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800Y1 -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800Y1
KR200243800Y1 KR2020010009085U KR20010009085U KR200243800Y1 KR 200243800 Y1 KR200243800 Y1 KR 200243800Y1 KR 2020010009085 U KR2020010009085 U KR 2020010009085U KR 20010009085 U KR20010009085 U KR 20010009085U KR 200243800 Y1 KR200243800 Y1 KR 200243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ccentric
sealing
actuator
sea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필찬
주남식
최진웅
임헌건
이수연
Original Assignee
라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필찬 filed Critical 라필찬
Priority to KR2020010009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800Y1/ko

Links

Landscapes

  • Actu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심 요동축이 장착된 고정체와 작동체의 사이를 전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편심 유동축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과 편심축 및 서로를 연결하는 편심 연결축으로 이루어진 편심요동축과, 상기 회전축이 장착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요동되는 편심축이 장착된 작동체로 이루어진 통상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축 장착홀과 상기 작동체의 축 장착홀의 사이에는, 일 측부에 장착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패킹과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서로를 조립되게 하는 조립턱과 조립홈이 포함된 밀봉링이 다수로 조합되어 각각 밀봉링이 각기 유동되는 유동밀봉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A cover apparatus of the one-side shift}
본 고안은 편심 유동축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편심 요동축이 장착된 고정체와 작동체의 사이를 전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편심 유동축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축에 장착되는 밀봉수단이라 함은, 오일이 축을 통해 외부로 부터 침투되어 장치의 내로 유입되거나 반대로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오일 실(oil seal)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도 5는 종래의 편심 요동축에 사용되는 밀봉수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01)과 편심축(103) 및 서로를 연결하는 편심 연결축(102)으로 이루어진 편심요동축(100)과, 상기 회전축(102)이 장착되는 고정체(200)와, 상기 회전축(102)에 대하여 편심 요동되는 편심축(103)이 장착된 작동체(300)로 이루어진 통상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0)의 축 장착홀(201)과 상기 회전축(101)의 사이에는 오일이 베어링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오일실(4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체(300)의 축 장착홀(301)과 상기 편심축(103)의 사이에도 오일이 베어링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일실(50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01)과 편심축(103)에 장착된 오일실(500)을 통해 고정체(200)와 작동체(300)의 사이에 채워진 오일이 베어링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일실 등의 밀봉수단을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축이 고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오일 실 이 쉽게 마모됨에 따라 누유가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오일 실을 경계로 하여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이가 생길 경우에는, 오일 실의 내측면에 틈이 생기게 됨으로서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베어링등에 비윤활성 유체인 그리스(grease)등이 사용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윤활성 유체인 오일이 상기 그리스와 혼합됨에 따라서 베어링에 충진되어 있는 그리스가 쉽게 손실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스가 손실된 후에 그리스를 재충전할 수 없는 조건일 경우에는, 윤활의 부족으로 인하여 베어링이 손상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편심 요동축이 장착된 고정체와 작동체의 사이를 전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편심 유동축 밀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편심 요동축이 고속으로 회전되더라도 밀봉장치가 다수의 밀봉링으로조립되어 있고 각 밀봉링에 장착되어 있는 패킹이 평면 접촉만을 하게 함으로서 밀봉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밀봉장치를 각기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밀봉링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서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가 생길 경우에도 밀봉장치가 유동됨에 따라 누유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비윤활성 유체를 사용하는 베어링 등이 포함되는 편심 요동축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막아줌으로서 비윤활성 유체의 손실을 극소화 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밀봉장치를 구성하는 밀봉링의 수량의 조정을 통해 축의 길이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한편, 밀봉장치의 외측부에는 별도의 플렉시블관을 장착함으로서 밀봉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회전축과 편심축 및 서로를 연결하는 편심 연결축으로 이루어진 편심요동축과, 상기 회전축이 장착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요동되는 편심축이 장착된 작동체로 이루어진 통상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축 장착홀과 상기 작동체의 축 장착홀의 사이에는, 일 측부에 장착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패킹과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서로를 조립되게 하는 조립턱과 조립홈이 포함된 밀봉링이 다수로 조합되어 각각 밀봉링이 각기 유동되는 유동밀봉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에 편심 요동축에 사용되는 밀봉수단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심 요동축
11 : 회전축
12 : 편심 연결축
13 : 편심축
2 : 고정체
3 : 작동체
4 : 유동밀봉체
41 : 밀봉링
411 : 평면, 412 : 패킹, 413 : 조립턱, 414 : 조립홈
