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80B1 -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 Google Patents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80B1
KR101198280B1 KR1020120083757A KR20120083757A KR101198280B1 KR 101198280 B1 KR101198280 B1 KR 101198280B1 KR 1020120083757 A KR1020120083757 A KR 1020120083757A KR 20120083757 A KR20120083757 A KR 20120083757A KR 101198280 B1 KR101198280 B1 KR 10119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tted
door fram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호
김수완
Original Assignee
(주) 비제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제이건설 filed Critical (주) 비제이건설
Priority to KR102012008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호 교행 가능하게 개폐되게 한 미서기창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에 단열목재를 부착하고 복창의 내부창에도 단열목재를 부착하여 단열과 기밀유지를 향상시키고,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방우스크린, 방충스크린 또는 방충망을 설치할 수 있게 한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르면 기존의 방충망은 외부창에 설치하므로 사용 시나 풍압이 적용될 때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도 없고 고장 시 수리가 용이하며, 방우창 기능도 할 수 있어 강풍이나 태풍으로 비가 옆으로 들어와도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방우스크린, 방충스크린, 방충망의 3가지 중 예산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나중에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도 안전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방충스크린과 방우스크린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과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유리가 파손되어도 유리 교체 전까지 외부로부터 비, 해충, 먼지 등으로부터 임시 방편으로 방어 가능하며, 기존의 PVC, FRP와 달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를 이용한 단열목재부가 설치되어 단열과 기밀유지가 향상되어 에너지 효율이 기존의 제품보다 뛰어나고, 기존의 미서기창과는 달리 금형이 4가지에서 2가지로 축소되고,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Ecofriendly and Functional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호 교행 가능하게 개폐되게 한 미서기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서기창에서 방우스크린과 방충스크린이나 방충망을 외부창와 내부창 사이에 설치할 수 있고, 단열목재부를 사용하여 미서기창의 단열효율 및 기밀유지를 높인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서기창은 2짝 또는 4짝으로 창틀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을 밀어서 열게 되면 2짝이 겹쳐져서 서게 되는 창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미서기창은 대게 주택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하측 고정프레임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하측 고정프레임 사이 및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사이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유리부재가 구비되는 창문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창문 프레임과 상기 하측 고정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으로 인해 상기 유리부재가 구비된 상기 창문 프레임이 상부방향으로 떠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유리부재가 구비된 상기 창문 프레임의 기밀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428630로 게시된 미서기창호의 복합프레임은 상기 창문을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창틀하부프레임(20)의 레일에 인접 형성된 복수열의 슬라이딩면과, 상기 레일에 구비된 복수열의 슬라이딩면에 상응하여 회전되게 창문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열의 로울러와, 상기 레일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되는 창문하부프레임의 내측면 다수곳에 식모되어 방음 및 방풍작용을 하는 모헤어를 포함한 구성되나 기본적인 단열과 기밀만 되므로 현대와 같이 베란다가 없는 곳에서는 외벽에 사용하기는 미흡한 창호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11839로 게시된 다중 기밀부재가 구비된 창짝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는 창짝프레임의 가이드부 내부에 복수의 기밀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기밀부재 결합구조를 형성함과 아울러 창짝 프레임의 가이드부의 내부공간(걸림치수 밖의 빈 공간)을 기밀부재로 채우게 됨으로써, 기밀성, 단열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킨 것이나 본 발명과는 상이한 내용이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1560로 게시된 미서기식 창틀용 채널부재와 이를 이용한 미서기식 창틀은 미서기창과 미서기창을 안내하도록 복수의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안내레일에 미끄러지도록 설치된 미서기창과 미서기창의 사이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기를 갖추고, 상기 돌기의 양측면에 형성된 모헤어결합홈과, 상기 안내레일의 상부면에 입구보다 안쪽이 더 넓게 형성된 끼움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채널부재와, 상기 모헤어결합홈에 모헤어가 설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채널부재의 끼움홈에 안내레일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원형의 환봉이 끼워지고, 좌우측면과 상부면에 배치된 채널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일단은 원형부이고 타단은 막대형태부로 일체형으로 구성된 탄성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채널부재의 돌기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대끼움홈으로 보강대가 끼워진 구조이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고 단열과 기밀유지가 미약하다.
