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439Y1 -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439Y1
KR200285439Y1 KR2020020010182U KR20020010182U KR200285439Y1 KR 200285439 Y1 KR200285439 Y1 KR 200285439Y1 KR 2020020010182 U KR2020020010182 U KR 2020020010182U KR 20020010182 U KR20020010182 U KR 20020010182U KR 200285439 Y1 KR200285439 Y1 KR 200285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ed lamp
cpu
tim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규
Original Assignee
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규 filed Critical 신민규
Priority to KR2020020010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439Y1/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색 보행신호등의 점소등시간을 3단계로 시분할하여 보행자가 잔여신호시간을 횡단보도를 건너기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LED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이 교체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LED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는 동안 램프의 점멸을 단펄스로 시분할하여 순간전류를 단전하고 밤과 낮의 조변변화에 따른 조도를 가변시키므로서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은 외부 케이스(1) 내부에 하우징(11)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LED 램프(2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CPU(31) 및 램프 드라이버(35)가 내장되고, 상기 CPU(31)의 후방에 파워 서플라이 (41) 및 전원 소켓트(45)가 배치되어 전원 소켓트(45)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41)로 공급된 전원을 파워 서플라이(41)에서 CPU(31)와 램프 드라이버(35)로 공급하고, CPU(31)의 제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35)가 구동되므로서 LED 램프(21)의 점멸주기가 가변되고, 상기 LED 램프(21)의 하단부에 배치된 수광소자(51)가 외부 밝기를 감지하여 CPU(31)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LED 램프(21)의 조도가 외부 밝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신호등{A traffic light}
본 고안은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색 보행신호등의 점소등시간을 4단계로 시분할하여 보행자가 잔여신호시간을 횡단보도를 건너기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LED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이 교체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LED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는 동안 램프의 점멸을 단펄스로 시분할하고 순간전류를 단전하고 밤과 낮의 조도변화에 따라 LED 램프의 조도를 가변시키므로서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신호등은 백열 필라멘트형 전구로 전력대비 조명효율이 떨어지고, 전구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하며, 단순히 적색등과 청색등을 교대로 점소등시킴으로서 보행자에게 보행과 정지를 인지시켜 횡단보도를 건너는 도중에 적색등이 점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4단계로 시분할하여 보행자가 잔여신호시간을 횡단보도를 건너기전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LED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의 교체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LED 램프가 지속적으로 점등되는 동안 램프의 점멸을 단펄스로 시분할하여 순간전류를 단전하고 밤과 낮의 조도변화에 따라 LED 램프의 조도를 가변시키므로서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일례는 외부 케이스 내부에 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LED 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CPU 및 램프 드라이버가 내장되고, 상기 CPU의 후방에 파워 서플라이 및 전원 소켓트가 배치되어 전원 소켓트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로 공급된 전원을 파워 서플라이에서 CPU와 램프 드라이버로 공급하고, CPU의 제어에 의해 램프드라이버가 구동되므로서 LED 램프의 점멸주기가 가변되고, 상기 LED 램프의 하단부에 배치된 수광소자가 외부 밝기를 감지하여 CPU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LED 램프의 조도가 외부 밝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램프의 점등시간을 4단계(안전한 보행, 여유있는 보행, 속행, 보행금지)로 분할하고 각 점등시간마다 상이한 점멸주기를 갖도록 점멸주기를 할당하고, 전원이 공급되어 LED 램프가 점등되는 동안,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눈으로 소등상태를 인식할 수 없도록 LED 램프의 턴온시간을 단펄스로 점소등시간을 시분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교통신호등의 회로도
도 3은 LED 램프의 점멸주기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외부 케이스 11 : 하우징
]21 : LED 램프 31 : CPU
35 : 램프 드라이버 41 : 파워 서플라이
45 : 전원 소켓트 51 : 수광소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은 외부 케이스(1) 내부에 하우징(11)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LED 램프(2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CPU(31) 및 램프 드라이버(35)가 내장되고, 상기 CPU(31)의 후방에 파워 서플라이(41) 및 전원 소켓트(45)가 배치되어 전원 소켓트(45)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41)로 공급된 전원을 파워 서플라이(41)에서 CPU(31)와 램프 드라이버(35)로 공급하고, CPU(31)의 제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35)가 구동되므로서 LED 램프(21)의 점멸주기가 가변되고, 상기 LED 램프(21)의 하단부에 배치된 수광소자(51)가 외부 밝기를 감지하여 CPU(31)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LED 램프(21)의 조도가 외부 밝기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 외부 케이스(1)는 정면에 태양빛 차광판(5)이 배치되어 태양빛에 의한 빛반사를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11)은 내부면에 반사경(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고, 정면에 청색 또는 적색으로 구분되는 색유리(13)가 배치된다.
상기 LED 램프(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LED가 조합되여 종래의 필라멘트 백열전구 형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램프 드라이버(35)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41)에는 배터리 백업회로(43)가 구비되어 전원 소켓트 (45)에서 파워 서플라이(45)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배터리 백업회로(43)의 배터리에 의해 CPU(31)의 턴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수광소자(51)의 신호는 A/D 컨버터(53)를 통해 CPU(31)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의 청색 신호등에 대한 작동은 다음과 같다.
