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302B1 -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302B1
KR100915302B1 KR1020090046019A KR20090046019A KR100915302B1 KR 100915302 B1 KR100915302 B1 KR 100915302B1 KR 1020090046019 A KR1020090046019 A KR 1020090046019A KR 20090046019 A KR20090046019 A KR 20090046019A KR 100915302 B1 KR100915302 B1 KR 100915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uble
frame
door fram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봉
문명규
Original Assignee
안희봉
문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봉, 문명규 filed Critical 안희봉
Priority to KR102009004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이중창을 시공하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감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이고도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과 문틀골재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 혹은 문양이 형성된 필름이 부착되므로 외부의 습기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미려감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습기는 제1,2유리 사이에 구비된 간봉의 내부에 구비되니 흡습제가 통공을 통해 흡수하게 되므로 성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제1 내지 제4공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체계적이고도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A double window structure of window glas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에 이중창을 시공하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려감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이고도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통상 단창으로 시공되어 있다. 즉, 사각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외측면에 부착된 판상의 유리로 구성된 단창의 구조로 시공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창은 단열과 방음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복층유리로 시공을 많이 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에는 거실을 확장하는 대신 베란다에 설치된 단창의 창호를 이중창으로 시공하여 단열과 방음을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단창의 창호 중 여닫이나 미닫이의 도어가 부착되어서 개폐할 수 있는 창호의 경우에는 이중창으로 구성하여도 그 사이를 소통시킬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도어 없이 통유리로 구성된 창호의 경우 이중창으로 형성하게 되면 그 사이가 밀폐되므로 그 이중창 사이에는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해서 성애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심하게 되면 유리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이런 경우는 비온 다음날이 특히 심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게 되며, 밀폐된 구조로 인해 이를 닦아 낼 수도 없어 상당한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물론, 상기의 이중창 사이에 별도의 환기시스템이나 건조를 위한 열원이 설치되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나 이를 설치하기에는 그 공정도 복잡하지만 설치비용의 증가로 인해 사실상 설치 불가능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이중창 사이에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좀 더 시공이 간편한 새로운 이중창의 구조 및 시공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려감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성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이고도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유리로 구성된 단층 창호에 시공되어 이중창을 갖도록 한 창호의 이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그 형상을 따라 단턱의 안치부가 마련된 문틀골재가 설치되고, 상기 문틀골재와 프레임의 표면 전체에는 미려감 향상은 물론이고 연결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도록 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가 충진된 간봉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제2유리가 상기 간봉과 밀착 설치되어 이중창 구조를 가지되, 상기 흡습제는 알갱이 형태로서, 가열된 것이 간봉 내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습제는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 ~ 50분 가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유리로 구성된 단층 창호에 시공되는 창호의 이중창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그 형상을 따라 단턱의 안치부가 마련된 문틀골재를 부착하는 제1공정; b) 상기 문틀골재와 프레임의 표면을 깨끗이 청소한 뒤 그 표면 전체에 미려감 향상은 물론이고 연결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도록 필름을 부착하는 제2공정; c)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가 충진된 간봉을 부착 설치하는 제3공정; 및 d)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문틀골재의 안치부에 설치된 간봉에 밀착되도록 제2유리를 부착 설치하여서 이중창을 완성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여 시공되되, 상기 제3공정에서 설치되는 간봉의 내부에 충진된 흡습제는 가열된 것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습제는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 ~ 50분 가열되고, 식지 않은 상태에서 충진되어 시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과 문틀골재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 혹은 문양이 형성된 필름이 부착되므로 외부의 습기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미려감이 우수함은 물론이고 온도차로 인해 이중창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습기는 제1,2유리 사이에 구비된 간봉의 내부에 구비도니 흡습제가 통공을 통해 흡수하게 되므로 성애의 발생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제1 내지 제4공정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체계적이고도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으로 시공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에 의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봉을 도시한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선 단면에 의한 창호의 이중창 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5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적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호의 이중창 110 : 프레임
112 : 제1유리 120 : 문틀골재
122 : 안치부 130 : 필름
140 : 간봉 142 : 통공
144 : 흡습제 146a,146b : 양면접착테이프
148 : 연결구 150 : 제2유리
160 : 벽면 S200 : 제1공정
S210 : 제2공정 S220 : 제3공정