등록특허 10-1015562로 게시된 기밀성이 향상된 미서기 창틀은 건축물의 벽체에 수평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프레임과; 상기 상하측 고정프레임의 좌우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하측 고정프레임 사이 및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 사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창문프레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보조바;가 구비되는 구조이나 방충망을 옥외에 설치하고 단열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호 교행 가능하게 개폐되게 한 미서기창에서 방우스크린과 방충스크린이나 방충망을 외부창와 내부창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고,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과 내부창에 단열목재부를 사용하여 미서기창의 단열효율 및 기밀유지를 높인 미서기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은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며, 제1외부창과 제2외부창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외부창과, 제1내부창과 제2내부창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내부창으로 구성된 창문부와; 건물구조체(frame)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부가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프레임부로 구성된다.
상기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슬라이딩스크린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방우롤스크린과 방충롤스크린이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창문부가 끼워져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건물구조체 개구부의 4방에 설치되어 창틀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막아주는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외부창과 제2외부창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와; 상기 페어글라스가 끼워지는 외부창 도어프레임과;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 프레임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내부창과 제2내부창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와; 상기 페어글라스가 끼워지는 내부창 도어프레임과;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도어 단열목재부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은 기둥, 벽, 또는 보로부터의 단열과 강도보강을 위하여 하부에 격실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을 통하여 실내로 외기가 전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반으로 분리되어 좌·우측을 단열시키는 프레임 분리단열재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은 옥외 측에 상기 외부창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외부창 설치구역과; 실내 측에 상기 내부창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내부창 설치구역과;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과 내부창 설치구역의 중간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 및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스크린 설치구역으로 구획되는 구조이다.
상기 단열충전부는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전하고, 프레임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단열재의 인장강도는 40MPa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와 도어 단열목재부는 자외선에 강한 70~85 중량%의 목분과 목칩에, 수분에 강하고 벗겨지거나 쪼개지지 않는 15~30 중량%의 올레핀수지의 배합물로 제작되고, 열전도율 0.15 kcal/mHr℃ 이하이어야 한다.
상술한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르면 기존의 방충망은 외부창에 설치하므로 사용 시나 풍압이 적용될 때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도 없고 고장 시 수리가 용이하다.
방우창 기능도 할 수 있어 강풍이나 태풍으로 비가 옆으로 들어와도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방우스크린, 방충스크린, 방충망의 3가지 중 예산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나중에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도 안전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방충스크린과 방우스크린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과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가 파손되어도 유리 교체 전까지 외부로부터 비, 해충, 먼지 등으로부터 임시 방편으로 방어 가능하다.
기존의 PVC, FRP와 달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를 이용한 단열목재부가 설치되어 단열과 기밀유지가 향상되어 에너지 효율이 기존의 제품보다 뛰어나다.
기존의 미서기창과는 달리 금형이 4가지에서 2가지로 축소되고,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미서기창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전체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롤스크린이 부착된 전체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슬라이딩스크린이 부착된 전체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A-A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도어프레임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도어프레임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 및 도어 단열목재부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마감커버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그레이징비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기밀유지가스킷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모헤어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롤스크린 및 롤스크린 프레임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프레임 분리단열재 결합 전후 도면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기존 미서기창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전체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롤스크린이 부착된 전체 B-B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슬라이딩스크린이 부착된 전체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B-B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A-A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B-B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외부창 도어프레임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내부창 도어프레임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 및 도어 단열목재부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마감커버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그레이징비드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기밀유지가스킷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모헤어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롤스크린 및 롤스크린 프레임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른 프레임 분리단열재 결합 전후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기존 미서기창(8)은 창문부(81)과 프레임부(82)로 구성되며, 상기 창문부(81)은 외부창(81a)와 내부창(81b)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나 창문부의 프레임이 창문상부프레임(811)과 창문양쪽프레임(812)와 창문하부프레임(813)과 창문중간프레임(814)의 4가지로 구성되나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은 도어 단열목재부(126)가 들어가지 않는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도어 단열목재부(126)가 들어가는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두가지로 구성되어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으며, 도어 단열목재부(126)가 포함되어 단열효과가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미서기창(8)은 외부에 방충망(83)이 설치되도록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821)이 제작되어 설치의 어려움과 낙하에 따른 안전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방충롤스크린(3), 방우롤스크린(4) 또는 방충슬라이딩스크린(5)이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설치되어 설치가 쉽고 낙하에 따른 안전의 위험이 없다.
