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241Y1 -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241Y1
KR200246241Y1 KR2020010005665U KR20010005665U KR200246241Y1 KR 200246241 Y1 KR200246241 Y1 KR 200246241Y1 KR 2020010005665 U KR2020010005665 U KR 2020010005665U KR 20010005665 U KR20010005665 U KR 20010005665U KR 200246241 Y1 KR200246241 Y1 KR 200246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light
traffic
lamp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익수
Original Assignee
어익수
주식회사 에이디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익수, 주식회사 에이디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어익수
Priority to KR2020010005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241Y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에 관한것으로 특히 교통신호등의 주간 시간대, 강한 태양빛이 반사되어 신호등의 점·소등여부를 운전자가 분간하기 어려운 경우 신호등 제작시 한개의 램프에 병렬램프를 추가 설치하여 휘도를 증가시켜 신호등의 기능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한개의 램프단선시 병렬램프가 점등되는 기능을 부가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한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Traffic Signal Lamp a Preventive Method to Sun Phantom by Luminance Incresment}
본 발명은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에 관한것으로 특히 교통신호등의 주간 시간대, 강한 태양빛이 반사되어 신호등의 점·소등여부를 운전자가 분간하기 어려운 경우 신호등 제작시 한개의 램프에 병렬램프를 추가 설치하여 휘도를 증가시켜 신호등의 기능이 마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한개의 램프단선시 병렬램프가 점등되는 기능을 부가하는 기능을 특징으로 한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신호등은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고정구(1)의 중앙에 주전구(2)를 설치하여 중앙에 하나의 전구를 설치하여 전방에 전면 카바(3)로 보호하여 본체(4)를 설치하며 상측에 보호대(11)로 보호하는 것이며 본체는 청색등, 황색등, 붉은색 등으로 이루어진 교통신호등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신호등을 교차로나 횡단로, 건널목에 설치하여 차량의 원활한 소통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유도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신호등은 한개의 신호등 램프에(220볼트 -100와트)만을 사용하고 있는바 옥외 태양광(약160,000cd/㎠)의 휘도에 전구(약 600cd/㎠)을 사용하고 있어 그 비율이 0.00375에 해당한다.
KSA3703에서 설계속도 60Km/h로 교차로를 통과하여 색의 신호등을 판별하려면 야외휘도에 곱하는 계수가 0.04이므로 휘도비가 상대적으로 작다. 교통안전시설 실무편람 제1절 일반원칙의 신호등 광학장치의 규격은 전압 110V 또는 220V, 전력100W∼150W, 전광속 1,400Lm이상, 수명 4,000시간 으로만 규정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썬 팬텀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은 전광속이 아니라 휘도에 있으므로 휘도비설정이 가장 중요하다. 터널에서 차량 진입시 암순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도 계산을 하는것은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주간 시간대 옥외휘도 (약 100,000cd/㎠)이상의 밝기로 되었을때 휘도센서(5)에 의하여 신호등 2개를 병렬점등시켜 상대적 휘도비가 감소하여 썬 팬텀 현상을 막을수 있도록 한다. 실질적으로 교통사고의 8.2%(1998년 통계청 기준)가 교통 신호등의 사고인 점을 기준으로 할때 상당한 교통 사고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신호등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을 장착한 전체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장착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장착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켓 2: 주전구
3: 보조전구 4: 신호등 본체
5: 휘도센서 6: 표시전구
7: 전원부 8: 주 제어부
9: 보조 제어부 10: 전면카바
11:보호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아울러 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번호로써 표기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도안의 구성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입력되면 곧바로 점등되어 신호등을 밝히도록 전구 고정소켓(1)에 고정되는 주전구(3)와 태양빛이 100,000cd/㎠이상이 되었을때 휘도센서(5)가 감지하여 곧바로 보조전구(3)와 주전구(2)가 함께 동작되도록 하며 또 주전구(2)와 보조전구(3)중 한개의 전구가 단선되면 대체수단을 표시하는 표시전구(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전구(3)는 썬 팬텀 방지 효과와 예비전구의 역활을 겸하게 된다.
동작회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 의 전원부(7)에 입력전압이 온 되어 주회로(8)가 통전되면 주전구가 점등되고 태양빛이 규정치를 넘을때는 휘도센서(5)에 의하여 주회로(8)가 연동되어 보조회로(9)에 통전하여 예비전구(3)가 동작되어 썬 팬텀 현상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교통신호등에서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신호등 제작시 한개의 램프에 병렬램프 및 휘도센서를 추가 설치하여 야외 휘도비를 고려한 1개점등 및 2개점등 하여 휘도를 증가시켜 신호등의 썬 팬텀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한개의 램프단선시 병렬램프가 점등되는 기능을 부가하는 기능을 특징하여 썬 팬텀 현상 방지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제고한 것이다.