5 : 플렉시블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1)과 편심축(13) 및 양축을 서로 연결하는 편심 연결축(12)으로 이루어진 편심요동축(1)과, 상기 회전축(12)이 장착되는 고정체(2)와, 상기 회전축(12)에 대하여 편심 요동되는 편심축(13)이 장착된 작동체(3)로 이루어진 통상의 장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의 축 장착홀(21)과 상기 작동체(3)의 축 장착홀(31)의 사이에는, 일 측부에 장착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패킹과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서로를 조립되게 하는 조립턱과 조립홈이 포함된 밀봉링(41)이 다수로 조합된 유동밀봉체(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유동밀봉체(4)는, 다수의 밀봉링(41)이 조합되어 구성되어 각각 밀봉링(41)이 각기 유동됨으로서 유동밀봉체(4)의 전체가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의 축 장착홀(21)과 회전축(12)의 사이에는 회전축(12)의 회전시 마찰을 막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작동체(3)의 축 장착홀(31)과 편심축(13)의 사이에도 편심축(13)의 회전시 마찰을 막는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밀봉링(41)은, 양 측면이 평면(411)으로 형성되어 일측 평면(411)에 패킹(412)이 장착되어 있으며, 내측 둘레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립턱(413)이 형성되어있고, 내측 둘레의 타측에 타 밀봉링(41)에 형성된 조립턱(413)이 삽입되는 조립홈(414)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414)의 함몰깊이(L1)는, 조립홈(414)에 삽입되는 조립턱(413)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턱(413)의 두께(L2)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일 일측에 위치되는 밀봉링(41)의 조립턱(411)은 고정체(2)에 형성된 축 장착홀(21)에 삽입 장착되고, 제일 타측에 위치되는 밀봉링(41)의 조립홈(414)은 작동체(3)의 축 장착홀(3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일 일측과 타측에 장착된 밀봉링(41)의 사이에는 다수의 밀봉링(41)이 조립되게 되어 유동밀봉체(4)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링(41)의 수량 조정을 통해 축의 길이와 관계없이 유동밀봉체(4)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를 통해 회전축(11)을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 연결축(12)을 통해 편심축(13)이 상기 회전축(11)에 대하여 편심 회전됨으로서, 상기 편심축(13)에 장착된 작동체(3)도 폄심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고정체(2)와 작동체(3)의 사이에 장착된 유동밀봉체(4)가 전체적으로 요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밀봉체(4)가 요동되는 시점에서는, 유동밀봉체(4)를 구성하는 밀봉링(41)이 각기 유동됨과 동시에 밀봉링(41)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패킹(412)과 밀봉링(41)의 측면이 밀착유동 됨에 따라, 유동밀봉체(4)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링(41)이 각기 요동함에 있어서 패킹(412)이 평면 접촉만을 함으로서 밀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밀봉링(41)들이 각기 작동함에 따라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가 생기더라도 유동밀봉체(4)는 신축이 가능함으로서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11)과 편심축(13)에 장착되는 베어링에 비윤활성 유체인 그리스등이 사용되더라도 편심요동축(1)의 외측을 유동밀봉체(4)가 전체적으로 커버함에 따라서, 비윤활성유체의 손실을 극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한 유동밀봉체(4)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함을 전제로 하며, 상기 유동밀봉체(4)의 외측부에는, 양단이 상기 고정체(2)와 작동체(3)의 내측에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이 추가로 장착됨으로서 밀봉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관(5)의 타측 단부는 상기 유동밀봉체(4)의 제일 타측에 위치된 밀봉링(41)의 타측면과 조립홈(412)에 삽입되어 작동체(3)의 내측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관(5)의 타단이 유동밀봉체(4)의 타단과 작동체(3)의 내측단 사이에 고정됨에 따라서 플렉시블관의 유동시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편심 요동축이 장착된 고정체와 작동체의 사이를 전체적으로 밀봉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오일등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밀봉링에 장착된 패킹의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서, 누유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밀봉장치를 각기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밀봉링의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서,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가 생길 경우에도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비윤활성 유체를 사용하는 베어링 등이 포함되는 편심요동축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막아줌에 따라 비윤활성 유체의 손실을 극소화하여 윤활유의 부족으로 인한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밀봉장치를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축의 길이와 관계없이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밀봉장치의 외측부에는 별도의 프렉시블관을 장착함으로서 밀봉효과를 좀더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회전축(11)과 편심축(13) 및 서로를 연결하는 편심연결축(12)으로 이루어진 편심요동축(1)과, 상기 회전축(12)이 장착되는 고정체(2)와, 상기 회전축(12)에 대하여 편심 요동되는 편심축(13)이 장착된 작동체(3)로 이루어진 통상의 장치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의 축 장착홀(21)과 상기 작동체(3)의 축 장착홀(31)의 사이에는,
    일 측부에 장착되어 누유를 방지하는 패킹과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서로를 조립되게 하는 조립턱과 조립홈이 포함된 밀봉링(41)이 다수로 조합되어 각각의 밀봉링(41)이 각기 유동되는 유동밀봉체(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요동축용 밀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41)은, 양 측면이 평면(411)으로 형성되어 일측 평면(411)에 패킹(412)이 장착되어 있으며, 내측 둘레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립턱(41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둘레의 타측에 타 밀봉링(41)에 형성된 조립턱(413)이 삽입되는 조립홈(414)이 함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요동축용 밀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414)의 함몰깊이(L1)는,조립홈(414)에 삽입되는 조립턱(413)이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턱(413)의 두께(L2)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편심요동축용 밀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밀봉체(4)의 외측부에는, 양단이 상기 고정체(2)와 작동체(3)의 내측에 고정되는 플렉시블관(5)이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요동축용 밀봉장치.
KR2020010009085U 2001-03-31 2001-03-31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KR200243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85U KR200243800Y1 (ko) 2001-03-31 2001-03-31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85U KR200243800Y1 (ko) 2001-03-31 2001-03-31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800Y1 true KR200243800Y1 (ko) 2001-10-10

