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07Y1 - 유리창용 조립 문살 - Google Patents

유리창용 조립 문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07Y1
KR200246107Y1 KR2020010013344U KR20010013344U KR200246107Y1 KR 200246107 Y1 KR200246107 Y1 KR 200246107Y1 KR 2020010013344 U KR2020010013344 U KR 2020010013344U KR 20010013344 U KR20010013344 U KR 20010013344U KR 200246107 Y1 KR200246107 Y1 KR 200246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horizontal
fastening groove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만
Original Assignee
김봉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자 filed Critical 김봉자
Priority to KR2020010013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07Y1/ko

Links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유리창에 창호지와 사출 문살을 적용하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 : 이 유리창용 조립 문살은, 소정 간격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체결홈(11)을 가지는 다수의 사출물 세로 살대(1); 소정 간격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세로 살대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홈(13)을 가지는 다수의 사출물 가로 살대(3);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가 직각으로 결합된 일측에 부착되는 창호지(5)로 구성되어; 창호지가 부착된 세로 살대와 가로 살대의 반대측으로 유리창 유리(9)의 실내측 면에 부착된다.
효과 : 따라서 유리가 개방성을 확보하고, 창호지가 조도, 단열, 및 습도 조절을 실현하며, 문살이 다양한 외형미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창용 조립 문살 {lattice for use in a window}
본 고안은 유리창용 조립 문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유리창을 이용하여 이 유리창 유리의 실내측 면에 설치되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선조는 강렬한 빛을 완충시켜 으스름 공간으로 만들어놓고 안주하는 으스름 문화를 형성했다. 우리는 이 으스름 문화를 유지해 왔고 또 앞으로도 존재시킬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 으스름 문화의 에센스가 바로 문에 바르는 창호지이다. 이 창호지는 빛의 세기인 조도를 조절하고, 단열 작용으로 실내를 보온 보냉하며, 흡습 작용으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한다.
이 창호지는 섬세한 외형미를 가지는 문살에 부착되며, 이 문살은 만자, 아자, 용자, 정자 등 다양한 형으로 형성된다. 이중 정자 형 문살인 띠살은 보편적이며, 촘촘한 세로 살대와, 이 세로 살대에 상중하 간격을 적당히 두고 띠처럼 가로지른 가로 살대가 있다.
이처럼 우리에게 유익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창호지와, 훌륭한 외형미를 가지는 문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주거환경이 급속도로 서구화되면서 창호지와 문살에 의한 전통 주거환경은 철저히 외면됨에 따라, 우리의 생활환경이 자연 환경과 더욱 괴리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신종 질병이 발생되어, 편리하자고 개선했던 우리의 주거환경이 오히려 역으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적어도 콘크리트 건축물과 이 건축물에 설치되는 밀폐식 또는 2중 새시 유리창 등에 의하여, 우리의 생활 공간은 자연환경과 더욱 멀어지면서, 실내 공간은 공조장치나 습도조절장치 등 각종 문명의 이기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명의 이기들은 또 다른 자연환경을 악화시켜, 더 강력한 문명의 이기를 필요로 하게 하는 악순환을 반복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전통의 창호지와 문살을 서구화된 유리창에 적용하여, 유리창의 개방성을 확보하면서, 창호지에 의한 조도, 단열, 및 습도 조절을 실현하고, 문살에 의한 외형미를 동시에 향유할 수 있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은, 소정 간격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체결홈을 가지는 다수의 사출물 세로 살대; 소정 간격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세로 살대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홈을 가지는 다수의 사출물 가로 살대; 세로 살대와 가로 살대가 결합된 일측에 부착되는 창호지로 구성되어; 창호지가 부착된 세로 살대와 가로 살대의 반대측으로 유리창 유리의 실내측 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창호지는 조도, 단열, 및 흡습 작용을 함은 물론이고, 유리창의 유리와 같이 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서 실내의 보온 보냉을 실현하는 단열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유리창용 조립 문살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이 적용된 창문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로 살대 3 : 가로 살대
5 : 창호지 7 : 창문
9 : 유리 11,13 : 체결홈
15 : 공기층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유리창용 조립 문살의 사용 상태도로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를 직각으로 조립하고, 그 일측에 창호지(5)를 부착하여, 조립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를 유리창(7)의 유리(9)에 설치함으로써, 유리창(7)의 기능을 가지면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1,3)가 형성하는 문살 및 창호지(5)의 장점을 향유할 수 있게 한다.
세로 살대(1)는 유리창(7)에서 세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체결홈(11)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며, 비금속인 알루미늄합금 새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세로 살대(1)들이 형성하는 그 배열 간격은 설치될 유리창(7)의 전 범위에 걸쳐서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외형미를 연출하기 위하여 간헐적으로 일정 개수씩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세로 살대(1) 간격의 광협은 실내(도 1에서 도면의 좌측, 이하 생략)의 조도에 영향을 준다. 즉, 세로 살대(1)의 간격이 조밀하면, 조방(粗放)적일 때 보다 실내는 더 으스름하게 된다.
이 세로 살대(1)의 체결홈(11)에 다른 체결홈(13)으로 체결되는 가로 살대(3)는 유리창(7)에서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세로 살대(1)와 같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가로 살대(3)들이 형성하는 그 배열 간격 또한 세로 살대(1)들이 형성하는 배열 간격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가로 살대(3)의 간격 또한 세로 살대(1)와 같이 실내의 조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들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는 이들 각각에 형성된 체결홈(11,13)으로 다른 가로 살대(3)와 세로 살대(1)에 형성된 체결홈(13,11)에 상호 직각 상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1,13)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즉, 세로 살대(1)에 형성된 체결홈(11)의 간격은 가로 살대(3)의 배열 간격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지고, 가로 살대(3)에 형성된 체결홈(11)의 간격은 세로 살대(1)의 배열 간격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체결홈(11,13)은 체결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의 양측이 같은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의 각각에서 최소한 그 높이(h)의 1/2만큼 절단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는 그 체결홈(11,13)으로 상호 체결되고, 체결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의 일측에 창호지(5)가 부착된다.
이 창호지(5)가 부착된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지(5) 반대측이 유리창(7)의 유리(9) 면에 부착 설치된다.
이때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는 유리창(7)보다 실내 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게 부착 설치되므로 유리창(7)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며, 세로 살대(1)와 가로 살대(3) 각각의 선단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유리창(7)에 실란트 및 접착제로 부착된다.
이렇게 부착된 창호지(5)는 대향측 유리(9)와 함께 중공의 공기층(15)을 형성하게 된다. 이 공기층(15)은 유리(9)를 통하여 실내로 전달되는 냉기 및 온기를 한번 차단함으로써 실내(도 2에서 좌측)의 조도, 단열, 및 습도를 조절하는 창호지(5)의 단열 작용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사용중인 유리창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유리의 개방성을 유지하면서도, 세로 살대와 가로 살대를 적용하여 유리창에 다양한 외형미를 실현하여 유리창의 미적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더욱이 창호지를 실내 측에 위치시키므로 실내의 조도, 단열 및 습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