CPU(31)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CPU(31)가 온 상태가 되면, 전원 온시점을 검출하여 기억하고, 상기 CPU(31)가 CPU(31)내의 EEPROM(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점등시간을 읽어 LED 램프(21)의 점등시간을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4단계(안전한 보행, 여유있는 보행, 속행, 보행금지)로 분할하고 각 점등시간마다 상이한 점멸주기를 갖도록 점멸주기를 할당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청색 식호등의 전체 점등시간이 60초일 경우, 최초 1 단계에서는 30초 동안 지속적으로 점등하고, 2단계12초 동안에는 점등시간 1초 소등시간 0.4초의 점멸주기를 가지며, 3단계 10초 동안에는 점등시간 0.7초 소등시간 0.3초의 점멸주기를 갖고, 4단계 8초 동안에는 점등시간 0.5초 소등시간 0.2초의 점멸주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CPU(31)가 램프 드라이버(35)에서 LED 램프(21)로 공급되는 구동전류의 개폐를 제어하므로서, LED 램프(21)가 4단계로 구분되어 점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51)를 통해 입력된 외부 밝기 신호에 따라 LED 램프(21)의 휘도가 2 단계(주야)로 구분되도록 하므로서 절전 및 신호등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주간에는 높은 휘도값을 갖도록 LED 램프(21)가 턴온되고, 야간에는 낮은 휘도값을 갖도록 LED 램프(21)가 턴온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은 절전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어 LED 램프(21)가 점등되는 동안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눈으로 소등상태를 인식할 수 없도록 LED 램프(21)의 턴온시간을 시분할하여 LED 램프(21)를 전멸시킬 수 있다. 즉, 시신경을 통해 두뇌가지 전달되는 시간이 20ms의 지연시간을 갖기때문에 1초에 20회 이상의 단펄스로 점소등시간을 시분할하면, 보행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순간전류 단전으로 인한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통신호등은 4단계로 시분할하여 보행자가 잔여신호시간을 보행자가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반도체 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의 교체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램프가 점등되는 동안 램프의 점멸을 단펄스로 시분할하여 순간전류를 단전하므로서 절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 케이스(1) 내부에 하우징(11)이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LED 램프(2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CPU(31) 및 램프 드라이버(35)가 내장되고, 상기 CPU(31)의 후방에 파워 서플라이(41) 및 전원 소켓트(45)가 배치되어 전원 소켓트(45)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41)로 공급된 전원을 파워 서플라이(41)에서 CPU(31)와 램프 드라이버(35)로 공급하고, CPU(31)의 제어에 의해 램프 드라이버(35)가 구동되므로서 LED 램프(21)의 점멸주기가 가변되고, 상기 LED 램프(21)의 하단부에 배치된 수광소자(51)가 외부 밝기를 감지하여 CPU(31)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LED 램프(21)의 조도가 외부 밝기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램프(21)의 점등시간을 4단계(안전한 보행, 여유있는 보행, 속행, 보행금지)로 분할하고 각 점등시간마다 상이한 점멸주기를 갖도록 점멸주기를 할당하고, 전원이 공급되어 LED 램프(21)가 점등되는 동안, 눈의 잔상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눈으로 소등상태를 인식할 수 없도록 LED 램프(21)의 턴온시간을 단펄스로 점소등시간을 시분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등.
KR2020020010182U 2002-04-04 2002-04-04 교통신호등 KR200285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82U KR200285439Y1 (ko) 2002-04-04 2002-04-04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82U KR200285439Y1 (ko) 2002-04-04 2002-04-04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439Y1 true KR200285439Y1 (ko) 2002-08-13

Family

ID=7312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82U KR200285439Y1 (ko) 2002-04-04 2002-04-04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4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90B1 (ko) * 2007-09-03 2008-07-14 송영덕 보행 신호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90B1 (ko) * 2007-09-03 2008-07-14 송영덕 보행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239B2 (en) Dual LED/incandescent security fixture
EP2233826B1 (en)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road and/or street lighting
KR100528439B1 (ko) 지능형 엘이디(led) 교통신호등 제어장치
CN102345821B (zh) 照明设备
KR100722951B1 (ko) 광학적 눈부심 제한기
WO2020200247A1 (zh) 感光控制装置及无频闪感光照明灯具和感光方法
KR102529870B1 (ko) 차량용 램프
KR200285439Y1 (ko) 교통신호등
CN201487802U (zh) 带连续光源的闪光灯
JP4051888B2 (ja) 街路灯
KR20120021955A (ko) 무인 제어기능을 갖는 가로등
JPS5855015B2 (ja) 輝度レベル調整装置
KR200421754Y1 (ko) 가로등 절전 제어 장치
CN213638276U (zh) 一种定时自动调光的照明灯控制系统及照明灯
KR0128694B1 (ko) 주간 주행등 점/소등장치
CN211853867U (zh) 一种防炫目爆闪灯
KR20180124797A (ko) BoT 횡단보도 집중조명등
JP7136952B1 (ja) 保安灯
KR100768242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기
KR200209846Y1 (ko) 엘이디 교통신호등 및 그 제어장치
KR200364428Y1 (ko) 가로등
KR200388735Y1 (ko) 조광형 엘이디 교통신호등
CN201568879U (zh) 闪烁式交通信号灯
KR101854675B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KR200286545Y1 (ko) 차량 전조등용 에이치아이디 램프의 상하향등 전환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