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338A -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 Google Patents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338A
KR20190129338A KR1020180053816A KR20180053816A KR20190129338A KR 20190129338 A KR20190129338 A KR 20190129338A KR 1020180053816 A KR1020180053816 A KR 1020180053816A KR 20180053816 A KR20180053816 A KR 20180053816A KR 20190129338 A KR20190129338 A KR 20190129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iver
width direction
frame
plat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18005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338A/ko
Publication of KR2019012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구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판유리와 마주하여 구비되고 프레임을 이루는 4개의 내면 중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내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간봉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간봉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단이 판유리와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2 간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 막대 형상인 중공체이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내부에 흡습체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A windows having enhanced moisture absorption capability}
본 발명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온도 차이로 인한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이중창으로 시공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는 거실을 확장하는 대신 베란다에 설치된 창호를 이중창으로 시공하여 단열과 방음을 개선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호(10)는 외면에 제1 유리(11-2)가 부착 설치된 프레임(11)에 문틀골재(12), 필름(13), 간봉(14) 및 제2 유리(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11)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이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 시공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1)의 외면에는 실외와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제1 유리(11-2)가 구비된다.
상기 문틀골재(12)는 상기 프레임(11)의 상기 제1 유리(11-2)가 부착된 반대쪽면에 부착된다. 상기 문틀골재(12)는 프레임(11)의 형상을 따라 설치 시공된다.
상기 간봉(14)은 긴 봉 형상이며, 문틀골재(12)에 형성된 안착부(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된다. 상기 간봉(14)에는 문틀골재(12)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간봉(14)의 내부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제2 유리(15)는 상기 문틀골재(12)의 안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유리(15)는 먼저 설치된 간봉(14)에 밀착 설치되어 제1 유리(11-2)와 더불어 이중창 구조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간봉(14)은 상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찬 공기와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더운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형성된 습기를 초기에 차단하지 못하며, 통공이 문틀골재(12)의 내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감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5302호(2009.08.2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의 발생을 방지하며, 프레임을 통해 전달되는 냉기에 의한 습기를 흡습하며, 이웃하는 제1 간봉의 단부 사이에 흡습제가 구비된 제2 간봉을 구비함으로써 제2 간봉에 형성된 순환공이 노출되지 않아 미려감이 향상된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는 프레임부재로 이루어져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구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판유리와 마주하여 구비되고 프레임을 이루는 4개의 내면 중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내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간봉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간봉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단이 판유리와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2 간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 막대 형상인 중공체이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내부에 흡습체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2 간봉은 막대 형상이며 단부가 개구된 중공체인 제2 간봉본체와, 상기 제2 간봉본체의 단부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제2 간봉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본체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복수의 순환공이 형성되며, 제2 간봉본체의 내부에는 흡습체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간봉은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이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개구된 중공체인 제1 간봉본체와, 상기 제1 간봉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1 간봉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간봉본체의 두께 방향 양단이 제1 간봉본체에 결합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간봉본체의 폭 방향 일측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통공이 형성되고, 제1 간봉본체의 폭 방향 타측은 판유리를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부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간봉의 측면과 상기 제1 간봉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는 서로 마주하며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는 제1 간봉과 별도로 흡습제가 구비된 제2 간봉을 구비하여 창호의 간봉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며,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에 의한 성애가 효율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제1 간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제2 간봉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제1 간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의 제2 간봉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2에서 프레임부재(111)로 둘러싸인 공간을 "내부 또는 내측"이라고 기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100)는 프레임(110)과, 복수의 판유리(140)와, 제1 간봉(120)과, 제2 간봉(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4개의 프레임부재(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재(111)는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4개의 프레임부재(111)는 중심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사각틀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110)을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부재(111)는 압출되어 성형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부에는 복수의 판유리(140)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재(111)에는 프레임부재(111)의 폭 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판유리(1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113)와 제1 결합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판상으로서 프레임부재(111)의 폭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프레임부재(111)와 결합부(115)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부재(111)에 연결되고, 타측은 결합부(115)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상기 프레임부재(111)의 내측 단부로부터 외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5)는 판상으로서 상기 연결부(113)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프레임부재(111)의 폭면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5)의 양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재(111)를 향해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다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3)의 양측으로 프레임부재(111)와 결합부(115)에 의하여 내향 개구된 오목한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에는 판유리(140)가 삽입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판유리(14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판유리(1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부에 프레임부재(11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판유리(140)는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판유리(140)는 판유리(140)의 둘레를 따라 실리콘(S)이 도포되어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상기 판유리(140)는 결합부(115)와 연결부(113)와 프레임부재(111)로 이루어져 내향 개구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판유리(140)의 단부는 연결부(113)에 접하고 실리콘(S)이 도포되어 고정된다.
도 4에서 제1 간봉(120)은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제1 간봉(120)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간봉(1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은 상기 판유리(140) 사이에서 프레임(110)의 내면에 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4개의 내면 중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의 길이 방향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는 제2 간봉(130)에 접하고, 나머지 단부는 프레임(110)의 내면에 접하거나 제2 간봉(130)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은 폭 방향 양측이 상기 판유리(140)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은 제1 간봉본체(121)와 복수의 벽체(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는 길이 방향 양단이 개구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22)는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벽체(12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벽체(122)는 복수개이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벽체(122)는 두께 방향 양단이 상기 제1 간봉본체(121)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벽체(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제1 통공(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공(125)은 벽체(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간봉(120)에는 제1 간봉본체(121)와 복수의 벽체(122)에 의해 본체공간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공간부(123)는 상기 제1 간봉본체(121)와 벽체(1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공간부(12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본체공간부(123)는 길이 방향 양단이 개구된 중공부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공간부(123)는 복수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이웃하는 본체공간부(123)는 상기 제1 통공(125)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통공(127)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통공(127)은 복수로 형성되어 제1 간봉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타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개구된 측방개구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타측 단부는 상기 판유리(140)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방개구부(124)가 형성된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타측은 판유리(140)를 향하여 개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간봉(130)은 프레임부재(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인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간봉(130)은 상기 판유리(140) 사이에 위치하며, 폭 방향 양단은 상기 판유리(140)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120)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간봉(120)의 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간봉(130)은 제2 간봉본체(131)와 제2 간봉캡(1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본체(131)의 내부에는 흡습체(135)가 채워진다. 상기 흡습체(135)로는 실리카겔 등이 있다.
상기 제2 간봉본체(131)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본체(131)는 단부가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본체(131)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간봉본체(131)에는 제2 간봉(130)의 측방으로 관통된 복수의 순환공(131-1)이 형성된다. 상기 순환공(131-1)은 상기 간봉본체(131)의 내부에 투입되는 흡습체(135)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간봉캡(133)은 상기 제2 간봉본체(131)의 개구된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캡(133)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간봉캡(133)에는 제2 간봉캡(133)의 둘레를 따라 폭 방향 내향하는 턱면이 형성되며 단면적이 감소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간봉캡(133)에 형성된 턱면은 제2 간봉본체(131)의 단부에 접하며 상기 제2 간봉본체(131)의 개구부를 밀봉한다.
상기 제2 간봉(130)은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 간봉(130)의 이웃하는 2개의 측면은 프레임부재(111)의 내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내측면과 마주하며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간봉(130)의 이웃하는 나머지 2개의 측면은 각각 이웃하는 제1 간봉(12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서로 마주하며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간봉(120)과 제2 간봉(130)은 상기 본체공간부(123)와 순황공(131-1)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 간봉(120)의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고, 제2 간봉(130)에는 제2 간봉(130)의 측방으로 관통된 순환공(131-1)이 형성됨으로써 시공 후 판유리(140) 사이의 습기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제2 간봉(130)은 상기 이웃하는 제1 간봉(120)의 단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시공 후 미려감을 헤치지 않으며, 흡습제가 구비된 제2 간봉을 별도로 구비되어 창호의 간봉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110 : 프레임 111 : 프레임부재
113 : 연결부 115 : 결합부
120 : 제1 간봉 121 : 제1 간봉본체
122 : 벽체 123 : 본체공간부
124 : 측방개구부 125 : 제1 통공
127 : 제2 통공 130 : 제2 간봉
131 : 제2 간봉본체 133 : 제2 간봉캡
135 : 흡습제 140 : 판유리