  1. 유리창(7) 유리(9)의 실내측 면에 부착되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에 있어서,
    소정 간격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체결홈(11)을 가지는 다수의 세로 살대(1);
    소정 간격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세로 살대(1)의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홈(13)을 가지는 다수의 가로 살대(3);
    상기 세로 살대(1)와 상기 가로 살대(3)가 결합된 일측에 부착되는 창호지(5)를 포함하는 유리창용 조립 문살.
KR2020010013344U 2001-05-08 2001-05-08 유리창용 조립 문살 KR200246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44U KR200246107Y1 (ko) 2001-05-08 2001-05-08 유리창용 조립 문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44U KR200246107Y1 (ko) 2001-05-08 2001-05-08 유리창용 조립 문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07Y1 true KR200246107Y1 (ko) 2001-10-15

Family

ID=7306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344U KR200246107Y1 (ko) 2001-05-08 2001-05-08 유리창용 조립 문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95B1 (ko) * 2015-06-18 2016-01-20 김정철 접이식 목재 개폐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95B1 (ko) * 2015-06-18 2016-01-20 김정철 접이식 목재 개폐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693B1 (ko) 단열기능이 우수한 커튼월 프레임
KR100611859B1 (ko)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새시 및 그 제조 방법
CN100476158C (zh) 绝热窗玻璃装置的间隔件和窗格条
US4783938A (en) Window panel assembly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70463B1 (ko) 커튼월
US5394664A (en) Interlocking skylight and roof panel assembly
ES2131254T3 (es) Marco de perfiles metalicos en realizacion contra incendios para ventanas, puertas, fachadas o tejados de vidrio.
KR20100048999A (ko) 실링 부재를 갖는 프로파일 부재
KR20040041098A (ko) 일체형 다중유리창섀시 및 이의 제작방법
US8006442B2 (en) Double-glazed windows with inherent noise attenuation
JP2019532203A (ja) 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特に、三重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断熱グレージング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5517102A (ja) 多重の窓ガラスを一体化した窓サッシ及び多重の窓ガラスを一体化した窓サッシ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000008719A (ja) 複層ガラス
KR200246107Y1 (ko) 유리창용 조립 문살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134623B1 (ko)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JP2003120136A (ja) 複層ガラス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29338A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0331756Y1 (ko) 보조형재를 사용하여 기밀, 수밀, 단열성능을 높인고기능 창호
KR200309078Y1 (ko) 창문의 열손실 차단판
KR20040040004A (ko) 이중레일을 구성한 문틀 및 이중롤러바
KR200355503Y1 (ko) 강화유리문의 도어패널
JP3219887U (ja) 減光遮熱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