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144B1 -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144B1
KR100793144B1 KR1020070001005A KR20070001005A KR100793144B1 KR 100793144 B1 KR100793144 B1 KR 100793144B1 KR 1020070001005 A KR1020070001005 A KR 1020070001005A KR 20070001005 A KR20070001005 A KR 20070001005A KR 100793144 B1 KR100793144 B1 KR 10079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haft
bearing bush
screen
hollow
scre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김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기 filed Critical 김덕기
Priority to KR102007000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그리스의 누출을 예방하며, 편심축의 직접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는,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에 탄지된 스크린에 중공형 보호관이 마련되고, 이 보호관의 중공부에는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 회전되는 편심축이 양단에 베어링 부쉬를 통해 고정된 스크린 장치의 편심축 설치구조로,
상기 편심축의 양단이 관통된 베어링 부쉬의 일편에는 중공의 기밀링이 설치되어,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윤활유의 외부 유출을 억제하고 이 물질이 베어링 부쉬 및 보호관의 중공부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밀링의 내경과 대향 하여 접단되는 편심축의 양단에는 원통형의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기밀링의 내경에 편심축 자체가 접단되지 않고 이에 덧씌워진 리테이너가 접단 되도록 구성되어서, 편심축의 직접적인 마멸이 억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장치, 편심축, 기밀링, 리테이너, 인청동, 베어링 부쉬, 윤활유

Description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eccentric shaft for scree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심축 설치구조가 적용된 스크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심축 설치구조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A-A' 부분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크린 장치 10. 프레임 구조체
20. 스크린 21. 선별공
30. 스프링
41. 편심축 42. 보호관
42a. 중공부
43. 기밀링 43a. 내경
44. 환형 스프링 45. 리테이너
50. 베어링 부쉬 51. 단열부재
60. 보호커버 B. 볼트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그리스의 누출을 예방하면서도, 편심축의 직접적인 손상을 예방하여 내구성 및 보수의 용이성이 겸비되도록 한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장치는, 스프링을 통해 프레임에 탄지된 스크린에 골재를 연속 투여하여, 골재를 입도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상기 스크린에는 편심축이 배설되어서 편심축에 의한 자진작용의 도모를 통해 골재의 분리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축은 유압모터 또는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지게 회전하는 것으로, 양단에는 윤활유가 충입된 베어링 부쉬가 설치되어 편심축의 원활한 회전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베어링 부쉬에 충입되는 윤활유는 통상 점도가 높은 그리스유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속 회전하는 베어링 부쉬를 장시간 가동하게 되면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상기 베어링 부쉬와 편심축 사이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기밀링을 별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베어링 부쉬와 편심축 사이에 기밀링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베어링 링과 이와 대향 하는 편심축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마찰이 발생되며, 이러한 마찰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면 편심축의 양단이 물리적으로 마멸되어서 내구성이 약화되고, 또 이 틈을 통해 윤활유가 외부로 무단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편심축의 양단이 베어링 링에 의해 마모되면, 편심축을 완전히 분리하여 교체하는 보수공정이 요구되므로, 이에 따라 보수에 따른 시간적 부대비용이 과대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그리스의 누출을 예방하면서도, 편심축의 직접적인 손상을 예방하여 내구성 및 보수의 용이성이 겸비되도록 한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는,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에 탄지된 스크린에 중공형 보호관이 마련되고, 이 보호관의 중공부에는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 회전되는 편심축이 양단에 베어링 부쉬를 통해 고정된 스크린 장치의 편심축 설치구조로,
상기 편심축의 양단이 관통된 베어링 부쉬의 일편에는 중공의 기밀링이 설치되어,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윤활유의 외부 유출을 억제하고 이 물질이 베어링 부쉬 및 보호관의 중공부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밀링의 내경과 대향하여 접단되는 편심축의 양단에는 원통형의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기밀링의 내경에 편심축 자체가 접단되지 않고 이에 덧씌워진 리테이너가 접단 되도록 구성되어서, 편심축의 직접적인 마멸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고열에 의해 확관된 상태로 편심축에 진입되고, 이 상태에서 자연 냉각되어서 편심축의 양단 외경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열박음 방식을 통해 편심축의 양단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밀링의 내경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기밀링의 내경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좁혀져 편심축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또 상기 