도 2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호 교행 가능하게 개폐되게 한 본 발명의 미서기창은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외부창(11)과,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내부창(12)으로 구성된 창문부(1)와; 건물구조체(frame)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부(1)가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프레임부(2)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상기 외부창(11)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4)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슬라이딩스크린(5)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 및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는 방우롤스크린(4) 2가지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부(2)는 상기 창문부(1)가 끼워져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건물구조체 개구부의 4방에 설치되어 창틀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막아주는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11)와;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는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1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13)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11)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14)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21)와;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는 내부창 도어프레임(122)과;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2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23)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24)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25)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도어 단열목재부(126)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의 외부로부터의 단열은 상기 프레임부(1)의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를 통해 들어오는 열은 프레임 분리단열재(214)에 의해 1차 단열되고, 2차로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에서 단열되고, 상기 창문부(1)로 들어오는 열이나 외기는 상기 기밀부(115, 125)에서 1차 막고 외·내부 도어프레임(112, 122)에 의한 전열은 단열충전부(1126, 1226)의 단열재에 의해 도어프레임이 분할 단열되어 열전달을 막고, 최종적으로 상기 도어 단열목재부(126)에 의해 단열되어 친환경적으로 3중으로 단열되어 단열효율과 기밀효율이 좋다.
또한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와 도어 단열목재부(126)는 기존 단열재보다 면적이 넓어 단열효과 증대되고, 납(Pb), 카드늄(Cd), 크롬(Cr), 수은(Hg), 비소(As)가 검출되지 않는 환경표지인증제품으로 친환경적이며, 자외선에 강한 70~85 중량%의 목분과 목칩에, 수분에 강하고 벗겨지거나 쪼개지지 않는 15~30 중량%의 올레핀수지의 배합물로 제작되고, 열전도율 0.15 kcal/mHr℃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도 3은 입면도에서 B-B 부분에서 본 수평단면도로서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과 상기 외부창(11)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4)이 동시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며,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은 상하로 열리는 것이 아니라 좌우로 열리고 닫히는 타입이다.
도 4는 입면도에서 B-B 부분에서 본 수평단면도로서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방충슬라이딩스크린(5)를 설치한 것을 보여준다.
도 3과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을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과 방충슬라이딩스크린(5)를 각각 하나씩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예산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도 있고 추후에 설치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부창(11)은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의 2창으로 나누어지며,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11)와;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는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1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13)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11)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14)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15)로 구성된다.
상기 페어글라스(111)와 그레이징비드(113) 사이에는 백업로드(1132)를 끼운 후 경화성의 유리퍼티(1131)로 마감한다.
상기 기밀부(115)는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워져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틈 사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외기나 빗물을 차단하는 2개의 기밀유지가스킷(1151)과,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끼워져 상기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내부로 들어오거나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외기를 차단시키는 2개의 모헤어(1152)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지 않는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을 수직으로 사용했을 때 도어락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열리는 부분의 수직면을 막아주며 상기 외부창(11)을 닫았을 때 상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163)가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마감커버(116)가 설치된다.
상기 마감커버(116)에는 상기 모헤어(1163)를 끼울 수 있는 모헤어끼움부(116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에 끼워지는 도어프레임결합돌기(1162)가 형성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내부창(12)은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의 2창으로 나누어지며,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21)와;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는 내부창 도어프레임(122)과;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2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23)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24)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25)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도어 단열목재부(126)로 구성된다.
상기 페어글라스(121)와 그레이징비드(123) 사이에는 백업로드(1232)를 끼운 후 경화성의 유리퍼티(1231)로 마감한다.
상기 기밀부(125)는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워져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틈 사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외기나 빗물을 차단하는 2개의 기밀유지가스킷(1251)과,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25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끼워져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 내부로 들어오거나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외기를 차단시키는 2개의 모헤어(1252)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지 않는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을 수직으로 사용했을 때 도어락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열리는 부분의 수직면을 막아주며 상기 내부창(12)을 닫았을 때 상기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273)가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마감커버(127)가 설치된다.
