된다.
필요한 위치 상으로 물건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클램프(200)를 하강시켜 물건이 바닥에 닿으면 연결구(240)의 자중이 레버(220)의 끝단에 작용하게되고, 이에 따라 왼쪽의 레버(220)는 시계 방향으로, 오른쪽의 레버(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고, 커넥팅로드(250)는 위쪽으로 당겨지게된다. 따라서 캠(230)은 반시계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면서 두 캠(230) 사이의 간격은 넓어지고, 잡고 있던 물건은 놓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264)를 이점쇄선 상태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걸림핀(262)이 몸통부(244) 쪽으로 이동하여 몸통부(244)에 걸리고, 연결구(240)는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림핀(262)이 연결구(240)의 상승을 방지하므로 레버(220)와 커넥팅로드(250) 및 캠(230)은 더 이상 작동되지 않으므로 클램프(200)를 들어올리더라도 클램프(200)가 물건을 클램핑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손잡이의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시간도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캠에 의한 힘의 작용이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되므로 파지력도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3)

  1. 물체를 잡아서 들어올리는데 사용하기 위한 클램프에 있어서,
    ㄷ자 형태의 측단면모양을 갖고 상하방으로 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단 부근에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레버;
    상기 몸체 하단 부근에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간격이 결정되는 적어도 한 쌍의 캠;
    상기 레버의 일측과 캠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상기 한 쌍의 레버에 상호 회동 및 유동가능케 연결되어 승, 하강시 상기 몸체나 연결구의 자중으로 상기 한 쌍의 레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해주고 소정의 권상기구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ㄷ자 형상을 하고 있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레버와 상기 캠을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의 끝단에는 상기 연결축과 유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와 상기 캠은 이격하여 두 쌍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두 쌍의 레버를 연결하는 연결축과 연결축에 결합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를 통해 연결축에 결합된 고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구가 일정 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19980020211U 1998-10-22 1998-10-22 클램프 KR200248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11U KR200248343Y1 (ko) 1998-10-22 1998-10-22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11U KR200248343Y1 (ko) 1998-10-22 1998-10-22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98U KR20000008498U (ko) 2000-05-15
KR200248343Y1 true KR200248343Y1 (ko) 2001-12-17

Family

ID=6952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211U KR200248343Y1 (ko) 1998-10-22 1998-10-22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3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98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3538B1 (en) Lifting clamp
US7673918B2 (en) Self-opening tong lifting device
US6331025B1 (en) Barrier lifter
US6568731B2 (en) Pipe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3336068A (en) Lifting clamp
US3330591A (en) Oil drum grappling hook
JP6270524B2 (ja) 吊り具
US3011821A (en) Pipe handling tongs
KR200248343Y1 (ko) 클램프
US3101968A (en) Grapples
US2381045A (en) Tongs
US3508780A (en) Control device for tongs
JP2006312530A (ja) 吊上げ治具
US3582126A (en) Concrete pipe-lifting device
US3008750A (en) wansley
JP2017052617A (ja) コンクリート内吊りクランプ
JP2842780B2 (ja) 円筒形重量物の吊具
JPH0344783Y2 (ko)
JPS6141741Y2 (ko)
JPS6034705Y2 (ja) フックからのワイヤ等の外れ防止装置
JP3303951B2 (ja) 自動旋回フック付き吊り具ブロック
JP2594579B2 (ja) 調節形吊具
CN210620013U (zh) 一种棒材或管材专用吊具
JP3672487B2 (ja) 吊具
JPS5848316Y2 (ja) 吊上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