베어링 부쉬의 외경에는 인청동으로 제작된 단열부재가 설치되어, 베어링 부쉬에서 발생된 열이 보호관을 따라 스크린에 전도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심축 설치구조가 적용된 스크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편심축 설치구조의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A-A' 부분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1)용 편심축 설치구조는, 골재를 입도별로 투여받아 분리하여 배출하는 스크린(20)에 자진력을 생성 및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1 내지 도 3을 보면 상기 스크린(20)은 복수의 선별공(21)이 형성된 망 구조체로, 프레임 구조체(10)에 스프링(30)을 통해 탄지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10)에 스프링(30)을 통해 탄지된 스크린(20)에는 중공형의 보호관(42)이 고정되고, 이 보호관(42)의 중공부(42a)에는, 전동모터(M) 또는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 회전되는 편심축(41)이 양단에 베어링 부쉬(50)를 통해 관통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관(42)에 관통된 편심축(41)이 전동모터(M) 또는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 회전되면 스크린(20)은 신속하게 자진하게 되어서, 스크린(20)에 투여된 골재는 입도별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즉, 스크린(20)에 형성된 선별공(21) 보다 입도가 작은 골재들은 선별공(21)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 배출되고, 스크린(20)에 형성된 선별공(21) 보다 입도가 큰 골재들은 스크린(20)의 일편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편심축(41)을 감싸는 보호관(42)은 골재가 편심축(41)에 직접 도 달하는 것을 예방하고, 편심 회전되는 편심축(41)을 스크린(2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부쉬(50)와 편심축(41) 사이에는, 윤활유(O)가 충입되어서 이들 간의 윤활작용과 냉각작용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어링 부쉬(50)의 외경에 단열성 재질인, 인청동으로 제작된 단열부재(51)를 설치하여, 베어링 부쉬(50)에서 발생된 열이 보호관(42)을 따라 스크린(20)에 전도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어링 부쉬(50)의 열이 스크린(20)에 전도되는 현상이 예방되면, 망 구조체로 이루어진 스크린(20)이 열변형에 의해 내구성이 약화되어 찢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 부쉬(50)는 자체적으로 내열성을 겸비하며, 또 내부에 충입된 윤활유(O)에 의한 냉각 작용에 의해 열변형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인청동으로 제작된 단열부재(51)를 통해 단열을 시키더라도 작동상 문제는 발생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편심축(41)의 단부가 관통한 베어링 부쉬(50)에, 고무, 우레탄 등 기밀소재로 제작된 중공의 기밀링(43)을 설치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기밀링(43)은, 보호관(42)의 측면에 플랜지 구조로 체결되는 보호커버(6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베어링 부쉬(50)의 일편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B'는, 커버와 보호관을 상호 직결하는 볼트임**
그리고 상기 기밀링(43)에는 환형 스프링(44)이 매설되어, 기밀링(43)의 내 경(43a)이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쪼여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기밀링(43)의 내경(43a)이 환형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쪼여지게 되면, 편심축(41)의 외경에 기밀링(43)의 내경(43a)이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어 보다 안정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부쉬(50)와 편심축(41) 사이에 설치된 기밀링(43)에 의해, 베어링 부쉬(50)에 충입된 윤활유의 외부 유출이 억제되며, 또 이 물질이 베어링 부쉬(50) 및 보호관(42)의 중공부(42a) 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조로 설치된 편심축(41)의 양단에 원통형의 리테이너(45)를 별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편심축(41)의 양단에 리테이너(45)를 설치하게 되면, 편심축(41)의 양단이 기밀링(43)의 내경(43a)에 직접 마찰하여 물리적으로 마멸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고, 또 리테이너(45)의 교체를 통해 기밀링(43)과의 마찰에 따른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45)는 편심축(41)의 양단에 열박음 방식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여기서 열박음 방식이란, 가해진 열에 의해 확관된 상태의 리테이너(45)를 편심축(41)의 양단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렇게 확관된 상태로 편심축(41)에 삽입된 리테이너(45)는 자연 냉각되면서 축관되어서, 편심축(41)의 양단에 밀착하여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또, 편심축(41)에서 리테이너(45)를 분리할 때도 상기 리테이너(45)에 열을 가해 확관시킨 다음, 편심축(41)에서 리테이너(45)를 분리하는 열박음 방식이 활용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편심축(41)을 설치한 스크린 장치(1)는, 프레임 구조체(10)에 고정된 전동모터(M)가 회전력을 전달하여 편심축(41)이 고속으로 편심 회전하게 되면, 스크린(20)은 편심축(41)의 편심 회전에 의해 자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 부쉬(50)와 편심축(41) 사이에 충입된 윤활유(O)는 기밀링(43)에 의해 유출이 억제되며, 또 편심축(41) 양단에 열박음된 리테이너(45)는 기밀링(43)과 편심축(41)과의 직접적인 마찰을 예방하게 된다. 즉, 편심축(41) 자체가 마모되지 아니하고, 이에 덧씌워진 리테이너(45)가 마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밀링(43)과의 마찰을 통해 리테이너(45)가 마모되어 보수가 요구되면, 사용자는 편심축(41)에 설치된 리테이너(45) 만을 열박음 방식을 통해 교체하여 보수를 완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베어링 부쉬와 편심축 사이에 충입된 윤활유의 외부 누출을 억제하는 기밀링에 환형 스프링을 매설시켜, 편심축과의 보다 안정된 기밀상태가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편심축에 열박음 방식을 통해 원통형의 리테이너가 설치되므로, 상기 기밀링에 의한 편심축의 국부적인 손상을 예방되고 또 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부쉬의 외경에 인청동으로 이루어진 단열부재가 마련되어서, 망구조체로 이루어진 스크린이 열변형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Claims (4)