상기 마감커버(127)에는 상기 모헤어(1273)를 끼울 수 있는 모헤어끼움부(127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224)에 끼워지는 도어프레임결합돌기(1272)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은 상기 창문부(1)가 끼워져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건물구조체 개구부의 4방에 설치되어 창틀 역할을 하며, 기둥, 벽, 또는 보로부터의 단열과 강도보강을 위하여 하부에 격실(215)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을 통하여 실내로 외기가 전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반으로 분리되어 좌·우측을 단열시키는 프레임 분리단열재(214)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은 옥외 측에 상기 외부창(11)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외부창 설치구역(211)과; 실내 측에 상기 내부창(12)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내부창 설치구역(213)과;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과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중간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 및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4)이 설치되는 스크린 설치구역(212)으로 구획되는 구조이다.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은 상기 제1외부창(11a)을 설치하는 제1외부창 설치구역(211a)과, 제2외부창(11b)을 설치하는 제2외부창 설치구역(2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창설치구역(213)은 상기 제1내부창(12a)을 설치하는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과, 제2내부창(12b)을 설치하는 제2내부창 설치구역(21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내부창 설치구역(213b)과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은 높이 차이가 나는 단층(2133)이 형성되어 빗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과 스크린 설치구역(212) 및 외부창 설치구역(211)은 옥외 측으로 경사지고, 빗물이 침입하여도 빗물이 프레임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홀(2113, 2124, 2134)이 형성되어 옥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의 옥외측 말단은 빗물과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외부창(11a)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수직벽(2111)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창(11)의 롤러(114)가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외부창(11)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모헤어(1152)에 의해 외기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상기 모헤어(1152)와 접촉하는 레일(2112)이 2개소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 설치구역(212)에는 상기 제2외부창(11b)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방우롤스크린(4)을 설치하는 방우롤스크린 설치부(2121)와, 상기 방충롤스크린(3)을 설치하는 방충롤스크린 설치부(2122)와,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가 삽입되는 분리단열재 삽입부(2123)가 형성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분리단열재 삽입부(2123)는 끝부분이 벌어지게 형성된 것을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의 홈으로 끼운 후 끝부분을 오므려 좌우측이 끼워지게 하여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와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이 일체화가 되게 한다.
상기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실내 측 말단은 빗물과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2내부창(12b)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가 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수직벽(2131)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수직벽(2131)에는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가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목재 끼움부(2131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창(12)의 롤러(124)가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내부창(12)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모헤어(1252)에 의해 외기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상기 모헤어(1252)와 접촉하는 레일(2132)이 2개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의 폭은 320mm로 기존의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821)이 240mm 이므로 약 80mm 정도만 폭을 크게 하면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을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을 위한 공기층 역할도 하므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의 이점이 많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은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며,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는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는 유리 끼움부(1121)와, 상기 그레이징비드(113)가 끼워지는 그레이징비드 끼움부(1122)와, 상기 롤러(114)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부(1123)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또는 마감커버(116)가 끼워지는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와, 상기 모헤어(1152)가 끼워지는 모헤어 끼움부(1125)와, 외측과 내측을 단열시켜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열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충전부(1126)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은 1개의 부품으로 창문틀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어프레임보다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다.
상기 단열충전부(1126)는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전하고, 프레임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단열재의 인장강도는 4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은 알루미늄 재질로 열전도율 215 kcal/mHr℃ 이고, 폴리우레탄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3 kcal/mHr℃이므로 상기 단열재를 충전한 후 도면의 좌측과 우측이 상기 단열재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열전도가 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은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며,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는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는 유리 끼움부(1221)와, 상기 그레이징비드(123)가 끼워지는 그레이징비드 끼움부(1222)와, 상기 롤러(124)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부(1223)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251) 또는 마감커버(127)가 끼워지는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224)와, 상기 모헤어(1252)가 끼워지는 모헤어 끼움부(1225)와, 외측과 내측을 단열시켜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를 통한 전열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충전부(1226)와, 상기 도어 단열목재부(126)가 끼워져 고정되는 단열목재 끼움부(1227)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은 1개의 부품으로 창문틀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어프레임보다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다.