S230 : 제4공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A-A선 단면에 의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봉을 도시한 도 2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창호의 이중창(100)은 외면에 제1유리(112)가 부착 설치된 프레임(110)에 문틀골재(120), 필름(130), 간봉(140) 및 제2유리(150)가 시공되어져 이중창을 갖도록 된 구조인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이며,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건물 시공시 설치되는데, 그 외면에는 실외와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제1유리(112)가 부착 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문틀골재(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리(112)가 부착된 반대쪽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프레임(110)의 형상을 따라 설치 시공되며, 상기 간봉(140)과 제2유리(150)가 설치될 단턱의 안치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름(130)은 상기 프레임(110)과 문틀골재(120)의 표면 전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프레임(110)과 문틀골재(120)의 연결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미려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그 연결부분으로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130)이 설치 시공되면 전술한 장점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건물 시공시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10)과 후에 시공되는 문틀골재(120)는 서로 색상이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필름(130)을 부착하게 되면 서로 다른 색상을 일치시킬 수 있어 마치 하나의 틀이 시공된 것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레임(110)이나 문틀골재(120)는 제조되는 색상 자체가 한정되어 있거나 단조로운 단점이 있으나, 필름(130)은 다양한 컬러나 문양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 장점 있어 이를 부착시공하게 되면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수요자만의 독특한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간봉(140)은 긴 봉 형상이되, 문틀골재(120)에 형성된 안치부(122)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틀 형상을 갖는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 설치되기 위해서 연결구(148)를 매개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간봉(140)은 도 3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듯이 그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는 통공(14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통공(142)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144)가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습제(144)는 알갱이 형태의 제오몰이나 실리카 겔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게 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흡습제는 대략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분 이상 가열시켜서 제조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흡수한 수분을 외부로 방출시킨 것을 간봉 내부에 충진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144)를 80℃가 넘는 고온에서 가열하게 되면 수분은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되나 가열과정에서 흡습제(144) 자체가 훼손될 수 있으며, 빨리 식는 문제도 발생된다. 그러므로, 100g을 가열할 때 50℃ ~ 80℃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50분 정도의 일정 시간동안 천천히 가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도의 온도에서 약 30분 정도 가열된 것을 충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봉(140)의 양 측면에는 양면접착테이프(146a,146b)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중 일측 양면접착테이프(146a)는 상기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 자신이 부착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고, 다른 일측 양면접착테이프(146b)는 후술할 제2유리(150)의 가장자리 부분을 부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유리(150)는 상기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설치된 상기 간봉(140)의 양면접착테이프(146b)에 밀착 설치되어 제1유리(112)와 더불어 이중창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유리(150)의 가장자리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제2유리(150)를 문틀골재(120)에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통상의 실리콘이 도포되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C-C선 단면에 의한 창호의 이중창 구조의 시공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벽면(160)에는 프레임(1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공지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진다. 이 프레임(110)의 외면 즉, 실외측면에는 제1유리(112)가 부착 설치되어 실내외를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즉, 실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면에는 그 형상을 따라 문틀골재(120)가 부착되며, 문틀골재(120)와 프레임(110)의 표면에는 필름(130)이 부착되어 그 연결부분을 밀폐하고 있고,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는 간봉(140)과 제2유리(15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져 이중창 구조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간봉(140)은 통공(142)이 형성된 면이 제1유리(112)와 제2유리(150) 사이 공간을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구(148)를 매개로 문틀골재(120)의 형상과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설치되는데, 일측면에 형성된 양면접착테이프(146a)를 매개로 자신이 안치부(122)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면에 형성된 양면접착테이프(146b)를 매개로 제2유리(150)와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간봉(14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흡습제(144)는 전술한 범위 내의 온도와 시간에서 가열된 것을 사용하되 열이 식기전에 시공하여 흡습제(144)가 주변의 다른 습기를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과 문틀골재(120)의 표면을 감싸는 필름(130)은 프레임(110)의 상하 및 좌우측 일부가 벽면(160)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프레임(110) 전체를 감싸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매립된 그 부분은 제외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부분 전체를 감싸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러한, 구조로 창호의 이중창(100)이 설치되면, 이중창의 기본 목적인 단열과 방음이 우수함은 당연하고,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해 밀폐된 제1,2유리(112,150) 사이의 공간에 습기가 발생하게 되면 간봉(140)의 내부에 충진된 흡습제(144)가 통공(142)을 통해 이를 흡수하게 되므로 그 공간 내에서는 습기 발생으로 인한 성애나 물방울 맺힘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간봉(140) 내부에 충진된 흡습제(144)가 가열되어져 보관과정에서 일부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완전히 방출한 상태로 충진되므로 제1,2유리(112,150) 사이의 공간에서 흡수 능력이 탁월하여 완벽한 수분제거가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과 문틀골재(120)는 각각 설치되나 그 표면에 부착되는 필름(130)에 의해서 하나의 틀로 인식될 수 있음과 더불어 다양한 컬러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미려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창호의 이중창 시공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이중창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적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창호의 이중창 시공방법은 건물의 벽면(160)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유리(112)로 구성된 단층 창호를 이중창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크게 4단계의 공정을 통해서 설치되는데, "가"에 해당되는 a) 제1공정(S200), "나"에 해당되는 b) 제2공정(S210), "다"에 해당되는 c) 제3공정(S220) 및 "라"에 해당되는 d) 제4공정(S230)을 포함하여 시공된다.