Claims (5)

  1. 교류220V의 전원이 입력되면 주회로(8)와 부회로(9)로 전전압이 인가되고 직류3V로 변환된 전압은 휘도센서(5) 및 표시전구(6)로 공급되며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옥외휘도가 규정치 이하로 되었을때 옥외센서(5)에 의하여 주전구(2)와 보조전구(3)가 동시에 점등되는 교통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의 기재와 같이 주전구(2)가 단락시 주회로(8)와 보조회로(9)의 인터록 구성에 의하여 보조전구(3)가 점등되며 동시에 단락표시용 램프(6)가 점등되는 교통신호등
  3. 제1항에 있어서의 기재와 같이 신호등의 전면부에 단락표시용 전구(6)와 상부에 휘도센서(5)설치에 관한 교통신호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구(3)가 병렬점등 및 예비램프의 역활을 겸하는 교통신호등
  5. 보조전구(3)가 병렬점등 및 예비램프의 역활을 겸하는 기능
KR2020010005665U 2001-02-22 2001-02-22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KR200246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65U KR200246241Y1 (ko) 2001-02-22 2001-02-22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65U KR200246241Y1 (ko) 2001-02-22 2001-02-22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241Y1 true KR200246241Y1 (ko) 2001-09-28

Family

ID=7309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665U KR200246241Y1 (ko) 2001-02-22 2001-02-22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7Y1 (ko) * 2012-08-16 2013-04-03 (주)신아이엔씨 양면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47Y1 (ko) * 2012-08-16 2013-04-03 (주)신아이엔씨 양면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383B1 (ko) 비상유도 기능을 갖는 led 램프 제어시스템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0682076B1 (ko) 도로 조명등장치
KR100997539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KR200246241Y1 (ko) 휘도를 증가시켜 썬팬텀 현상을 방지하는 교통신호등
TW201425095A (zh) 具智慧型頭燈控制系統之車體
CN205606377U (zh) 一种路灯
KR0128694B1 (ko) 주간 주행등 점/소등장치
KR200355683Y1 (ko) 엘이디 교통 신호등의 구동 장치
KR200358378Y1 (ko) 예비전원부를 갖는 신호등용 전원공급장치
KR200308631Y1 (ko) Led 색광장식 가로등
CN213146409U (zh) 一种能够自动调节亮度的路灯
KR200361624Y1 (ko)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404617Y1 (ko) 주행 겸용 보행신호등
CN2539377Y (zh) 亮度可变的三色合一道路交通信号灯
KR920006058B1 (ko) 안전 신호등
CN207080914U (zh) 光控led自行车灯
KR200286545Y1 (ko) 차량 전조등용 에이치아이디 램프의 상하향등 전환 회로
KR200285439Y1 (ko) 교통신호등
KR970006282Y1 (ko) 자동차의 후진램프 및 그의 회로
KR0180153B1 (ko) 자동차의 전조등과 안개등 온/오프 장치
KR20050105877A (ko) 예비전원부를 갖는 신호등용 전원공급장치
KR100378266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교통신호등 제어회로
KR200273697Y1 (ko) 일체형 등기구
KR200348170Y1 (ko) 형광등, 형광전구를 내장한 도로표지판(주의표지,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