상기 단열충전부(1226)는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전하고, 프레임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단열재의 인장강도는 4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은 알루미늄 재질로 열전도율 215 kcal/mHr℃ 이고, 폴리우레탄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0.03 kcal/mHr℃이므로 상기 단열재를 충전한 후 도면의 좌측과 우측이 상기 단열재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열전도가 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 및 도어 단열목재부(126)는 자외선에 강한 70~85 중량%의 목분과 목칩에, 수분에 강하고 벗겨지거나 쪼개지지 않는 15~30 중량%의 올레핀수지의 배합물로 제작되고, 열전도율 0.15 kcal/mH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에는 상기 단열목재 끼움부(21311)이 끼워져는 - 형상의 제1끼움홈(221)과 ㄱ 형상의 제2끼움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단열목재부(126)에는 상기 단열목재 끼움부(1227)이 끼워져는 - 형상의 제1끼움홈(1261)과 ㄱ 형상의 제2끼움홈(1262)이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 및 도어 단열목재부(126)는 단열구조가 간단하고 단열면적 크고 두께를 두껍게 만들 수 있으며, 기존 단열재보다 면적이 넓어 단열효과 증대되고, 납(Pb), 카드늄(Cd), 크롬(Cr), 수은(Hg), 비소(As)가 검출되지 않는 환경표지인증제품으로 친환경적이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마감커버(116, 127)는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지 않는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을 수직으로 사용했을 때 도어락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열리는 부분의 수직면을 막아주며 상기 외부창(11)을 닫았을 때 상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163)가 설치되거나,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지 않는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을 수직으로 사용했을 때 도어락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열리는 부분의 수직면을 막아주며 상기 내부창(12)을 닫았을 때 상기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273)가 설치되는 앵글 형상이다.
상기 마감커버(116, 127)에는 상기 모헤어(1163, 1273)를 끼울 수 있는 모헤어끼움부(1161, 127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 1224)에 끼워지는 도어프레임결합돌기(1162, 1272)가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그레이징비드(113, 123)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 또는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11, 12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부품으로 상기 그레이징비드 끼움부(1122, 1222)에 끼워지는 전방끼움부(1134, 1234)와 후방끼움부(1133, 1233)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1251)은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 접촉하여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는 가스킷본체부(11511, 1251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 1224)에 끼워지는 결합부(11512, 12512)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킷본체부(11511, 12511)는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의 접촉 대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내부는 중공((115111, 125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512, 12512)에는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 1224)에 쉽게 끼워지게 중공(1151221, 12512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모헤어(1152, 1252, 1273)는 상기 레일(2112, 2132)의 수직면에 슬라이딩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PP 재질의 헤어부(11521, 12521, 12731)와, 상기 헤어부(11521, 12521, 12731)가 심어지고 상기 모헤어 끼움부(1125, 1225, 1271)에 끼워지는 모판부(11522, 12522, 12732)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헤어부(11521, 12521, 12731)는 PP 재질로 실처럼 뽑아낸 후 코팅처리하여 강도를 높이고, 상기 모판부(11522, 12522, 12732)는 PP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은 좌우로 열리고 닫히는 타입이며, 롤스크린프레임(31, 41)이 상기 방충롤스크린 설치부(2122)와 방우스크린 설치부(2121)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방충롤스크린(3)과 방우롤스크린(4)을 롤스크린프레임(31, 41)에 부착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에 따르면 기존의 방충망은 외부창에 설치하므로 사용 시나 풍압이 적용될 때 이탈되어 외부로 추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외부창과 내부창 사이에 설치하여 추락의 위험도 없고 고장 시 수리가 용이하다.
방우창 기능도 할 수 있어 강풍이나 태풍으로 비가 옆으로 들어와도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방우스크린, 방충스크린, 방충망의 3가지 중 예산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나중에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도 안전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방충스크린과 방우스크린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과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가 파손되어도 유리 교체 전까지 외부로부터 비, 해충, 먼지 등으로부터 임시 방편으로 방어 가능하다.
기존의 PVC, FRP와 달리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목재를 이용한 단열목재부가 설치되어 단열과 기밀유지가 향상되어 에너지 효율이 기존의 제품보다 뛰어나다.
기존의 미서기창과는 달리 금형이 4가지에서 2가지로 축소되고, 가공공정이 대폭 축소되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 등 제작원가가 낮아진 효과가 있다.
