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980Y1 -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980Y1
KR200245980Y1 KR2020010015845U KR20010015845U KR200245980Y1 KR 200245980 Y1 KR200245980 Y1 KR 200245980Y1 KR 2020010015845 U KR2020010015845 U KR 2020010015845U KR 20010015845 U KR20010015845 U KR 20010015845U KR 200245980 Y1 KR200245980 Y1 KR 200245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ad
vehicle
outside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윤상
김동귀
엄지회
한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15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980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또는 고가도로 등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즉, 중앙분리대(1)의 외측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그 내측에는 충격흡수부재(11)가 형성된 제1덮개(10)와, 상기 제1덮개(1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외측면에는 벌집형의 통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통공(21)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덮개(20)와, 상기 제2덮개(2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1덮개(10)와 같은 재질인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표면에는 자외선막을 코팅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한 제3덮개(3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A protection cover of median strip of a road}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또는 고가도로 등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는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산업발전에 따라 전국토가 일일 생활권 범위내에 속하면서 도로를 이용하여 많은 이동을 하고 있는데, 이때 많은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실이 커짐에 따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정부에서는 많은 예산을 들여 최소한의 피해를 입을 수 있도록 도로에 여러 안전시설 등을 설치하였고, 그 중에서도 고가도로나 고속도로 등에서 고속주행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최소화하고자 중앙분리대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중앙분리대의 설치 목적은 첫째, 차량의 주행시 중앙선 침범에 의한 치명적인 정면 충돌을 방지하여 인명과 차량손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둘째, 다차선 도로에서는 반대차선과의 오인을 방지하여 원활한 주행 및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과, 셋째, 차량의 유턴방지 및 보행자의 횡단방지와 운전자의 시선유도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과, 넷째, 도로표지 및 교통 관련 시설 등을 설치함은 물론 특히 야간 주행시 반대차선의 전조등의 불빛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차광망 등을 설치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앙분리대는 대부분 콘크리트로서 제작되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로 제작되어진 중앙분리대는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잦은 파손으로 수시로 보수를 해야하므로 막대한 보수비용이 소요되고 있었고, 미처 보수를 하지 못한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1)를 철재로서 제작된 보호덮개(2)로 감싸서 중앙분리대(1)를 보호하고자 하였으나 장시간이 경과하면 주위의 오염물질로 인하여 철재가 부식하여 우천시 붉은 녹물이 도로로 흘러내려 도로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이 또한 수시로 보수를 해야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고, 철재로서 제작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로 또는 고가도로 등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의 외측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또한 그 내측에 충격흡수부재가 형성된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외측면에는 벌집형의 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통공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덮개와, 상기 제2덮개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1덮개와 같은 재질인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표면에는 자외선막을 코팅하여 식별을용이하게 한 제3덮개로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분리대 2 : 보호덮개
10 : 제1덮개 11 : 충격 흡수부재
20 : 재2덮개 21 : 통공
30 : 제3덮개
이하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중앙분리대(1)의 외측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그 내측에는 충격흡수부재(11)가 형성된 제1덮개(10)와, 상기 제1덮개(1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외측면에는 벌집형의 통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통공(21)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덮개(20)와, 상기 제2덮개(2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1덮개(10)와 같은 재질인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표면에는 자외선막을 코팅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한 제3덮개(30)를 중앙분리대(1)의 외측에 덧씌우고 결합부재로서 결합하여 중앙분리대(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노후된 중앙분리대(1)의 외측에 충격흡수부재(11)가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하여 중앙분리대(1)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덮개(10)를 씌우고, 상기 제1덮개(10)개의 외측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후 벌집형의 통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통공(21)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덮개(20)를 결합한다.
상기 제1덮개(10)와 결합된 제2덮개(20)의 외주면에 다시 접착재를 도포한 후 표면에는 자외선막을 코팅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복합부재(FRP)로 제작된 제3덮개를 결합한 후 체결부재로서 중앙분리대(1)와 각각의 덮개(10,20,30)를 체결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중앙분리대 보호덮개는 도로 또는 고가도로등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완충작용을 함으로서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로의 중앙에 설치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는 중앙분리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덮개에 있어서,
    중앙분리대(1)의 외측에 설치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그 내측에는 충격흡수부재(11)가 형성된 제1덮개(10)와,
    상기 제1덮개(1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외측면에는 벌집형의 통공(21)이 다수 형성되어 차량과의 충돌시 통공(21)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덮개(20)와,
    상기 제2덮개(20)의 외측에 도포된 접착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제1덮개(10)와 같은 재질인 복합부재(FRP)로 제작되고 표면에는 자외선막을 코팅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한 제3덮개(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KR2020010015845U 2001-05-29 2001-05-29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KR200245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45U KR200245980Y1 (ko) 2001-05-29 2001-05-29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45U KR200245980Y1 (ko) 2001-05-29 2001-05-29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980Y1 true KR200245980Y1 (ko) 2001-10-17

Family

ID=7310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45U KR200245980Y1 (ko) 2001-05-29 2001-05-29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9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0047C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DE69937360D1 (de) Aufprallenergieabsorbtionsanlage für aufprall gefährdeter objekte entlang der strasse
Huang et al. Effects of innovative pedestrian signs at unsignalized locations: three treatments
KR200245980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보호덮개
WO2013030418A1 (es) Cubierta para elementos de barrera
KR20110031554A (ko) 완충기능을 갖는 가드펜스
JP3122792U (ja) 車用減速兼進入防止バリア(障害物)
CN216108159U (zh) 一种公路桥梁工程建设用的挡风屏
CN211200191U (zh) 一种高速公路便利型防护装置
KR200255813Y1 (ko) 교각구조물 보호를 위한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WO2021127510A3 (en) Barrier for roadway
KR20020039587A (ko) 도로 중앙선 식별 블록
KR200299267Y1 (ko) 조명 및 표지판을 제공하는 충격흡수시설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20455Y1 (ko) 자동차 주정차용 안전표지판
KR200307740Y1 (ko) 도로 안내표지판용 지주의 베이스 커버
JP3136241U (ja) 自立型看板
KR200259614Y1 (ko) 다목적용 완충부재
DE602004025744D1 (de) Energiedämpfungs-sicherheitssystem
KR0125805B1 (ko) 폐타이어의 이용방법
KR20029924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용 충격 흡수재
KR200426130Y1 (ko) 과속방지 및 다용도 표지병
KR200398269Y1 (ko) 도로용 가드레일 어셈블리
CN210288104U (zh) 一种拥有新型防护栏的立交桥
KR200323080Y1 (ko) 안전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