  1. 스프링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에 탄지된 스크린에 중공형 보호관이 마련되고, 이 보호관의 중공부에는 전동모터 또는 유압모터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편심 회전되는 편심축이 양단에 베어링 부쉬를 통해 고정된 스크린 장치의 편심축 설치구조로,
    상기 편심축의 양단이 관통된 베어링 부쉬의 일편에는 중공의 기밀링이 설치되어, 베어링 부쉬에 충입된 윤활유의 외부 유출을 억제하고 이 물질이 베어링 부쉬 및 보호관의 중공부 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밀링의 내경과 대향하여 접단되는 편심축의 양단에는 원통형의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기밀링의 내경에 편심축 자체가 접단되지 않고 이에 덧씌워진 리테이너가 접단 되도록 구성되어서, 편심축의 직접적인 마멸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고열에 의해 확관된 상태로 편심축에 진입되고, 이 상태에서 자연 냉각되어서 편심축의 양단 외경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열박음 방식을 통해 편심축의 양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링의 내경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기밀링의 내 경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좁혀져 편심축의 외경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쉬의 외경에는 인청동으로 제작된 단열부재가 설치되어, 베어링 부쉬에서 발생된 열이 보호관을 따라 스크린에 전도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KR1020070001005A 2007-01-04 2007-01-04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KR10079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05A KR100793144B1 (ko) 2007-01-04 2007-01-04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05A KR100793144B1 (ko) 2007-01-04 2007-01-04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144B1 true KR100793144B1 (ko) 2008-01-10

Family

ID=3921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05A KR100793144B1 (ko) 2007-01-04 2007-01-04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768A (zh) * 2020-07-02 2020-11-03 张细勇 一种饲料碎屑去除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52A (ja) * 1995-02-10 1996-08-30 Fuji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軸受装置
KR19980046996A (ko) * 1996-12-13 1998-09-15 김광호 베어링 구름진동 방지 장치
KR200198635Y1 (ko) 1998-09-29 2000-10-02 이중엽 편심축을 이용한 라운드스크린 사료정선장치
KR200243800Y1 (ko) 2001-03-31 2001-10-10 라필찬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JP2003320309A (ja) 2002-05-02 2003-11-11 Hamada Heavy Industries Ltd 自動給脂機構付きの振動篩装置
JP2006057653A (ja) 2004-08-17 2006-03-02 Kawasaki Heavy Ind Ltd 軸受振動減衰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3852A (ja) * 1995-02-10 1996-08-30 Fuji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軸受装置
KR19980046996A (ko) * 1996-12-13 1998-09-15 김광호 베어링 구름진동 방지 장치
KR200198635Y1 (ko) 1998-09-29 2000-10-02 이중엽 편심축을 이용한 라운드스크린 사료정선장치
KR200243800Y1 (ko) 2001-03-31 2001-10-10 라필찬 편심 요동축용 밀봉장치
JP2003320309A (ja) 2002-05-02 2003-11-11 Hamada Heavy Industries Ltd 自動給脂機構付きの振動篩装置
JP2006057653A (ja) 2004-08-17 2006-03-02 Kawasaki Heavy Ind Ltd 軸受振動減衰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768A (zh) * 2020-07-02 2020-11-03 张细勇 一种饲料碎屑去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3727B2 (en) Grounding mechanism for electric motor
CN102422368B (zh) 分流器环
RU26224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шипника качения
US20110018209A1 (en) Sealing arrangement and radial shaft seal made therefrom
WO2011084723A2 (en) Electrical bearing ground device
US10639648B2 (en) Rolling bearing cooling arrangement using lubricant and cooling air for centrifuges
JP2012500943A (ja) 軸受用の波形伸長スリーブ
JPH0475443A (ja) モータの軸受装置
KR100793144B1 (ko) 스크린 장치용 편심축 설치구조
JP2006234106A (ja) 液体の軸封装置とその軸封装置を用いた回転電機
KR100560032B1 (ko) 밀봉 단부판
CN212100641U (zh) 防润滑油泄露激振器
CN204985720U (zh) 用于从动轴的密封装置
JP2011208662A (ja) 転がり軸受
CN105980762A (zh) 具有增强润滑的结构简单的偏心组件
EP2166242B1 (en) oil lubricated bearing device with oil scraper
US20140319773A1 (en) Rotary seal device
CN100431226C (zh) 具有排液管的轴电流控制电刷装置
CN103375427A (zh) 用于压缩机的油封
CN113039370A (zh) 用于风力发电设备的机舱
JP2000145768A (ja) スクィーズフィルムダンパ軸受
KR20210091781A (ko) 밀봉 장치, 전기 기계 및 구동 장치
KR101049780B1 (ko) 베어링지지구조를 갖는 호모게나이저
KR20210035726A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갖는 슬링거 링
SE540634C2 (en) Low friction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