1 : 창문부 11 : 외부창
11a : 제1외부창 11b : 제2외부창
111 : 페어글라스 112 : 외부창 도어프레임
1121 : 유리 끼움부 1122 : 그레이징비드 끼움부
1123 : 롤러 설치부 1124 :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
1125 : 모헤어 끼움부 1126 : 단열충전부
113 : 그레이징비드 1131 : 유리퍼티
1132 : 백업로드 114 : 롤러
115 : 기밀부 1151 : 기밀유지가스킷
11511 : 가스킷본체부 115111 : 중공
11512 : 결합부 115121 : 중공
1152 : 모헤어 11521 : 헤어부
11522 : 모판부 116 : 마감커버
1161 : 모헤어끼움부 1162 : 도어프레임결합돌기
1163 : 모헤어 11631 : 헤어부
11632 : 모판부 12 : 내부창
12a : 제1내부창 12b : 제2내부창
121 : 페어글라스 122 : 내부창 도어프레임
1221 : 유리 끼움부 1222 : 그레이징비드 끼움부
1223 : 롤러 설치부 1224 :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
1225 : 모헤어 끼움부 1226 : 단열충전부
1227 : 단열목재 끼움부 123 : 그레이징비드
1231 : 유리퍼티 1232 : 백업로드
124 : 롤러 125 : 기밀부
1251 : 기밀유지가스킷 12511 : 가스킷본체부
125111 : 중공 12512 : 결합부
125121 : 중공 1252 : 모헤어
12521 : 헤어부 12522 : 모판부
126 : 도어 단열목재부 1261 : 제1깨움홈
1262 : 제2깨움홈 127 : 마감커버
1271 : 모헤어끼움부 1272 : 도어프레임결합돌기
1273 : 모헤어 12731 : 헤어부
12732 : 모판부 2 : 프레임부
21 :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 211 : 외부창 설치구역
211a : 제1외부창 설치구역 211b : 제2외부창 설치구역
2111 : 외측수직벽 2112 : 레일
2113 : 배수홀
212 : 스크린 설치구역 2121 : 방우롤스크린 설치부
2122 : 방충롤스크린 설치부 2123 : 분리단열재 삽입부
2124 : 배수홀
213 : 내부창 설치구역 213a : 제1내부창 설치구역
213b : 제2내부창 설치구역 2131 : 내측수직벽
21311 : 단열목재 끼움부 2132 : 레일
2133 : 단층 2134 : 배수홀
214 : 프레임 분리단열재 215 : 격실
2151 : 보강리브 22 :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
221 : 제1끼움홈 222 : 제2끼움홈
3 : 방충롤스크린 31 : 롤스크린프레임
4 : 방우롤스크린 41 : 롤스크린프레임
5 : 방충슬라이딩스크린 51 : 슬라이딩스크린프레임
8 : 기존 미서기창 81 : 창문부
81a : 외부창 81b : 내부창
811 : 창문상부프레임 812 : 창문양쪽프레임
813 : 창문하부프레임 814 : 창문중간프레임
815 : 방충망프레임1 816 : 방충망프레임2
82 : 프레임부 821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
83 : 방충망

Claims (7)

  1. 베란다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호 교행 가능하게 개폐되게 한 미서기창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은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열리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외부창(11)과,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의 2창으로 나누어지는 내부창(12)으로 구성된 창문부(1)와;
    건물구조체(frame)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창문부(1)가 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프레임부(2)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2)는 상기 창문부(1)가 끼워져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건물구조체 개구부의 4방에 설치되어 창틀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막아주는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11)와;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는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1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13)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11)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14)와;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15)로 구성되며,
    상기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은 두 장의 판유리와 공간을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져 단열과 결로방지를 위한 페어글라스(121)와;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는 내부창 도어프레임(122)과;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상기 페어글라스(121)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그레이징비드(123)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하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창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롤러(124)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 끼워져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밀부(125)와;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인도어 쪽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열과 외기의 침투를 최종적으로 막아주는 도어 단열목재부(126)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은 기둥, 벽, 또는 보로부터의 단열과 강도보강을 위하여 하부에 격실(215)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을 통하여 실내로 외기가 전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반으로 분리되어 좌·우측을 단열시키는 프레임 분리단열재(214)가 삽입되는 구조이며,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은 옥외 측에 상기 외부창(11)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외부창 설치구역(211)과;
    실내 측에 상기 내부창(12)이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내부창 설치구역(213)과;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과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중간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 및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4)이 설치되는 스크린 설치구역(212)으로 구획되는 구조인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상기 외부창(11)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방우롤스크린(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슬라이딩스크린(5)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은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 사이에 벌레의 침입을 막아주는 방충롤스크린(3) 및 외부창이 열렸을 때나 파손되었을 때 비가 들어오지 못하는 방우롤스크린(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115, 125)는 