Claims (4)

  1. 프레임부재(111)로 이루어져 개구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개구부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판유리(140)와, 상기 판유리(140)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양측이 판유리(140)와 마주하여 구비되고 프레임(110)을 이루는 4개의 내면 중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내면에 부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제1 간봉(120)과, 상기 판유리(140)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부재(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제1 간봉(120)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폭 방향 양단이 판유리(140)와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2 간봉(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130)은 막대 형상인 중공체이며,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내부에 흡습체(135)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봉(130)은 막대 형상이며 단부가 개구된 중공체인 제2 간봉본체(131)와, 상기 제2 간봉본체(131)의 단부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제2 간봉캡(1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간봉본체(131)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복수의 순환공(131-1)이 형성되며, 제2 간봉본체(131)의 내부에는 흡습체(135)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봉(120)은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이며 길이 방향 양단이 개구된 중공체인 제1 간봉본체(121)와,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제1 간봉본체(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간봉본체(121)의 두께 방향 양단이 제1 간봉본체(121)에 결합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벽체(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122)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통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일측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 통공(127)이 형성되고, 제1 간봉본체(121)의 폭 방향 타측은 판유리(140)를 향하여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간봉(130)의 측면과 상기 제1 간봉(12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단부는 서로 마주하며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20180053816A 2018-05-10 2018-05-10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190129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6A KR20190129338A (ko) 2018-05-10 2018-05-10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16A KR20190129338A (ko) 2018-05-10 2018-05-10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38A true KR20190129338A (ko) 2019-11-20

Family

ID=6872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16A KR20190129338A (ko) 2018-05-10 2018-05-10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3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449B1 (ko) 2022-10-12 2024-04-11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240058675A (ko) 2022-10-26 2024-05-03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02B1 (ko) 2009-05-26 2009-09-03 안희봉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02B1 (ko) 2009-05-26 2009-09-03 안희봉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449B1 (ko) 2022-10-12 2024-04-11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240058675A (ko) 2022-10-26 2024-05-03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194693B1 (ko) 단열기능이 우수한 커튼월 프레임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200479863Y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KR101729645B1 (ko) 이격 틈새를 갖는 내부 공기 배출형 내진 외벽패널 조립체
US4364216A (en) Structural unit in the form of a profiled bar
KR10167285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커튼월 창호
KR101198280B1 (ko)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20190129338A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1724894B1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ES2748749T3 (es) Sistema de carpintería de aluminio con aislamiento térmico mejorado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1685608B1 (ko) 건물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이질재의 바를 개선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KR20210081812A (ko) 단열 및 밀폐구조를 갖는 창호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JP6824698B2 (ja) コーナー方立
KR102656449B1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2134623B1 (ko) 수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미서기창 수직프레임의 연결구조
KR20190092367A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및 창호용 간봉
KR102510136B1 (ko) 후벽용 창호 마감 프레임 및 후벽용 창호 시스템
KR101571375B1 (ko) 이중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