Family

ID=7309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85U KR200243800Y1 (ko) 2001-03-31 2001-03-31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8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144B1 (ko) 2007-01-04 2008-01-10 김덕기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144B1 (ko) 2007-01-04 2008-01-10 김덕기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5677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装置
RU2664086C2 (ru) Вращающийся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передаточный механизм и систему распределения масла
CA2333991C (en) A system for delivering pressurized lubricant fluids to an interior of a rotating hollow shaft
JP5904961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CN100412398C (zh) 流体轴承模组
JP4824552B2 (ja) 静的および動的な排出機の耐圧シャフトシール
TWI629415B (zh) Oil-free screw compressor
JP4816562B2 (ja) オイルシール構造
KR200243800Y1 (ko)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EP1203885B1 (en) Gear pump
KR101285104B1 (ko) 가변속 유체 커플링
US7055826B2 (en) Seal and bearing assembly
JP2011144933A (ja) 静的および動的な排出機の耐圧シャフトシール
JPH10159983A (ja) 密封装置
JP7166985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用回り止めピン
JP7246830B2 (ja) 回り止め機構
KR200382823Y1 (ko) 힌지핀 구조체
JP4250711B2 (ja) 回転機器の軸封装置
RU2179274C1 (ru) Уплотнение подви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деталей
EP0864047A1 (en) Axial sealing
RU2133899C1 (ru) Торцовое уплотнение
RU2178839C1 (ru)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водяного насоса
JP2019105221A (ja) オイルポンプ装置
JP2007218414A (ja) ベルト式自動変速機の軸受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