상기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122)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워져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122)의 틈 사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외기나 빗물을 차단하는 2개의 기밀유지가스킷(1151, 1251)과,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125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12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끼워져 상기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122) 내부로 들어오거나 상기 외·내부창 도어프레임(112, 122)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외기를 차단시키는 2개의 모헤어(1152, 1252)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의 상기 페어글라스(111, 121)가 끼워지지 않는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과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을 수직으로 사용했을 때 도어락킹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열리는 부분의 수직면을 막아주며 상기 외부창(11)과 내부창(12)을 닫았을 때 상기 제1외부창(11a)과 제2외부창(11b) 또는 제1내부창(12a)과 제2내부창(12b) 사이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163, 1273)가 설치되는 앵글 형상의 마감커버(116, 127)가 설치되며,
    상기 마감커버(116, 127)에는 상기 모헤어(1163, 1273)를 끼울 수 있는 모헤어끼움부(1161, 127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 1224)에 끼워지는 도어프레임결합돌기(1162, 1272)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에는 상기 페어글라스(111)가 끼워지는 유리 끼움부(1121)와, 상기 그레이징비드(113)가 끼워지는 그레이징비드 끼움부(1122)와, 상기 롤러(114)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부(1123)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또는 마감커버(116)가 끼워지는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와, 상기 모헤어(1152)가 끼워지는 모헤어 끼움부(1125)와, 외측과 내측을 단열시켜 상기 외부창 도어프레임(112)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열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충전부(1126)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에는 상기 페어글라스(121)가 끼워지는 유리 끼움부(1221)와, 상기 그레이징비드(123)가 끼워지는 그레이징비드 끼움부(1222)와, 상기 롤러(124)가 설치되는 롤러 설치부(1223)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251) 또는 마감커버(127)가 끼워지는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224)와, 상기 모헤어(1252)가 끼워지는 모헤어 끼움부(1225)와, 외측과 내측을 단열시켜 상기 내부창 도어프레임(122)를 통한 전열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충전부(1226)와, 상기 도어 단열목재부(126)가 끼워져 고정되는 단열목재 끼움부(1227)가 형성되는 구조이고,
    상기 단열충전부(1126, 1226)는 경질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전하고, 프레임의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단열재의 인장강도는 40MPa 이상이며,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은 상기 제1외부창(11a)을 설치하는 제1외부창 설치구역(211a)과, 제2외부창(11b)을 설치하는 제2외부창 설치구역(211b)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창설치구역(213)은 상기 제1내부창(12a)을 설치하는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과, 제2내부창(12b)을 설치하는 제2내부창 설치구역(2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내부창 설치구역(213b)과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은 높이 차이가 나는 단층(2133)이 형성되어 빗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고,
    상기 제1내부창 설치구역(213a)과 스크린 설치구역(212) 및 외부창 설치구역(211)은 옥외 측으로 경사지고, 빗물이 침입하여도 빗물이 프레임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홀(2113, 2124, 2134)이 형성되어 옥외 측으로 배수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의 옥외측 말단은 빗물과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외부창(11a)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수직벽(2111)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창 설치구역(21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창(11)의 롤러(114)가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외부창(11)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모헤어(1152)에 의해 외기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상기 모헤어(1152)와 접촉하는 레일(2112)이 2개소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설치구역(212)에는 상기 제2외부창(11b)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방우롤스크린(4)을 설치하는 방우롤스크린 설치부(2121)와, 상기 방충롤스크린(3)을 설치하는 방충롤스크린 설치부(2122)와,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가 삽입되는 분리단열재 삽입부(212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실내 측 말단은 빗물과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2내부창(12b)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가 측면에 설치되는 내측수직벽(213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수직벽(2131)에는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가 끼워져 결합되는 단열목재 끼움부(2131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창 설치구역(213)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창(12)의 롤러(124)가 상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내부창(12)이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며 상기 모헤어(1252)에 의해 외기 침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상기 모헤어(1252)와 접촉하는 레일(2132)이 2개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분리단열재(214)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기밀유지가스킷(1151, 1251)은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에 접촉하여 외기의 침입을 최소화하는 가스킷본체부(11511, 12511)와 상기 기밀유지가스킷 끼움부(1124, 1224)에 끼워지는 결합부(11512, 12512)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킷본체부(11511, 12511)는 상기 슬라이딩 윈도우프레임(21)과의 접촉 대응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내부는 중공((115111, 125111)이며,