먼저, 상기 a) 제1공정(S200)은, 벽면(16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즉, 실내측면에서 그 형상을 따라 단턱의 안치부(122)가 마련된 문틀골재(120)를 부착하는 공정으로, 그 접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서로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b) 제2공정(S210)은, 상기 문틀골재(120)와 프레임(110)의 표면을 깨끗이 청소한 뒤 그 표면 전체에 미려감 향상은 물론이고 연결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도록 필름(130)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이 필름(130)은 수요자가 원하는 색상이나 문양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이미 다양한 문양과 색상을 가지는 것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단조로운 프레임과 문틀골재의 색상에서 탈피하여 더욱 미려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필름(130)을 부착하는 목적이 프레임(110)과 문틀골재(120)의 연결부분을 통해서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목적 하나이면 필름(130)을 부착하지 않고 그 연결 부분에 대한 방수처리를 실시하여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함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필름(130)이 사용되므로써 습기차단은 물론이고 미려감 증진 등의 두 가지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c) 제3공정(S220)은, 상기 필름(130)이 부착된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는 일면에 통공(142)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에는 상기 통공(142)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144)가 충진된 간봉(140)을 부착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간봉(140)을 사각틀 형상으로 미리 형성하여서 안치부(122) 내에 부착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봉(140)의 양측면에는 양면접착테이프(146a,146b)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된 양면접착테이프(146a)를 매개로 자신이 안치부(122)에 부착되므로 이 시공 또한 아주 간편하다.
한편, 상기 흡습제(144)는 알갱이 형태의 제오몰이나 실리카 겔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게 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흡습제(144)는 대략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분 이상 가열시켜서 제조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흡수한 수분을 외부로 방출시킨 것을 간봉(140) 내부에 충진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습제(144)를 80℃가 넘는 고온에서 짧은 시간 가열하게 되면 수분은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되나 가열과정에서 흡습제 자체가 훼손될 수 있으며, 빨리 식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100g을 가열할 때 50℃ ~ 80℃의 온도에서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50분 정도의 일정 시간동안 천천히 가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도의 온도에서 약 30분 정도 가열하는 것이 좋으며, 가열된 상태에서 충진하게 되며, 식지 않은 상태로 바로 시공하는 것이 더 좋다.
왜냐하면, 상기 흡습제(144)는 보관과정에서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고 있는데, 이를 가열하게 되면 흡수하고 있는 습기를 다시 방출하기 때문에 시공된 후 흡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가열 후 식은 상태로 방치하거나 이 상태로 시공하게 되면 흡습제는 주변의 습기를 다시 흡수하기 때문에 시공 후 흡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없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d) 제4공정(S230)은, 상기 필름(130)이 부착된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 설치된 간봉(140)에 제2유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밀착되도록 부착 설치하여서 이중창을 완성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제2유리(150)는 간봉(140)의 다른 일측면에 구비된 양면접착테이프(146b)를 매개로 제2유리(150)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분이 부착되므로 간봉(140)과의 긴밀성이 우수할 것이다. 그리고, 제2유리(15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는 그 형상을 따라 실리콘(미도시 됨)을 도포하여서 문틀골재(120)의 안치부(122)에 단단히 고정하여 이중창의 시공을 완성하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창호의 이중창(100)은 크게 4공정으로 시공되므로 체계적이고도 보다 단순화된 공정에 의해 일률적인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특히, 이미 설치되어 있는 단창의 구조로 된 창호를 훼손하지 않고도 손쉽게 이중창으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은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4)

  1.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유리로 구성된 단창 창호에 시공되어 이중창을 갖도록 한 창호의 이중창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그 형상을 따라 단턱의 안치부가 마련된 문틀골재가 설치되고, 상기 문틀골재와 프레임의 표면 전체에는 미려감 향상은 물론이고 연결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도록 필름이 부착되며, 상기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가 충진된 간봉이 설치되고, 상기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제2유리가 상기 간봉과 밀착 설치되어 이중창 구조를 가지되,
    상기 흡습제는 알갱이 형태로서, 가열된 것이 간봉 내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 ~ 50분 가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이중창 구조.
  3.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유리로 구성된 단창 창호에 시공되는 창호의 이중창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그 형상을 따라 단턱의 안치부가 마련된 문틀골재를 부착하는 제1공정;
    b) 상기 문틀골재와 프레임의 표면을 깨끗이 청소한 뒤 그 표면 전체에 미려감 향상은 물론이고 연결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도록 필름을 부착하는 제2공정;
    c)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문틀골재의 안치부에는 일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되 내부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가 충진된 간봉을 부착 설치하는 제3공정; 및
    d)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문틀골재의 안치부에 설치된 간봉에 밀착되도록 제2유리를 부착 설치하여서 이중창을 완성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여 시공되되,
    상기 제3공정에서 설치되는 간봉의 내부에 충진된 흡습제는 가열된 것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이중창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는 50℃ ~ 80℃의 온도에서 적어도 30분 이상 가열되고, 식지 않은 상태에서 충진되어 시공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이중창 시공 방법.
KR1020090046019A 2009-05-26 2009-05-26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15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19A KR100915302B1 (ko) 2009-05-26 2009-05-26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019A KR100915302B1 (ko) 2009-05-26 2009-05-26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302B1 true KR100915302B1 (ko) 2009-09-03

Family

ID=4135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019A KR100915302B1 (ko) 2009-05-26 2009-05-26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30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795B1 (ko) * 2012-04-13 2012-08-31 (주)아이솔루션 온도 악조건 테스트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성애 차단창
KR101264201B1 (ko) 2011-09-08 2013-05-14 고만식 이중단열 창호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52020B1 (ko) 2013-11-12 2015-09-09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경량 단열창
KR20170030179A (ko) * 2015-09-09 2017-03-17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190092367A (ko) 2019-08-01 2019-08-07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및 창호용 간봉
KR20190129338A (ko) 2018-05-10 2019-11-20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2656449B1 (ko) 2022-10-12 2024-04-11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240058675A (ko) 2022-10-26 2024-05-03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783A (ko) * 2008-01-25 2009-07-29 (주)사림엔지니어링 이중창 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783A (ko) * 2008-01-25 2009-07-29 (주)사림엔지니어링 이중창 보강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201B1 (ko) 2011-09-08 2013-05-14 고만식 이중단열 창호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78795B1 (ko) * 2012-04-13 2012-08-31 (주)아이솔루션 온도 악조건 테스트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성애 차단창
KR101552020B1 (ko) 2013-11-12 2015-09-09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경량 단열창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114B1 (ko) 2014-02-06 2016-02-26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0179A (ko) * 2015-09-09 2017-03-17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101724894B1 (ko) 2015-09-09 2017-04-07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190129338A (ko) 2018-05-10 2019-11-20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190092367A (ko) 2019-08-01 2019-08-07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및 창호용 간봉
KR102656449B1 (ko) 2022-10-12 2024-04-11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240058675A (ko) 2022-10-26 2024-05-03 김용대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302B1 (ko) 창호의 이중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431177B1 (ko) 커튼월 단열시스템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360247B1 (ko) 고 기밀성 단열 케이스먼트 창호
KR101327457B1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200358392Y1 (ko) 단열패널의 결합이 용이한 복합창호
CN202832002U (zh) 一种高性能提升推拉门
KR101612412B1 (ko) 창호의 유리창 단열 마감장치
RU2620241C1 (ru)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ая светопрозра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1572236B1 (ko) 단열재와 패턴 필름을 갖는 유리 창호 시스템
JPH1171141A (ja) 複層ガラス
CN209539163U (zh) 铝覆玻纤节能耐火窗
KR20210004879A (ko) 단열부로 향하는 자외선 차단층을 구비한 커튼월 시스템
KR101352686B1 (ko) 내부 덧창 부착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
KR101566513B1 (ko) 단열재와 패턴 필름을 갖는 유리 창호 시스템의 제조방법
KR20110013883A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CN214091557U (zh) 一种高保温性的门窗幕墙
FI121282B (fi) Kiinteiden ikkunoiden asennusmenetelmä
JP3816496B2 (ja) 開口部用遮断熱部材、開口部用遮断熱構造及び遮断熱部材形成方法
CN214576603U (zh) 一种门窗型材
KR101627814B1 (ko) 실내 기능성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