    상기 모헤어(1152, 1252, 1273)는 상기 레일(2112, 2132)의 수직면에 슬라이딩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PP 재질의 헤어부(11521, 12521, 12731)와, 상기 헤어부(11521, 12521, 12731)가 심어지고 상기 모헤어 끼움부(1125, 1225, 1271)에 끼워지는 모판부(11522, 12522, 12732)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7.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프레임 단열목재부(22)와 도어 단열목재부(126)는 자외선에 강한 70~85 중량%의 목분과 목칩에, 수분에 강하고 벗겨지거나 쪼개지지 않는 15~30 중량%의 올레핀수지의 배합물로 제작되고, 열전도율 0.15 kcal/mH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1020120083757A 2012-07-31 2012-07-31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10119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57A KR101198280B1 (ko) 2012-07-31 2012-07-31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757A KR101198280B1 (ko) 2012-07-31 2012-07-31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280B1 true KR101198280B1 (ko) 2012-11-07

Family

ID=4756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757A KR101198280B1 (ko) 2012-07-31 2012-07-31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6657A (zh) * 2014-01-09 2014-04-02 河南星智发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防止高空抛物的推拉窗装置
KR20160071290A (ko) 2014-12-11 2016-06-21 (주)두린 미서기창의 호차측 단열구조
KR20170132702A (ko) * 2017-11-14 2017-12-04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800786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08496A (ko) * 2019-04-09 2020-01-28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20200134477A (ko) * 2019-05-22 2020-12-02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20220118752A (ko) 2021-02-19 2022-08-26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코니의 방풍방화 셔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548A (ja) 1997-09-22 1999-04-06 Nippon System Kenko Kk 網 戸
JP2000080869A (ja) 1998-09-04 2000-03-21 Shin Nikkei Co Ltd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KR101023748B1 (ko)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162922B1 (ko) 2009-08-04 2012-07-05 주식회사 에코빅 다기능 창호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548A (ja) 1997-09-22 1999-04-06 Nippon System Kenko Kk 網 戸
JP2000080869A (ja) 1998-09-04 2000-03-21 Shin Nikkei Co Ltd 窓サッシ用スクリーン装置
KR101162922B1 (ko) 2009-08-04 2012-07-05 주식회사 에코빅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023748B1 (ko)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6657A (zh) * 2014-01-09 2014-04-02 河南星智发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防止高空抛物的推拉窗装置
KR20160071290A (ko) 2014-12-11 2016-06-21 (주)두린 미서기창의 호차측 단열구조
KR20180078667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지에이에이치씨복합창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3203B1 (ko) * 2016-12-30 2019-02-28 씨에이치씨윈도우 주식회사 범용성을 구비하는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32702A (ko) * 2017-11-14 2017-12-04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101866294B1 (ko) * 2017-11-14 2018-06-12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200008496A (ko) * 2019-04-09 2020-01-28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102086754B1 (ko) 2019-04-09 2020-03-09 주식회사 중일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
KR20200134477A (ko) * 2019-05-22 2020-12-02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102283214B1 (ko) * 2019-05-22 2021-07-29 김원호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20220118752A (ko) 2021-02-19 2022-08-26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코니의 방풍방화 셔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280B1 (ko) 친환경 기능성 미서기창
KR101370463B1 (ko) 커튼월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20120005975A1 (en) Easy-to-construct window apparatus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JP6847859B2 (ja) 大開口サッシ
KR20110002819U (ko) 창호
AU2006348055B2 (en) A curtain wall with an air spac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e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JP2008267021A (ja)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スパンドレル部分の結露防止構造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US7908796B2 (en) Fenestration assembly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101293191B1 (ko)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20130061831A (ko) 배수홀캡을 구비한 고층용 미서기 시스템 창호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CN206385995U (zh) 单元体幕墙内平开结构
KR20160129348A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 월 시공용 복합 외장 패널 조립체 유닛
US11624232B2 (en) Clear view panel for overhead door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